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동 · 봉화 지역 종택 및 정자의 입지적 특성 비교

        박성대(Park, Sung-Dae),양윤석(Yang, Yun-Se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0 No.-

        본 연구는 일반적 거주 공간인 종택과 학문 수양 및 휴양 목적의 거주공간인 정자의 입지적 특성을 수경환경의 관점에서 비교했다. 이를 위해 연구는 ‘수경 유형’, ‘수경 규모’, ‘수경환경과의 거리’, ‘수경의 형태’, ‘수경환경의 가시도’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종택 및 정자의 입지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정자의 입지가 종택의 입지에 비해 수경환경과의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 거주 공간인 종택 및 정자의 입지적 특성을 비교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공간적 측면에서 안동 및 봉화 지역으로 제한되고, 종합적인 비교 분석이 아닌 수경환경적 측면으로 한정된 분석이라는 점은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Jong-taek, which is for everyday life, with the Jung-ja, which is for studying, learning and recreation from the water landscape’s perspective. To do this, this study compare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to five aspects of the ‘the type of water landscape’, ‘the scale of water landscape’, ‘the distance between the Jong-taek or Jung-ja and the water landscape’, ‘the form of water landscape’ and ‘the visibility of water landscap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the location of the Jung-ja. That is, Jung-ja showe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that were closer to the water landscape, and the water landscape could be seen very well. This is the leading study compar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Jong-taek and Jung-ja, which are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s. But this study also has some limitations as follows; the spatial limitations as Andong and Bongwha, and the limitation of the scope of study from the water landscape’s perspective.

      • 나노유체 : 수조비등 환경에서 나노입자 코팅두께에 따른 임계열유속 결과의 실험적 연구

        박성대 ( Seong Dae Park ),문성보 ( Sung Bo Moon ),방인철 ( In Cheol Bang )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2 한국액체미립화학회 학술강연회 논문집 Vol.2012 No.-

        Since nanofluids, which are colloidal dispersions of nanoparticles in a base fluid such as water, were known as a way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CHF, the pool boiling CHF test was conducted in a variety conditions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 concentration etc. The concentration is the factor which influences the amount the coating materials on the heater surface. In most papers which are reporting the results of the pool boiling CHF test for nanofluids, the exact heating time is not described according to the heat flux level. The heating tim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amount of coated material. Alumina nanofluid is prepared by dispersing nanoparticles into the distilled water as a base fluid. The concentration of nanofluid is 0.01Vol%. Pre-coating process was carried out from 1 to 180 minutes at 600kW/m2. Heating time affects CHF positively in the region of a relatively short pre-coating time. The trend of CHF change is slowly decreased as pre-coating time is incrased. When more nanoparticles are coated on the heater surface but not heat transfer area is limited, the heat resistance which is disturbing the heat flow is increasing. The static contact angle was measured for sessile droplets of pure water (1μl) at 25℃ in air on the clean and nanoparticles coated surfaces boiled in nanofluids. The dramatic decrease of contact angle was observed on the coated heater surface. The results of contact angle are not uncovering the slight decrease of CHF in high pre-coating region. Hydrodynamic instability theory has been known as model of Zuber who proposed initially. The nanoparticle-coated surface has a shorter average distance compared with a bare surface. A case of high pre-heating time has a short wavelength in this work. A short wavelength allows to the vapo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bulk vapor by venting the vapor equally across the heater surface. But the results of wavelength are not similarly uncovering the slight decrease of CHF in high pre-coating region. Coating thickness was measured by analyzing the SEM images. The thickness is continually increased but the gradient is becoming gentle. Reversely, porosity is decreased as the pre-boiling time is longer. It means that the coating layer formed by nanoparticles is becoming dense. It is clear the coating layer functions as a heat transfer resistance.

      • KCI등재
      • KCI등재

        남성불임에서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시술시 GnRH agonist를 이용한 long protocol과 GnRH antagonist를 이용한 minimal protocol의 비교연구

        박성대 ( Sung Dae Park ),김동호 ( Dong Ho Kim ),손영수 ( Young Soo Son ),이상훈 ( Sang Ho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불임 환자의 치료에 있어 배우자의 과배란유도방법으로 GnRH antagonist (Cetrorelix)에 의한 minimal stimulation protocol과 GnRH agonist에 의한 long protocol의 비교를 위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에서 ICSI 시술을 이용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연령 35세 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Gn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GnRH antagonist (Cetrorelix)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comparing with GnRH agonist combined with long stimulation protocol in male infertility patients. Methods: From Jan 2002 to Jun

      • KCI등재

        안동 지역 종택 및 정자의 입지적 특성 비교

        박성대(Park, Sung Da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일반적 거주 공간인 종택과 학문수양 및 휴양 목적의 거주 공간인 정자의 입지적 특성을 경관심리학적 관점에서 비교했다. 이를 위해 연구는 ‘지형 유형’, ‘수평적 경관 조망’, ‘수직적 경관 조망’의 세 가지 측면에서 종택 및 정자의 입지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종택 및 정자의 지형 유형과 경관 조망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즉 산록형 및 평지형의 낮은 위치가 절대적 비율을 차지하는 종택은 환포된 경관, 그리고 주위 산줄기의 시각적 높이가 높아 위를 올려다보는 앙감(仰感)의 정도가 큰 경관적 특성을 보였다. 반면 산복형의 높은 위치가 큰 비율을 차지하는 정자는 개방된 경관, 그리고 주위 산줄기의 시각적 높이가 낮아 앙감의 정도가 작은 경관적 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Jong-taek, which is for everyday life, with the Jung-ja, which is for studying and learning and recreation from the landscape psychology"s perspective. To do this, this study compare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m from three aspects of the ‘topography classification’, ‘horizontal landscape view’, ‘vertical landscape vie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ere was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topography classification and the landscape view. That is, the Jong-taek showed the landscape’s characteristics that were the enclosed landscape and the strong feeling of looking up. But the Jung-ja showed the landscape’s characteristics that were the opened landscape and the weak feeling of looking up.

      • 레이어를 이용한 3D 입체 애니메이션 편집 설계

        박성대(Sung-Dae Park),이준상(Jun-Sang Lee),김치용(Kim Cheeyong),한수환(Soo-Whan Han)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0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0 No.2

        현재 극장용 3D 애니메이션은 대부분 3D 입체영상으로 제작되어 상영되고 있으며, 3D 애니메이션 제작 소프트웨어 또한 입체영상 제작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소프트웨어로 제작된 입체영상을 각각의 레이어로 분리하여 랜더링 하여 출력하고 편집하였다. 레이어 별로 출력된 좌ㆍ우 각각의 이미지에 입체감을 조절하여 구성된 입체 영상은 한 번에 전체적인 입체감을 조절하여 생성되는 기존의 방식의 입체 영상보다 입체감 구성 및 시각적 피로 유발 부분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 무수 전도성 양성자 교환막 제조 및 특성평가

        진수(Park, Jin-Soo),백지숙(Baek, Ji-Suk),양태현(Yang, Tae-Hyun),김창수(Kim, Chang-Soo),성대(Yim, Sung-Dae),구곤(Park, Gu-G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This study present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membranes based on ionic liquids. The ionic liquids act as water in sulfonated membranes. On the behalf of ionic conduction through ionic liquid inside the membranes, non-aqueous membranes showed Arrenhius dependence on temperature with no external humidification. It was implied that hopping mechanism of proton was dominant in the ionic liquid based membranes. In addition, small angle X-ray (SAXS) studies provided the information on morphology of ionic cluster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ulfonic acid groups of the polymers and ionic liquids. The SAXS spectra showed matrix peaks, ionomer peaks and Prodo's law for Nafion based composite membranes and only matrix peaks for hydrocarbon based ones. However, ionic conductivit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images showed the clear formation of ionic clusters of the hydrocarbon based composite membranes. It implies for ionic liquid based high temperature membranes that it is important to use sulfonated polymers as solid matrix of ionic liquid which can form clear ionic clusters in SAXS spectra.

      • KCI등재

        풍수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한국형 녹색도시 조성 방안

        박성대(Sung Dae Par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다. 세계의 저탄소녹색도시가 고유한 모델과 실천전략을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실행되어 왔음에 비추어, 우리나라 또한 우리나라의 풍 토와 지형적 특성에 맞는 한국형 녹색도시의 모델 및 실천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공 간 사유체계인 풍수에 주목하여, 풍수 논리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한국형 녹색 도시 조성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거 도시 및 전통마을과 현대 도시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과거의 풍수 논리를 현대 도시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풍수 논리의 현대적 해석을 바탕으로, 풍수논리에 담겨 있는 입지선정과 공간계획 체계가 한국형 녹색도 시 조성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a lot of efforts to adapt climate change around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The low carbon green cities for overseas have had many different forms through their own special models and strategies. Korea needs a model and strategy of Korean low carbon green city, which is suitable for Korea climate and topograp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ungsu, which is Korean traditional thinking system for space, and examines the way for selecting locations and space planning to create the Korean low carbon green city through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he Pungsu.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makes efforts for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he past Pungsu theory from the modern city``s perspective, through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s historic villages(cities) and the modern cities. Based on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he Pungsu theory, this study finds ways of application the system on selecting locations and space planning in the Pungsu theory to create the Korean low carbon green city.

      • 새로운 양방향 ZVS PWM SEPIC/ZETA 컨버터

        박성대(Sung-Dea Park),팽성환(Seong-Hwan Paeng),김인동(In-Dong Kim),노의철(Eui-Cheol Nho)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양방향 ZVS PWM Sepic/Zeta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PWM 제어가능한 컨버터로서 입력과 출력 전압의 극성이 같은 비반전 컨버터의 특징을 지니며 DC 전압의 전달함수가 양방향 모두 M=D/(1-D)로 동일하다. 또한 각방향으로 진력전달시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MOSFET가 다이오드의 ‘ON’시 동시에 ‘ON’되어 Sychronous Rectifier로 동작하므로 도통 손을 저감하였으며, Auxiliary Resonant Commutated Pole를 사용하여 저감 된 스위칭 손실을 갖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Transformer 버전이 존재하므로 입력과 출력사잉에 전기적 절연을 필요로 하는 실제응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