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l^{3+}$, $Pr^{3+}$가 첨가된 Perovskite $La_{2/3}TiO_{3}와 Pyrochlore $La_{2}Ti_{2}O_{7}$의 발광 특성

        박상미,박정규,김창해,박희동,장호겸,Park, Sang-Mi,Park, Joung-Kyu,Kim, Chang-Hae,Park, Hee-Dong,Jang, Ho-Gyeom 한국세라믹학회 200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8 No.9

        $La_{2/3}TiO_3$, $La_2Ti_2O_7$는 유전성을 갖는 특징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perovskite 구조의 $La_{2/3}TiO_3$와 pyrochlore 구조의 $La_2Ti_2O_7$를 모체로 하여 $Al^{3+},\;Pr^{3+}$가 첨가된 형광체의 발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구조 모두 $Pr^{3+}의\;^1D_2{\rightarrow}^3H_4$ 전이에 의한 적색 발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perovskite 구조의 $La_{2/3}TiO_3$:Pr 형광체의 에너지 전이 과정과 그 임계거리에 대한 조를 통해 에너지 전달체로서의 $Al^{3+}$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또한, perovskite 구조의 $La_{2/3}TiO_3$와 pyrochlore 구조의 $La_2Ti_2O_7$ 사이의 발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rap-involved process와 charge transfer band를 조사하였다. $La_{2/3}TiO_3$, $La_2Ti_2O_7$ are used in various parts by dielectric propert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Al^{3+}\;and\;Pr^{3+}$ doped perovskite-type $La_{2/3}TiO_3$ and pyrochlore-type $La_2Ti_2O_7$ phosphor, which characterized by the red emission $(^1D_2{\rightarrow}^3H_4)\;of\;Pr^{3+}$ of $Pr^{3+}$ ion. The explanation for the energy transfer and the corresponding critical distance were proposed on the role of Al^3+ ions as energy transfer mediates in perovskite-type $La_{2/3}TiO_3$:Pr phosphor. In order to clarify the distinction of photoluminescence propoerties between the perovskite-type $La_{2/3}TiO_3$ and the pyrochlore $La_2Ti_2O_7$, the trap-involved process and the charge transfer band have been investigated.

      • SCOPUSKCI등재

        착제중합법에 의한 1, 2족 원소가 $Y_2O-# : Eu$ 형광체의 합성광 발광특성

        박상미,김창해,박정규,박희동,장호겸,Park, Sang Mi,Kim, Chang Hae,Park, Joung Kyu,Park, Hee Dong,Jang, Ho G.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3

        $Y_2O_3$: Eu 형광체는 고효율,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갖고 있어서 평판 표시 소자용 적색 형광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분해능과 고효율을 가지는 평판 표시 소자는 작은 크기의 구형 입자를 가진 형광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착체 중합법을 이용하여 100-300nm크기의 $Y_2O_3$ : Eu 형광체를 제조하였고 1족 혹은 2족 원소를 첨가하여 발광특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Europium activated yttrium oxide ($Y_2O_3$ : Eu) is extensively applied to red phosphor for Flat Panel Display because of its high efficiency and the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Flat Panel Display screen which have a high resolution and high efficiency needs to the phosphors of ideally small size spherical particle. In this study, we prepared a $Y_2O_3$ : Eu phosphor using polymeric precursor methods and investigated the codoping effect by introducing the group 1 or 2 elements to $Y_2O_3$ : Eu phosphor in view of improvement of luminance efficiency.

      • KCI등재

        CGMMV-CP 형질전환 수박대목의 CGMMV 내성시험 및 계통확보

        박상미,권정희,임미영,신윤섭,허남한,이장하,류기현,한지학,Park, Sang-Mi,Kwon, Jung-Hee,Lim, Mi-Young,Shin, Yoon-Sup,Her, Nam-Han,Lee, Jang-Ha,Ryu, Ki-Hyun,Harn, Chee-Har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1

        수박작물의 대목용으로 사용하는 수박공대에 CGiMMV-CP 유전자를 도입하여 개발된 LM 수박공대의 CGMMV 내성 정도를 격리하우스와 노지 포장내에서 조사하였다. 격리온실에서의 $T_{3}$ 형질전환 수박대목의 CGMMV 내성은 접종 후 70일까지 유지되는 반면 대조구는 접종 후 20일에 전부 이병되었다. 인위적 토양전염 포장에서 형질전환체는 접종후71일까지 약 40%의 내성률을 보였으며, 대조구는 접종 후 37일에 모두 이병되었다. 인위적 접촉전염 포장에서 형질전환체는 대조구에 비해 약 10일 정도 지연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CGMMV-CP 형질전환체는 CGMMV에 저항성을 가진 것이 아니라 감염시기를 지연시키는 부분 내성으로 나타났다. CGMMV-CP homozygous T 세대를 진전시켜서 형질전환 수박공대 계통을 $BC_{1}T_{5}$ 세대에서 선발하였다. 또한 LM 수박공대에 형질전환 되지 않은 접수 (슈퍼금천수박)를 접목하여 non-LM 수박을 생산하고 CGMMV-CP 유전자에 관련된 물질의 이동 여부를 조사하였다. PCR, northern, western 분석한 결과 수박공대 대목에서 형성되는 DNA, RNA, protein 물질이 접수로 이동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reviously developed transgenic watermelon rootstocks (gongdae) inserted by CGMMV-CP were examined to test the virus tolerance levels. In the restricted plastic house, the $T_{3}$ watermelon rootstock showed tolerance to CGMMV until 70 days after inoculation on the leaves while the non-transformed watermelon rootstock became susceptible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In the field, tolerance efficiency of transgenic rootstocks maintained up to 40% at 71 days after contamination with CGMMV in the soil while all of the non-transformed rootstocks became susceptible at 37 days with the same condition. In the same field, transgenic rootstocks showed more tolerance to CGMMV than the non-transformed rootstocks as those were inoculated on the leaves, but it showed only 10 days delay before being susceptible. Therefore, transgenic rootstocks have a characteristic of delay effect against CGMMV susceptibility, rather than resistance character. From $T_{3}$ rootstocks homozygous for the CGMMV-CP horticulturally favorable individuals were selected for further breeding and a transgenic line was finally obtained at the $BC_{1}T_{5}$. A material transf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the DNA, RNA or expressed protein in the transgenic rootstocks could move to the grafted scion (non-transformed watermelon, Super-Kumcheon). PCR, northern,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and no evidence of transferring of those materials from rootstock to scion was ever found.

      • KCI등재

        소포체 스트레스가 Ajuba 발현유도

        박상미,권기상,윤은영,구태원,권오유,Park, Sang-Mi,Kwon, Ki-Sang,Yun, Eun-Young,Goo, Tae-Won,Kwon, O-Yu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7

        Ajuba is a number of proteins containing cytosolic LIM domain. Its function may provide a new pathway whereby cell-cell adhesive events are transmitted to the nucleus to regulat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decisions. Here, Ajuba gene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ts molecular properties associated with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es (tunicamycin, DTT, A23187 and BFA) which induced remarkable ex-pression of Ajuba mRNA. The mRNA half life of Ajuba was also determined, its half life of Ajuba mRNA in FRTL-5 cells was approximately 2 hr after the initial translation. Although the obvious bioligical function of Ajuba is not clear, on the base of the results, Ajuba gene expression is deeply associated with ER stresses.

      • KCI등재

        작업균형의 개념과 측정에 관한 고찰 : 경향과 치료적 활용전망

        박상미(Park, Sang-mi),박혜연(Park, Hae-Yean),박지혁(Park, Ji-Hyuk)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균형 관련 연구 경향을 알아보고 작업균형의 속성 파악과 함께 건강 및 건강관련 요소와 작업균형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체계적 문헌 고찰을 위해 NDSL, Riss, Pubmed, Google Scholar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 10월부터 2016년 9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검색용어로 ‘occupational balance’ OR ‘작업 균형’을 사용하였다. 검색 결과로 얻은 223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경향과 작업균형 평가도구가 측정하는 속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10편 모두 처치나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조사연구였으며 10편 중 7편이 최근 5년 이내에 발표된 연구로 나타나 근래에 작업균형 연구가 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 연구의 대상은 성인과 노인이었고, 특정 질환 군이나 기능제약이 있는 집단에서부터 건강한 일반인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작업균형 평가를 위해 측정한 속성에는 시간적 속성, 개인의 작업 수행능력, 작업 성취도, 작업 간 상호관련성, 작업의 다양성, 개인의 수행 능력이나 작업에 대한 희망 정도와 실제 수행 정도 간의 일치성이 있었다. 작업균형의 회복을 통한 대상자의 건강, 참여와 여가,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속성을 갖는 작업균형의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것은 작업균형의 다면적 속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전제할 때 가능하다. 이를 위해 연령이나 학력,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개인 일상의 작업 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작업 구성에 대한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작업균형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on occupational balance, analyse attributes of occupational balance and verify a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balance and health and health-related factors. NDSL, Riss, Pubmed, Google Scholar were used for searching articles published from October 2007 to September 2016 and ‘occupational balance’ OR ‘작업균형’ were used as search terms. 10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among 223 articles. All of 10 articles were survey researches and it was founded that 7 researches of 10 were published in recent 5 years.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adults and the elderly. The properties were measured to assess occupational balance were time use, personal ability, achievement, interaction between occupations, diversity of occupations, congruence between abilities or degree of hope for occupations and participants’ present occupations.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is first step to improve the clients’ health, participation, leisure, and quality of life by restoring their occupational balance. This is possible when the measurements could assess various properties of occupational balance. It is needed to develop measurements for occupational balance which could show the result of occupational composi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regardless of age, level of education, or cultural influence.

      • SCOPUSKCI등재

        CaO-Gd<sub>2</sub>O<sub>3</sub>-Al<sub>2</sub>O<sub>3</sub>계에서의 PDP용 Eu<sup>3+</sup>와 Tb<sup>3+</sup> 활성 형광체의 탐색

        박상미(Park, Sang-Mi),김창해(Kim, Chang-Hae),박희동(Park, Hui-Dong),장호겸(Jang, Ho-Gyeom),박준택(Park, Jun-Taek) 대한화학회 2002 대한화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조합화학을 이용하여 계에서 와 활성 적색 및 녹색 PDP용 형광체를 탐색하였으며 탐색된 형광체의 합성온도, 최적조성,발광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의 삼성분계의 형광특성 라이브러리를 작성하기 위하여 210개의 다른 조성을 가진 시료를 고분자 착체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형광체 분말을 VUV PL로 측정하여 형광 특성 라이브러리를 작성하였고 발광특성이 잘 나타난 시료를 XPD를 이용하여 결정 구조를 확인하였다. 적색 형광체로서 탐색된 G : Eu(0.02< <0.04)형광체는 색순도 면에서 상용형광체보다 개선된 특성을 보였으며 녹색 형광체로서 탐색된 : Tb, Ca : Tb, : Tb, : Tb 형광체 중에서 : Tb, Ca : Tb형광체는 상용 형광체에 비해 잔광시간이 짧은 특성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have screened - and -activated candidate phosphors for PDP in the sys-tems of CaO-GdO-AlO by combinatorial chemistry and investigated the synthetic temperature, optimum com-position and luminescent properties about the candidate phosphors. To construct the emission intensity library by VUV PL, we have synthesized 210 different compositional samples using a polymerized-complex method. Good luminescent samples were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method. $Ca_$G$d_{0.95--}Al_O_$ : Eu(0.02< + <0.04) phos-phors screened as a red phosphor have good color purity than commercial phosphor. In the candidate phosphors of CaGdAl : Tb, Ca : Tb, GdAl : Tb, and Gd : Tb CaGdAl : Tb, and Ca : Tb have shorter decay time than commercial phosphor.

      • KCI등재

        소득계층에 따른 소비가치, 소비행동,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상미(Sangmi Park),허경옥(Kyungok Huh)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소비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소비욕구의 근거이자 판단의 기준이 되는 소비가치를 기반으로 한 소비행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소득계층에 따른 소비가치와 소비행동, 소비만족도 간의 관계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소비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합리적 소비행동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소득계층별 분류에 따라 소비가치, 소비행동, 소비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위소득계층의 경우 상황적 가치가 이성소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식적 가치가 감성소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성소비행동과 감성소비행동 모두 소비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 하였다. 둘째, 중위소득계층의 경우에는 정서적 가치와 인식적 가치 그리고 상황적 가치가 감성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가치와 인식적 가치, 상황적 가치가 이성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성소비행동만이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소득계층의 경우에는 사회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가 이성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가 감성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성소비행동과 감성소비행동 모두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mprove consumption satisfaction, reasonable consumer behavior based on consumption value which could be a basis of consumption needs and a yardstick for judgement of consumer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also propose reasonable consumption behavior improving consumption satisfaction through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consumption value,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by income class. The finding of results from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showed that functional value and conditional value had an influence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epistemic value, while emotional value had an influence on emotional consumption behavior. Among these behaviors, only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had a static influence on consumption satisfaction directly. Second,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by income classes showed that conditional valu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epistemic value had a static influence on emotional consumption behavior for the high income class. However, both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emotional behavior had no influence on consumption satisfaction. Third, for middle income class, emotional value, epistemic value and conditional value had an influence on emo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functional value, epistemic value and conditional value had an influence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Only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had an influence on consumption satisfaction. Fourth, for low income class, soci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an influence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social value and emotional value had an influence on emotional consumption behavior. Both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emotional consumption behavior had an influence on consumption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