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우리나라 국가회계기준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미국 국가회계규정 및 국제공공회계기준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박성동 ( Seong Dong Park ),윤태화 ( Tae Hwa Yoon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6

        2011회계연도부터 국가재무제표가 국회의 심의를 받는 등 우리나라의 발생주의·복식부기 국가회계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발생주의·복식부기 국가회계제도가 국가 재정부문에 정착하고 발전하기 위해 미국 국가회계규정 및 국제회계사연맹의 국제공공회계기준과 우리나라 국가회계기준의 전체적인 규율체계와 주요내용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국가회계기준의 개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일반유형자산 및 사회기반시설이 국가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자산평가 및 순원가 정보의 정확한 산출을 위해 감가상가방법 및 내용연수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이 국가회계기준에 포함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국가의 재정융자사업의 원가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전략적으로 국가예산을 배분하기 위해서는 재정융자사업에 대한 기본적인 회계처리방법이 국가회계기준에 명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체국예금 등 신탁자산의 유형과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기본적인 회계처리 및 공시방법을 명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재정상태표상의 부채개념을 교환거래로 발생하는 부채와 비교환거래로 발생하는 부채의 경우로 구분하여 부채에 대한 인식요건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연금충당부채의 개념과 평가대상, 기본적인 평가방법은 국가재무제표의 부채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이므로 국가회계기준에 그 적용대상과 기본적인 평가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세입·세출외거래로 인한 자산·부채를 재정상태표에 반영하도록 명시함으로써 국가의 재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기이전에 발생한 중대한 오류의 경우에는 순자산변동표의 기초순자산에서 수정할 수 있는 회계처리방법을 명확히 하고 순자산병동표의 회계연도를 비교식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발생주의·복식부기 국가회계제도가 국가재정의 중장기적·종합적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도록 국가회계기준의 개정 및 관련 회계법령체계의 정비 등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개선노력에 일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선진 주요국들의 국가회계규정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지는 못했으며 재정활동의 모든 영역에 대한 회계처리를 비교분석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회계기준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됨으로써 발생주의·복식부기 국가회계제도가 정착·발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From fiscal year 2011, the National Financial Statements a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Accrual based double entry national accounting system is implemented in full scal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n revision of Korean 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KNAS) through comparing and analysing the SFFAS of FASAB, IPSAS of IFAC and the KNAS in order to settle and develop the Accrual based national accounting system at this time. Firstly, the Depreciation methods and useful life of the Property, Plant &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asse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tandards to evaluate the assets and calculate the net cost information accurately considering the portion of the Property, Plant &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assets in the total national asset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basic accounting approach of the Govermental direct loans in the Standards in order to measure the cost of the Governmental direct loans and allocate the national budget strategically. Thirdly,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iduciary assets such as the Postal Savings had better be introduced in the Standards. Also the principal accounting procedures and disclosure rules of them should be reflected in the standards considering the extended function of the Govern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concept of Liabilities as two types of liabilities arising from exchange transactions and non-exchange transactions and specify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m separately in the Standards. Fifth,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cept of Provision for pension, the object of recognizing the Provision and basic evalution method should be specified in the Standards because they are important accounting matters affecting the scope of national liabilities. Sixth,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standards that the assets and liabilities arising from Non-budgetary transactions should be recorded in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because it is essential to manage and understand the national financial position accurately. Lastly, it is better specified in the Standards that the adjustment of prior errors should be made to the beginning balance of cumulative results of operation in the Statement of Changes in Net Position and the Statement of Changes should be prepared comparatively. However, in this study the more regulations of foreign countries adopting the Accrual based national accounting system was not reviewed and the more sections in governmental activities was not considered. So,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by other scholars can improve the results of the similar studies.

      • 흉강경에 의한 폐조직 절제술에서 위치표식의 중요성

        박성동,김수성,구관민,이현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폐 결절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보다 덜 침습적 방법으로 경피침생검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경피 침생검의 경우 크기와 위치에 따라 특히 결절이 1 ㎝ 미만이거나 중심위치(central position)에 있을 때, 진단의 정확성은 크게 떨어지고, 진단 기술 또한 상당히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악성종양의 가능성에 보다 무게를 둔 조기 진단이 보다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특히나 1 ㎝ 미만의 폐 결절에 있어서의 정확한 진단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동국대학교 포항병원에서는 2003년 4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경피침생검이 힘들것으로 판단되는 4례를 CT의 도움을 받아 결절내에 와이어를 삽입한 다음, 바로 수술실에 들어가 흉강경으로 결절이 포함되어있는 폐실질을 절제하였다.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 결절의 수술에 있어 결절의 위치 표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hook wire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최소 침습적인 진단이 가능하였다.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is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nodule because of its less invasiveness. However, it has less accuracy when the nodule is located in the central position or the size is less than 1 ㎝. Considering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malignancy especially when the size of nodule is less than 1 ㎝, accurate diagnosis should be emphasized. From April to July of 2003, 4 cases with pulmonary nodule that seemed to be hard for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were selected in Pohang Hospital, Dongguk University. After hook wire was inserted inside the nodule under the CT guidance, the patients were brought to the operation room and lung parenchyme containing the nodule was resected by the thoracoscopy. It is very important to marking of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 therefore this strategy for pulmonary nodule by using hook wire provide patients accurate and less invasive diagnosis.

      •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 만족감이 운동상해에 미치는 영향

        박성동 圓光大學校附設 生活體育硏究所 1996 生活體育硏究 Vol.7 No.-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ing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contentment on athletic injury. The subjects are 243 athletes (contact sport athletes, 106; non-contact athletes 137) participated in the 77th national sport meeting. To assess predict variables, the scales are athletics'stress scale which has 7-point scale of 80 items and social support scale which has 5-point scale of 15 items, contentment scale which has 5-point scale Of 5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ontact sport athletes only stress variable affects athletic injury, and in the non-contact sport athletes only social support variable affects athletic injury. 2. In man stress variable and contentment variable affect athletic injury, and in the female stress variable, contentment variable, stress^* contentment interaction effect and stress^* social support^* contentment interaction effect affects athletic injury. 3. In the total only stress variable affects athletic injury.

      •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다한증의 교감신경절 절단술 단기성적

        박성동,김수성,김미운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다한증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자율신경계의 질환이다. 주로 손바닥과 겨드랑이, 그리고 얼굴에 증상이 일어난다. 전통적으로 피부과를 위시한 내과계열에서 투약등으로 치료를 해오든가 아니면 흉곽절개술을 통해 교감신경절의 절제술을 통해 치료해왔다. 그러나 내과적 방법들은 효과가 의심스러웠고 흉곽절개술을 통한 방법은 너무도 부담스러운 과정이 있었다. 최근에 비데오 흉강내시경이 흉부외과적 영역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 최소 침습적인 수술요법은 다음의 두가지 이유에 근거하여 보다 나은 치료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첫째, 흉강내시경에 의한 교감신경절단술은 아주 효과적이라는 점과 둘째, 수술에 따른 합병증과 상흔이 극히 적다는 점이다. 2003년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포항병원에서는 11례의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다한증의 교감신경절 절단술을 체험하였다. 평균나이 20.2세의 6명의 남자와 5명의 여자였으며, 수술시간은 평균 54.2분, 수술후 평균 병원체류시간은 1.09일이었으며 추적관찰기간동안 재발은 없었고, 약 절반의 환자에서 보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으나, 임상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Hyperhidrosis is one of disorder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which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negatively. It mainly involves palms, axillas, and face. It has been treated noninvasively by administration of drugs or invasively by thoracic sympathectomy via thoracotomy. But these techniques were rather ineffective or invasive. Recently,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VATS) is widely applied in thoracic surgical area, and this minimal invasive surgical technique is chosen as more favorable surgical interventions for two reasons. First, VATS sympathicotomy is very efficient procedure in treating hyperhidrosis and second, VATS left minimal surgical incisions and complications. From April 2003 to August 2003, 11 patients with hyperhidrosis underwent bilateral thoracic sympathicotomy with VAI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Dongguk University Pohang Hospital. There were 6 men and 5 women and the mean age was 20.2 years old. Mean operating time was 54.2 min. Mean overall hospital stay was 2.9 days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1.09 days. During the periods of follow-up survey, there was no recurrence. The half of patients complained mild degree of compensatory sweating, but the discomfort was not clinically significant.

      • 기관지 평활근종 치험 1예

        박성동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1

        기관지에 발생하는 평활근종은 매우 드문 양성종양이다. 29세 여자에게서 무증상의 기관지 평활근종을 발견하여 술전 검사결과 평활근종으로 판단하고 조기수술을 결정하였으며, 수술은 종양을 포함하는 우하엽의 구역 절제를 한 후, 연속 단단 문합을 시행하였다. 종괴는 매끈하고 상아색의 단단한 껍질을 가지고 있었으며, 술 후 조직학적 진단은 평활근종이었다. 수술 후 경과는 양호 하였다. 기관지 평활근종의 경우, 증상이 거의 없어 매우 커진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그럴 경우, 원위부 폐실질의 기능을 비가역적으로 손상시키며, 술후 재발이 거의 없는 점을 고려하여, 조기에 발견하여 최소한의 절제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우연히 발견되어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기관지 평활근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Endobronchial leiomyoma is extremely rare benign tumor of lower respiratory system,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leiomyoma in the left lower lobe of the lung, a 29 year old female found incidentally. Preoperative studies revealed the tumor nature as benign, and we chose segmentectomy through mini-thoracotomy rather than classical posterolateral thoracotomy. postoperative histological diagnosis was confirmed as endobronchial leiomyoma. The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surgical treatment to preserve pulmonary function are important points of consideration.

      • 흉부 식도암의 외과적 치료

        박성동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1

        흉부 식도암에 있어서의 수술적 치료는 절제 가능한 조기 식도암의 경우에는 핵심적인 치료로 인정되고 있으나, 진행된 식도암의 경우에는 유병율과 사망률이 담보되는 한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환자의 병기에 따라 적합한 수술적 접근과 방법에 대한 다양한 모색이 보다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완전한 절제와 림프절의 충분한 절제가 술후 예후의 중요한 결정인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를 절제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와, 어느 정도의 림프절 절제가 적당한가하는 문제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다. 흉부 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그 자체와 수술전후의 다자 치료의 배합에 있어, 운용과 효율성에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Surgery remains the standard treatment for resectable thoracic esophageal cancer but it is justified only when acceptably low morbidity rates can be achieved even for advanced disease. The appropriate extent of resection to achieve the best outcome is the most controversial aspect of treating esophageal cancer and the optimal extent of lymphadenectomy also remains controversial. Until data from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showing a clear benefit using a particular approach are available, surgeons should perform their better judgement in individualizing and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surgical approach to provide the best chance of cure or lasting palliation for this disease that challanges both patient and surgeon.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xamine the utility and efficacy of each approach in treating thoracic esophageal cancer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modalities.

      •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에 관한 최신지견

        장대영,박성동,박건욱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1

        최근에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의 분자 생물학적 병인에 관한 많은 발전이 이루어 졌다.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의 진단은 수 년전에 개발된 방법으로 다른 질환들을 배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발성 혈소판증가증은 혈전성 및 출혈성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골수 섬유화증이나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행할 수 있다. 혈관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골수 억제제 치료법은 혈액학적 악성 질환으로서의 진행을 가속화 시키지 않을까하는 우려로 질병의 위험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있다. 따라서, 저위험 환자군에서 골수 억제제 치료는 추천되지 않으며, 고위험 환자군에서는 하이드록시유리아와 아스피린의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나글레라이드나 인터페론-알파는 하이드록시유리아에 내성을 가지거나 투약이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2차 약제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산모에 있어서는 인터페론-알파가 더 추천된다. Significant progres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essential thrombocythemia(ET) has recently been achieved. Unfortunately, the diagnosis of ET still relies on a set of exclusion criteria developed years ago, as recent advances have yet to be evaluated for this purpose. The clinical course of ET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d incidence of thrombotic and hemorrhagic complications and an inherent tendency to progress into myelofibrosis or acute myeloid leukemia (AML). There is concern about undesirable effects of cytoreductive therapy given to prevent vascular events, particularly the risk of accelerating the rate of hematologic transformation. Thus, management involves modification of reversible vascular risk factors and further stratification according to the thrombotic risk. Myelosuppressive agents are not recommended in low-risk patients, whereas controlled studies support the therapeutic value of hydroxyurea (HU) plus aspirin in high-risk cases. Anagrelide or interferon-alpha (IFN-alpha) could be considered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refractory or intolerant of HU, IFN-alpha is preferred in pregnant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