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한인진의 항염 및 항산화 복합 활성 최적 추출 조건에 관한 연구

        박다원 ( Dawon Park ),최우석 ( Woo Seok Choi ),이창현 ( Chang Hyeon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에서는 한인진으로부터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 및 추출법을 개발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을 확인하였다.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헥산 및 EA를 추출 용매로 한 초음파, 초고압 추출법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을 한 후 NO 생성 저해 활성과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항염, 항산화 활성, 수율 및 안전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에탄올 용매의 초음파추출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음파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사용하여 연구한 결과, 수율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함량(45.71%), 추출 시간(63.33 min), 초음파출력량(308.84 W)일 때, 15.85%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제 수율은 16.40 ± 0.28%였다. 항염과 항산화 복합 활성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함량(94.54%), 추출 시간(90.00 min), 초음파 출력량(400.00 W)일 때, 각각 94.54%, 58.0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측검증에서 각각 89.77 ± 1.37%, 60.12 ± 0.39%으로 예측 값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solvent, a extraction method and optimized conditions for Artemisia iwayomogi extract. which is effective to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A. iwayomogi extract by distilled water, ethanol, methanol, hexane and ethyl acetate using ultrasonic, high-pressure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investigated for NO inhibitor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tract obtained by ethanol an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showed high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yiel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find a optimized ultrasonic extraction condi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higher yield were ethanol solvent of 45.71% concentration with extraction time and ultrasonic power of 63.33min and 308.84 W, respectively. This condition predicted 15.85% yield, but real yield was 16.40 ± 0.28%. The optimum conditions for simultaneou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established as ethanol concentration (80.81%), extraction time (90.00 min) and ultrasonic power (400.00 W). NO production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89.77 ± 1.37% and 60.12 ± 0.3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similar to the predicted values of 94.54%, 58.03% respectively.

      • KCI등재

        3층 전단벽 구조물의 지진응답에 관한 수치해석

        박다원,최영준,홍정욱,Park, Dawon,Choi, Youngjun,Hong, Jung-Wuk 한국지진공학회 2021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25 No.3

        A shear wall is a structural member designed to effectively resist in-plane lateral forces, such as strong winds and earthquakes. Due to its efficiency and stability, shear walls are often installed in residential buildings and essential faciliti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In this research, to predict the results of the shaking table test of the three-story shear wall RC structure host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hree types of numerical modeling techniques are proposed: Preliminary, Calibrated 1, and Calibrated 2 models, in order of improvement. For the proposed models, an earthquake of the 2016 Gyeongju, South Korea (peak ground acceleration of 0.28 g) and its amplified earthquake (peak ground acceleration of 0.50 g) are input. The response spectra of the measuring points are obtained by numerical analysis. Good agreement is observed i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experiment results and the simulation conducted on the finally adopted numerical model, Calibrated 2.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mode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the mode shape, materi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on the structure's seismic behavior.

      • KCI등재

        3차원 Arbitrary Lagrangian-Eulerian 기법을 사용한 자유 대기 중 폭발 해석의 최적 격자망 크기 산정

        이예나,이태희,박다원,최영준,홍정욱,Yena Lee,Tae Hee Lee,Dawon Park,Youngjun Choi,Jung-Wuk Ho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6 No.6

        폭발 수치해석 기법 중 Arbitrary Lagrangian-Eulerian(ALE)는 구조물의 파괴뿐만 아니라 폭발 이후 충격파의 전파 과정까지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동적 해석 시 유한요소 모델의 격자망 크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해석 결과의 신뢰도가 부정확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ALE 수치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대기의 격자망 크기가 해석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다양한 조건의 격자망 크기와 폭발 중량을 갖는 대기 중 폭발모델을 구축하고, 폭발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폭발압력을 관찰한다. 수치해석과 실험에서 얻은 최대 폭발압력 결과에 대해 평균 제곱 오차를 계산하여 최적의 격자망 크기를 제안하고, 제안된 크기를 바탕으로 폭발물 중량과 대기의 최적 격자망 크기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중량을 가진 폭발물 해석에서 최적의 격자망 크기를 제공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폭발 수치해석 모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rbitrary Lagrangian-Eulerian (ALE) method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owing to its capability to accurately predict the propagation of blast shock waves. Although the use of the ALE method for dynamic analysis can produce unreliable results depending on the mesh size of the finite element,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sh size for the air domain and the accuracy of numerical analysis.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ocedure to calculate the optimal mesh size based on the mean squared error between the maximum blast pressure values obtained from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s. Furthermore,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of explosive material (TNT) and the optimal mesh size of the air domai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imating the optimal mesh size in blast simulations with various explosion weight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advanced blast numerical analysis models.

      • SCOPUSKCI등재

        개인별 목표 설정과 스마트폰 기반 영양상담을 통한 20–30대 성인의 영양지수 및 식이 자아효능감 향상

        김다현(Dahyeon Kim),박다원(Dawon Park),한영희(Young-Hee Han),현태선(Taisun Hyun) 한국영양학회 202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6 No.4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식습관 목표를 설정하고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영양상담이 대상자의 영양지수, 식이 자아효능감, 영양소 섭취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3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1:1 채팅방을 통해 주 1회 1시간 내외로 8주간 비대면 영양상담을 진행하였다. 상담 첫째 주에는 사전 온라인 설문조사와 식사섭취조사를 실시하였고, 두 번째 주에는 사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가지의 식습관 목표를 설정하였고, 목표 달성 여부를 매일 기록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였다. 3주차부터는 상담영양사가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피드백 메시지와 식생활 지침에 대한 정보를 카드뉴스 형식으로 제공하였다. 7주차 상담 후에는 사후 온라인 설문조사와 식사섭취조사를 실시하였고, 8주차에는 그 동안의 변화된 식습관을 살펴보고 상담과정 평가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양상담 전후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영양상담 후 대상자의 영양지수와 주위 환경 자극 조절 효능감 점수가 영양상담 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영양지수 문항별로는 과일, 우유 및 유제품, 견과류, 채소류, 패스트푸드, 라면, 달고 기름진 빵류, 가당음료류의 섭취 빈도 점수가 영양상담 후 유의하게 높았다. 단백질,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엽산, 칼슘, 철의 섭취량과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엽산, 칼슘, 철의 INQ도 영양상담 전보다 후에 높았다. 또한 참가자들은 영양상담 프로그램과 제공되는 영양정보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와 같이 개인별 목표 설정과 스마트폰 기반 영양상담은 20–30대 성인의 영양지수, 주위 환경 자극 조절 효능감, 그리고 영양소의 양적, 질적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에 따라 분류한 저체중·정상체중군과 과체중·비만군 모두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개인별 목표 설정, 자기 모니터링, 목표 달성에 대한 피드백과 격려가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보이며, 스마트폰을 편하게 사용하는 젊은 성인에게는 대면 상담이 아닌 스마트폰 채팅 기반 영양상담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goal setting and smartphone-based nutrition counseling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Methods: Nutrition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0 adults through a 1:1 chat room of a mobile instant messenger, once a week for 8 weeks. The first week of counseling included a preliminary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a dietary intake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2 dietary goals were set in the second week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ord their achievements on a daily checklist. From the third week onwards, counselors sent feedback messages based on the checklist and provided information on dietary guidelines in a card news format every week. Post-counseling questionnaires and dietary intake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seventh week. Changes in dietary habits during the counseling were reviewed in the eighth week, followed by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valuation of the counseling process. Results: The nutrition quotient (NQ) scores and self-efficac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nutrition counseling. The NQ scores of consumption frequencies of fruits, milk and dairy products, nuts, fast food, Ramyeon, sweet and greasy baked products, sugarsweetened beverages, the number of vegetable dishes at meals, and breakfast frequ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nutrition counseling. The intake of protein,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folate, calcium, and iron, and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of vitamin A, riboflavin, folate, calcium, and iron were higher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and the provided nutrition information. Conclusion: Personalized goal setting and smartphone-based nutrition counseling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diet and self-efficacy in young adults.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the underweight/normal weight and the overweight/obese groups.

      • 스마트 해상물류 시스템을 위한 컨테이너 설계 및 개발

        강지수 ( Jisu Kang ),김현진 ( Hyunjin Kim ),박다원 ( Dawon Park ),배소영 ( Soyoung Bae ),이시현 ( Sihye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통신기술이 1 세에서 5 세대로 발전하는 동안 해상물류의 핵심인 컨테이너는 기능상의 큰 발전없이 과거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수기로 관리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IoT 장비를 활용해 실시간 위치 파악, 상태 모니터링 및 자동화 등을 통해 물류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새로운 서비스 창출하기 위한 스마트 컨테이너를 제안한다. 부가적으로, 태양열판을 이용한 전원공급,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방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신선 식품 배송의 핵심인 풀 코드 체인(Full Cold Chain) 플랫폼으로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