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모유수유 신생아에게 발생한 고나트륨혈성 탈수증 1례

        박경필,김진경,김행미,Park, Kyung Pil,Kim, Jin Kyung,Kim, Heng M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모유 수유아에 발생하는 고나트륨혈성 탈수는 드물기는 하나 지난 30년 동안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저자들은 모유 수유 부족에 의한 고나트륨혈성 탈수를 보인 생후 14일된 여아를 경험하였다. 내원시 환아는 17%의 체중 감소가 있었고, 혈청 나트륨농도는 179 mEq/L였으며, 전신성 요독증, 고혈당증,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심부전 소견있었으나 치료 후 교정되었으며, 탈수 교정 중 경련을 보였으나 두부 초음파 및 뇌자기공명영상 검사에 뇌부종, 출혈 등 이상 소견은 없었고, 환아 현재 정상적인 발달을 하고 있기에 문헌 고찰상 이 증례는 모유 수유 중 발생한 고나트륨혈성 탈수의 첫 증례로 생각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Sporadic reports of hypernatremic dehydration in breastfed newborn infants have appeared in medical literature for at least 3 decades. We report the first case of hypernatremic dehydration resulting from inadequate breast-feeding in Korea. A 14-day old baby, born to a mentally retarded mother,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with a body weight loss of 460 g since birth(17%) and a serum sodium(Na) level of 179 mEq/L, after initial hydration at another hospital. On admission, a cardiac murmur was heard and an enlarged liver was palpated. Cardiac ultrasonogram revealed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ostium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During hydration, a seizure-like attack developed. Serum Na decreased to 135 mEq/L on the 5th day of admission. Brain ultrasonography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 revealed no remarkable abnormalities. Electroencephalography was normal. She suffered from prerenal azotemia, hyperglycemia an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t admission but was treated successfully. Heart failure was also controlled with dobutamine, diuretics and digoxin.

      • KCI등재후보

        SLC25A4 and C10ORF2 Mutations in Autosomal Dominant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박경필,김향숙,김은숙,박영은,이창훈,김대성 대한신경과학회 2011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7 No.1

        Background and Purpose: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PEO) with Mendelian inheritance is a heterogeneous group of diseases associated with multiple deletions of mitochondrial DNA (mtDNA), which results from the disturbed replication and maintenance of mtDNA secondary to the mutations of nuclear genes including POLG, SLC25A4, C10ORF2, POLG2, OPA1,and RRM2B.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etic defects underlying the pathology and clinical features in two Korean kindreds with autosomal dominant PEO. Methods:Two pathologically proven PEO patients with a clear autosomal dominant pattern of inheritance were selected. To exclude a large-scale rearrangement, a long-rang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using DNA extracted from biopsied muscle tissue taken from each patient. All coding regions and exon-intron boundaries of POLG, SLC25A4, C10ORF2, and POLG2were amplified by PCR and directly sequenced. Results:One patient showed multiple deletions of mtDNA on long-range PCR analysis, and two known heterozygous missense mutations in SLC25A4 (p.Asp104Gly) and C10ORF2 (p.Glu479Lys)were identified in each patient. The p.Asp104Gly mutation in SLC25A4 was identified in the patient with an early onset, slowly progressive, pure PEO phenotype, while the p.Glu479Lys mutation in C10ORF2 was identified in the other patient, with a late-onset disease and PEO plus phenotype. Conclusions:Two mutations affecting nuclear genes were identified in Korean patients with autosomal dominant PEO.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dentify the clear pathogenetic mechanisms and establish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autosomal dominant PEO.

      • KCI등재

        메타포 분석을 통해 본 고경력 보육교사의 위치성

        박경필,이경화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5

        Objective: The research aimed to help understand the lives of those living in today's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positionality of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and to obtain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1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seven years of job experience. The metaphors expressing themselves were collected and implemented the metaphor analysis in terms of positionality.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experts were positioned as teachers who cared for and taught children, as co-learners with children, and as leaders of junior teachers. Second,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minorities were positioned as non-subjects, and as oppressed persons who had to obey in the lower level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childcare centers. Third, the participants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marginal persons were positioned as problem solvers, and as border-crossers who conflict and adjust in complex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irst, policies must be expressed in public language that respect childcare teachers as a key worker in society; second, the job policies must be shifted toward employment security of childcare teachers. Third, substantial support for labor costs for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expanded.

      • SCOPUSKCI등재

        미숙아에서의 전비경구적 영양 관련 담즙울체

        박경필,김세영,김행미,Park, Kyung Pil,Kim, Se Young,Kim, Heng M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목 적 :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는 오랫동안 전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미숙아에게 있어 TPN을 오래 시행하는 경우 담즙 울체성 황달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나 그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가운데 발생한 TPN 관련 담즙울체(TPN associated cholestasis, TPNAC) 환아를 대상으로 발생빈도, 임상 경과와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2년 5월까지 2년 동안 경북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2주 이상 TPN을 시행 한 출생체중 2,000 gm 미만의 미숙아 66명 가운데 담즙 울체가 발생한 환아 21명을 대상으로 울체가 발생하지 않은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TPN 관련 담즙울체의 진단은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이고 간염이나 담도 폐쇄 등의 다른 울체의 원인이 배제된 경우로 하였다. 담즙 울체의 발생시기, 빈도, 지속기간, 임상경과,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는 대상 환아의 의무기록지를 검토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PNAC의 발생빈도는 31.8%였으며, 출생 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낮을수록, TPN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발생시기는 TPN 시작 후 평균 41.7일${\pm}$17.4일이었으며 지속기간은 평균 $33.6{\pm}23.4$일이었다. TPNAC 환아는 대조군보다 생후 3주째의 경구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나 TPNAC 환아와 대조군 사이에 감염이나 가사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TPNAC의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직접 빌리루빈은 4-6주에 증가하였으며 ALT(alanine aminotransferase, SGPT)는 생후 6-8주에 증가하였다. 결 론 : 본 조사에서 TPNAC는 출생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적은 미숙아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TPN 기간이 길수록 호발하 였다. TPNAC 환아들은 TPN 시행 중 병행한 경구 수유량이 생후 3주째 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따라서 고위험 환아들은 TPN 영양 중에도 경구 영양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경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TPNAC 발생을 경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Cholestasis is a major complication in prolonged use of TPN, especially in the neonatal period, but there are few long-term reviews examining the clinical course in premature infants. Thus, in this study, we reviewed premature infants with TPN-associated cholestasis(TPNAC) to determine the incidence, clinical courses and possible risk factors.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66 premature infants less than 2,000 gm of birth weight and on TPN for more than two weeks was performed. Cholestasis was defined as a serum direct bilirubin level greater than 2.0 mg/dL. The clinical course of cholestasis was described, and perinatal risk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 TPNAC developed in 21 out of 66 infants(31.8%). The onset was $41.7{\pm}17.4days$ after receiving TPN, and the mean duration was $33.6{\pm}23.4days$. The incidence of TPNA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nd duration of TPN. But, possible etiologic factors, such as incidence of perinatal asphyxia or infection,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infants with TPNAC and those without TPNAC(control). The enteral intake in the third postnatal week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infants with TPNAC than in the control infants(P=0.033). Conclusion : The enteral intake in the third postnatal week was smaller in the infants with TPNAC than in the control infants. Thus, the incidence of TPNAC may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ral intake during TPN in high risk infants.

      • KCI등재

        미숙아에서의 전비경구적 영양 관련 답즙울체

        박경필,김세영,김행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

        Purpose : Cholestasis is a major complication in prolonged use of TPN, especially in the neonatal period, but there are few long-term reviews examining the clinical course in premature infants. Thus, in this study, we reviewed premature infants with TPN-associated cholestasis(TPNAC) to determine the incidence, clinical courses and possible risk factors.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66 premature infants less than 2,000 gm of birth weight and on TPN for more than two weeks was performed. Cholestasis was defined as a serum direct bilirubin level greater than 2.0 mg/dL. The clinical course of cholestasis was described, and perinatal risk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 TPNAC developed in 21 out of 66 infants(31.8%). The onset was 41.7±17.4 days after receiving TPN, and the mean duration was 33.6±23.4 days. The incidence of TPNA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nd duration of TPN. But, possible etiologic factors, such as incidence of perinatal asphyxia or infection,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infants with TPNAC and those without TPNAC(control). The enteral intake in the third postnatal week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infants with TPNAC than in the control infants(P=0.033). Conclusion : The enteral intake in the third postnatal week was smaller in the infants with TPNAC than in the control infants. Thus, the incidence of TPNAC may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ral intake during TPN in high risk infants. 목 적 :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는 오랫동안 전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미숙아에게 있어 TPN을 오래 시행하는 경우 담즙 울체성 황달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나 그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가운데 발생한 TPN 관련 담즙울체(TPN associated cholestasis, TPNAC) 환아를 대상으로 발생빈도, 임상 경과와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2년 5월까지 2년 동안 경북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2주 이상 TPN을 시행 한 출생체중 2,000 gm 미만의 미숙아 66명 가운데 담즙 울체가 발생한 환아 21명을 대상으로 울체가 발생하지 않은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TPN 관련 담즙울체의 진단은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이고 간염이나 담도 폐쇄 등의 다른 울체의 원인이 배제된 경우로 하였다. 담즙 울체의 발생시기, 빈도, 지속기간, 임상경과,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는 대상 환아의 의무기록지를 검토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PNAC의 발생빈도는 31.8%였으며, 출생 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낮을수록, TPN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발생시기는 TPN 시작 후 평균 41.7일±17.4일이었으며 지속기간은 평균 33.6±23.4일이었다. TPNAC 환아는 대조군보다 생후 3주째의 경구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나 TPNAC 환아와 대조군 사이에 감염이나 가사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TPNAC의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직접 빌리루빈은 4-6주에 증가하였으며 ALT(alanine aminotransferase, SGPT)는 생후 6-8주에 증가하였다.

      • KCI등재

        신생쥐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손상 후 덱사메타손의 투여 효과

        박창로,박경필,김행미,손윤경,Park, Chang Ro,Park, Kyung Pil,Kim, Heng Mi,Sohn, Yoon Ky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목 적 : 미숙아들은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의 미숙으로 만삭아 보다 주산기 저산소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만성 폐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출생 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 기회 또한 높다. 저산소-허혈 즉 주산기 가사가 일어나는 경우 비가역적 손상을 나타내는 기관은 뇌가 유일하므로 뇌손상 정도는 장기적 예후와 직결된다. 이에 저자들은 저산소-허혈에 의한 뇌손상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제 중 신생아에게 가장 빈번하게 쓰이고 있는 덱사메타손이 신생아 뇌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는 10마리의 Sprague-Dawley rat 어미에서 태어난 103마리의 신생쥐를 총경동맥 절단과 산소 농도 8%에 노출시켜 저산소-허혈 모형을 만들고 덱사메타손체중 kg 당 0.5 mg을 투여하였다. 적출뇌는 terminal-deoxynucleotidyl-transferase-mediated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 end labelling(TUNEL) 염색, Bcl-2 및 Bax 형광염색, TUNEL 및 synaptophysin 이중 염색을 시행하여 세포 자멸사 양상을 관찰하고 경색부위 면적은 백분율로 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 과 : 허혈-저산소 환경 노출 후 생존한 95마리 중 덱사메타손 투여군은 54마리, 대조군은 41마리였다. 양육 중 덱사메타손 투여군 가운데 25마리가 사망하였고 대조군은 7마리가 사망하여 덱사메타손 투여군에서의 사망률이 의의 있게 높았다(46.3% vs. 17.1%, P=0.002). 생후 7일째 저산소-허혈 및 투약 전 체중은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후 14일째 측정한 체중은 덱사메타손 투여군의 체중 증가가 유의하게 적었다(P=0.001). Bax 및 Bcl-2, Bax/Bcl-2 및 TUNEL 염색 소견은 측정 단위당 Bax가 덱사메타손 투여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Bax/Bcl-2 및 TUNEL 양성세포 역시 덱사메타손군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덱사메타손군의 뇌손상 부위는 대조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저산소-허혈 후 덱사메타손 투여는 체중 증가 방해, 사망률 증가 등 전신 상태의 악화를 초래하며 뇌세포 자멸사를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 Purpose : Dexamethasone is frequently administered to prevent or treat chronic lung disease in human neonates who are also prone to hypoxic-ischemic(HI) insults. Recently, meta-analysis of the follow-up studies reveals a significantly increased odd ratio for the occurrence of cerebral palsy or an abnormal neurologic outcome, and there is conflicting evidence regarding the impact of dexamethasone exposure on HI brain inju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post-HI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on neuronal injury in neonatal rats. Methods : HI was produced in seven-day-old rats by right carotid artery ligation followed by two hours of 8% oxygen exposure. At the end of HI, the animal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either with dexamethasone(0.5 mg/kg) or saline. Neuronal injury was assessed seven days after the HI by the area of infarction, TUNEL reactivity, Bcl-2 and Bax expression in brain. Results : Post-insult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resulted in reduction of weight gain and a higher mortality rate during seven days after HI. Dexamethasone treatment revealed no effect on the size of brain infarction induced by HI. Bax protein expression increased in dexamethasone treated brain but Bcl-2 protein expression and TUNEL reactivit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xamethasone treated and non treated brain. Increased Bax protein expression suggest upregulation of the apoptosis by dexamethasone.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s the adverse role of Post-HI administration of dexamethasone in neonatal HI.

      • KCI등재

        응급 중재적 시술로 치료한 반복되는 감각성 일과성뇌허혈발작

        손제용,박경필,김대성,박규현,정대수 대한신경과학회 2005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3 No.5

        A 47-year-old man presented with recurrent transient right hemiparesthesia and right homonymous hemianopsia. The transient ischemic attacks (TIAs) may be related to hemodynamic disturbance caused by acute occlusio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with severe stenosis of the ipsilateral posterior cerebral artery. After urgent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here were no further attacks. Our case suggests that repetitive sensory TIAs can be induced by a hemodynamic disturbance caused by a large artery stenosis, which can be prevented with urgent endovascular treatment.

      • SCOPUSKCI등재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에 있어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적 특징 :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

        임정화,박경필,김진경,김행미,Lim, Jung Hwa,Park, Kyung Pil,Kim, Jin Kyung,Kim, Heng M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간 입원 중인 환아는 입원중 전신성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이미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아에서 전신 감염 증상이 발현하면, 전신성 칸디다증은 장기간의 amphotericin B의 투여가 필요하며 세균 감염증은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의 교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인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증상과 증상 발현시의 검사 소견을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소견의 조기 감별 진단 상의의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미숙아 중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배양검사로 확인된 전신성 칸디다증 20례와 전신성 세균 감염증 23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전신성 칸디다증 환아(이하 칸디다군)의 출생시 체중은 $1,290{\pm}290g$으로 전신성 세균 감염증 환아(이하 세균군)의 $1,530{\pm}430g$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총 정맥 영양, 항생제 투여, 중심 카테테르, 기관 삽관, $H_2$ 차단제 사용의 빈도가 더 높았다. 임상 양상에 있어서는 서맥 동반 무호흡 및 호흡 곤란이 두 군의 주된 발현시 증상으로, 발현 빈도는 칸디다군(90%)에서 세균군(61%)에 비해 높았다. 증상 발현시 시행한 검사 소견에서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가 칸디다군 7례(35%), 세균군 2례(9%)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균은 대부분 혈액에서 배양되었으며(칸디다군 19례, 세균군 19례), 그 외에 요, 중심 카테테르, 뇌척수액 등에서 배양되었다. 감염균은 칸디다군은 Candida albicans가 15례, 세균군은 Klebsiella pneumoniae와 Enterobacter cloacae가 각각 5례로 가장 빈번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 입원 중 전신 감염증 증상을 보이는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과 함께 검사상 혈소판 감소 단독 또는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신성 칸디다 감염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Long term hospitalized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NICUs) are prone to systemic infection.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systemic candidiasis from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early in the course. Thus,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stemic candidiasis and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in premature low birth weight infants. Methods :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20 patients with systemic candidiasis and 23 patients with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was performed. Results : Among the risk factors of systemic candidiasis,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the use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central catheter insertion,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he use of H2 blockers were more frequent in neonates with systemic candidiasis than neonates with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Apnea with bradycardia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neonates with systemic candidiasis compared with systemic bacterial infection(75% vs 39%). In laboratory findings at symptom onset, seven cases(35%) of systemic candidal infections and two cases(9%) of systemic bacterial infections showed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P=0.03). Blood was the most frequent isolation site of candida and bacteria. Conclusion : In neonates with systemic candidiasis, apnea with bradycardia, pneumonia and thrombocytopenia were prone to develop more frequently. The use of TPN, antibiotics and central catheter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systemic candidiasis. Empirical treatment with antifungal agent should be considered in critically ill neonates with above findings.

      • KCI등재

        신생아 백질연화증 환아 말초혈의 중성구 변화

        이환석,박경필,김행미,Lee, Hwan Seok,Park, Kyung Pil,Kim, Heng M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목 적 : 조직 손상에 중성구가 관련하는 병변에서 말초혈 중성구 감소가 관찰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백질연화증 환아의 출생 직후 채혈한 말초혈에서 중성구의 변화를 조사하여 백질연화증 발생에 있어서의 중성구 감소의 유무 및 나아가 백질연화증 발병 기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2월부터 3년 동안 체중 1,500 gm 미만인 신생아로 출생 1시간 이내에 말초혈 온혈구계산(complete blood count)을 시행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성구는 말초혈에서 $1,500/mm^3$ 미만인 경우 중성구 감소로 판독하였다. 백질연화증은 두부 초음파 검사를 생후 3-7일에 시행하고 그 소견에 따라 1-2주 간격으로 반복 관찰하여 백질 에코의 증가 후 낭포를 형성하거나, 뇌 CT 혹은 MRI 검사에서 방사선과 전문의가 백질연화증으로 확진한 경우로 하였다. 결 과 : 중성구 감소 신생아는 대상 신생아 37명 중 13명으로 중성구 감소군 신생아의 중성구수는 $988{\pm}512/mm^3$, 중성구 감소를 보이지 않았던 24명의 대조군의 중성구수는 $7,450{\pm}7,412/mm^3$이었다. 중성구 감소군과 대조군의 재태주령, 체중, Apgar 점수, 산모의 임신유발고혈압 및 감염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성구 감소군의 호흡 곤란 증후군의 빈도 인공환기 및 산소 등의 호흡 보조 처치의 필요성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반 질환 중 뇌실내 출혈 및 grade 3 이상의 중증 뇌실내 출혈이 중성구 감소군에서 각각 10명(76.9%) 및 4명(30.8%)으로 대조군의 10명(41.7%) 및 1명(4.2%)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나(P<0.05, 0.042) 만성폐질환, 미숙아 망막증 및 백질연화증의 발생 빈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질연화증으로 확진된 환아 5명과 12명의 대조군의 백혈구 및 중성구 수는 백질연화증군 각각 $18,760.0{\pm}10,266.1/mm^3$, $7,272.0{\pm}7,435.0/mm^3$, 대조군 각각 $11,131.7{\pm}3,386.5/mm^3$, $2,407.5{\pm}1,933.1/mm^3$로 백질연화증 군에서 더 높았고 백질연화증 군의 인공환기 빈도는 80.0%, 인공폐표면 활성제 투여 빈도는 60.0%로 대조군의 41.7% 및 41.7%에 비해 백질연화증 군에서 더 높았으며 인공환기 기간 및 산소흡인 기간 역시 백질연화증 군에서 더 길었으나 대상군의 수가 적어 통계적 검정은 하지 못하였다. 결 론 : 본 조사에서는 중성구의 감소와 호흡 곤란 증후군 및 보조 호흡관리 상태 사이에는 관련성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중성구 감소 미숙아에서 백질연화증의 빈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Purpose : It is now well established that infection and inflamm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ischemic brain damage. The loss of neutrophils from systemic circulation is an associated finding in injury mediated by granulocyte. Periventricular leukomalacia(PVL) caused by ischemia is the principal form of brain injury in premature inf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he low neutrophil count is associated with periventricular leukomalacia(PVL)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undertaken. Subjects were premature infants with a birth weight of less than 1,500 gm,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A complete blood count of peripheral blood was done within the 1st hour of life. Neutropenia was defined as absolute neutrophil count < $1,500/mm^3$, PVL as increased periventricular echodensities followed by cyst formation on ultrasonography or corresponding signs on brain MRI. Results : Thirteen infants out of a total population of 37 revealed neutropenia.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requirement for respiratory support were not different between infants with neutropenia( neutropenia group) and infants without neutropenia(control group).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and grade 3 and 4 IVH were more frequent in neutropenia group(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PVL in neutropenia group. The neutrophil count was $18,760.0{\pm}10,266.1/mm^3$, $7,272.0{\pm}7,435.0/mm^3$ infants with PVL and $11,131.7{\pm}3,386.5/mm^3$, $2,407.5{\pm}1,933.1/mm^3$ in infants without PVL,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artificial surfactant therapy was higher in infants with PVL compared with infants without PVL, but statistical analysis was not performed due to small number of subjects. Conclusion : A low number of neutrophils in the systemic circul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VL in premature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