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SC를 활용한 Data Warehouse 기반의 건설 프로젝트 성과관리

        박문서,김남호,이현수,안창범,이규성,Park, Moon-Seo,Kim, Nam-Ho,Lee, Hyun-Soo,Ahn, Chang-Bum,Lee, Kyu-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 No.3

        Many companies have managed their business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ir enterprise purpose.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applied concept of BSC (Balanced Scorecard) is widely used all over the worl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SC-based performance management is currently introduced with needs of balanced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most companies actually have intermediate level of adapting BSC.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s process or and structure.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making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and defining each phase of it. In addition, the model and system are established with putting them together. With developing performance process in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mpanies are supposed to detect the deficiencies of the curr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and take some opportunity to be helped for supporting their decision-making.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values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application. 많은 기업들은 그들의 기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업의 성과를 관리한다. 그 중 BSC의 개념을 적용한 성과측정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현재 건설 산업에서는 BSC 기반의 프로젝트 성과관리가 균형적인 성과 평가를 위해 도입되고 있다. 많은 건설 기업들은 BSC를 적용하는 단계에 있고 성과를 측정하는 데 많은 부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측정된 성과 결과에 대한 분석과 활용이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에서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성과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시스템 구축을 최종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분석 및 활용을 고려한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따른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성과관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을 수립하고 그 기대효과를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건설 산업의 성과관리 시스템과 건설 애플리케이션의 가치를 높이는 기회를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국내 기성금 제도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 공공건설분야를 중심으로 -

        박문서,이정훈,이현수,황성주,김수영,Park, Moon-Seo,Lee, Jeoung-Hoon,Lee, Hyun-Soo,Hwang, Sung-Joo,Kim, Soo-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1

        최근 건설경기 위축으로 건설 계약자들의 치열한 수주 경쟁 및 수익성 저조에 따른 경영악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건설관계자들은 "국가계약법"에 의해 공사비를 보호받을 수 있는 공공건설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적 규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기성금 신청 및 지급과 관련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는 대부분의 방안이 계약관계자간의 상호 영향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정책적으로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설사업 시공단계의 기성금 신청 및 지급에 대한 현행 규정제도를 바탕으로 신청 지연 및 지급지연에 따른 계약 관계자들의 상대적 영향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호 관계성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통합적 시각에 따른 현상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을 통한 연구를 바탕으로 기성금 신청 및 지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construction companies' capital condition has been aggravated due to low profit, fierce competition and market contraction. For this reason, the companies rely o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hat protect construction fee by regulations. Despite these regulations, problems regarding progress payment are constantly happening. Also, insufficient analysis on interaction between contractors makes policy making difficult. Thus, in this study, interaction between contractors are quantita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delay of application and payment based on current public construction regulations on construction stage. A system dynamics model is used, which analyzes the problems based on an interaction between contractors, and solutions for progress payment application and payment delay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영어마을의 서비스수입대체 논의와 여행수지 개선방안

        박문서 한국경영교육학회 2007 경영교육연구 Vol.45 No.-

        There has been English education boom in Korea as the globalization policies have been proceeded. The industry ratio of educational services in Korea is very big. So, Korea should not only make the best use of English but also recognize the English application ability as the new production resource or factor for unlimited global competition er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eature of import substitution of English education services and to prepare some measurement to improve the balance of travel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1) English village program or English only zone program can substitute the import of English education services. But, it is suggest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improved in the aspect of operation effectiveness. 2) It is recommended that we should prepare the social infrastructure for English education services and the social atmosphere for using the English in practical, such as a subsidy program for English contents providers who are providing English education contents for the purpose of public goods. 3) In order to improve the balance of travel services and to substitute the demand of English education services, Korea shoul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al services fundamentally which is sharing very big industry portion. 글로벌화가 진전됨에 따라 한국에는 영어교육 열풍이 지속되고 있다. 교육서비스의 산업 비중이 매우 높은 한국으로서는 영어를 적극 활용해야 할뿐더러 무한경쟁의 글로벌 시대를 맞아 영어활용능력을 새로운 자원이자 생산요소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영어교육서비스의 수입대체성 여부를 분석하고 여행수지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영어마을 프로그램은 영어교육서비스의 수입을 대체할 수 있다. 다만 효율성면에서 영어마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어사용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또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가령 영어교육서비스를 공공재의 목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한국은 교육서비스산업 비중이 매우 높지만 그 경쟁력은 매우 취약한 나라이므로, 여행수지 개선 및 영어교육서비스 수입대체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교육서비스에 대한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System Dynamics-based Strategies to Diffuse Construction VE in the Public Sector

        박문서,안철홍,이현수,윤유상 대한토목학회 201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6 No.4

        In construction, frequent contract changes and budget overages occur due to uncertain construction site conditions, schedule delays, and cost fluctuation. However,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through creative alternative solutions. For instan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dget and Accounts Act” in 1980, the Korean government has attempted to enhance the construction process by distributing saved costs to contractors. However,Korea’s “Technology Development Rewarding System,” which is a regulation to activate Value Engineering (VE), has yielded tenuous results with only 5 successful cases. Through an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surveys on VE, this study identifies the predomin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a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VECP) system. These variables are then divided into 5 categories: (1) design quality; (2) type of ordering system; (3) contract change; (4) attractiveness of VECP to contractors; and (5) attractiveness of VECP to owners. Furthermore, while previously proposed strategies, such as controlling the sharing rate, have been based on fragmentary analysis, this study deploys a System Dynamics (SD) approach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se variables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and subsequently present 5 strategies to diffuse VECPs in the public sector. Finally, through a case study, this research propose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D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 and company VE policy. Ultimately, this research aims at presenting strategies that will induce the government to revise their V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