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지역문화 거점공간의 문화예술 ‘접근성’에 대한 새로운 실천 : 미크로-폴리(Micro-Folie) 디지털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민지은,박신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new attempts and practical directions of the French cultural policy for improving cultural accessibility from a social inclusion perspective. To this end, we analyze the case of "Micro-Folie," a digital museum that realized the need for social inclusion to narrow the cultural and social distance between "non-public" and local residents, and solve the problem of physical accessibility to overcome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Micro-Folie" has signed agreements with 12 national cultural institutions and provides digitized versions of their collections. However, it does not have only a museum function, but also accepts the complex aspect of local cultural activities by adding a function as a cultural hub space where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t is also noteworthy that even if it is newly installed, it is inexpensive due to its modular nature, and can improve accessibility as a life-friendly space by utilizing free spaces such as libraries and shopping malls. In addition, the enjoyment method of experiencing digital content rather than the original also provides an important issue in the accessibility discussion. In this respect, Micro-Folie has great implications for regional culture promotion policy as it can gather results for the accessibility discussion based on the French government's policies implemented so far.

      • KCI등재

        2000년 이후, 프랑스 영화 시장에서의 한국영화현황 - 프랑스 영화계에서의 한국영화위상과 대비된 상업시장에서의 대중성 결여

        민지은,최준호,BERTHO LAVENIR Catherine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6 No.-

        Le cinéma coréen sur le marché français, depuis 2000 :Contraste entre sa notoriété auprès des cinéastes français et son absence de valeur populaire sur le marché français MIN Ji-Eun․CHOE Jun-Ho․Catherine BERTHO LAVENIR A l'occasion des deux concerts SM Town au Zenith du 10 et 11 juin 2011, la vague culturelle coréenne en Europe a attiré l’attention des coréens. Le 26 avril, plus de 5000 billets vendus en un quart d’heure et le 1er mai, des milliers d’adolescents ‘sans billets’ se sont rassemblés devant la pyramide du Louvre pour faire un flashmob afin d’obtenir un seconde concert. ‘Le Monde’, ‘Le Figaro’, ‘L’Express’, ‘Le grand Journal de Canal+’ et ‘Accès privé de M6’ ont diffusé ce phénomène. La prévision se montre au grand jour à l’occasion de ce concert. En fait, déjà depuis 2000, de plus en plus, d’autres domaines comme par exemple, le cinéma, la bande dessinée et les feuilletons télévisés coréens ont profité de cet intérêt grandissant pour la culture coréenne en France. Le pionnier est le cinéma après la nomination du film « Le chant de la fidele Chunhyang, IM Kwon Taek » au ‘53e festival de Cannes’ en 2000. Puis au moment du sommet du cinéma coréen en France en 2005, onze films ont été diffusés dans les salles françaises, 36 films sont sortis en DVD et 28 films ont été nominés en compétition officielle dans de nombreux festivals français du cinéma. La suite était la bande dessinée et les feuilletons. En 2006, 259 bandes dessinées coréennes ont été traduit et publiées en français et le nombre de visites d'un site spécialisé : ‘Drama-Manga-Seinsei’ créé en 2007 pour diffuser les feuilletons coréens dans les pays francophones était de 13, 707,352 le 7 juillet 2011. En janvier 2011, un site marchand ‘Drama passion’ qui diffuse des feuilletons coréens payants est crée en Belgique. Depuis 2008, l’intérêt pour la culture populaire coréenne augmente rapidement grâce à l’arrivée de la K-pop en Europe. Il montre les possibilités de nouveau concept pour consommer la culture populaire coréenne. Car les consommateurs ciblés sont les adolescences qui profitent des réseaux sociaux, certains estiment que la demande pour la culture coréenne sera plus augmenté grâce à cet aspect de l’internet. Cependant, depuis 2006, la quantité de films coréens diffusés en France a diminué d’après les statistiques. Au premier semestre 2011, seulement 3 films ont été diffusés en salle, en 2010, 12 films sont sortis en DVD et 16 films ont été nominés dans des festivals. En revanche, les hommages rendus au cinéma et aux réalisateurs coréens se sont continuellement succédés, les critique des cinéastes français sur les films coréens sont généralement moyenne de 3.6 sur 5, elles touchent les différents aspects du cinéma : films classiques, jeunes cinéastes, acteurs et etc. Qu’est ce que cela peut nous suggérer?Cet article s'intéresse à son absence de valeur populaire sur le marché français en contraste sa notoriété avec cinéastes français. L'analyse de la diffusion commerciale des films coréens en salle et en DVD, des nominations aux festivals cinématographiques français et des critiques de cinéastes et des commentaires des spectateurs depuis 2000 nous permettent de comprendre cette suggestion. Le cinéma coréen est la culture populaire coréenne la plus représentative en France depuis plus de 10ans. Ainsi, cette recherche et notamment l’analyse de la valeur populaire du cinéma coréen sont nécessaires pour mieux comprendre la direction prise par les nouveaux biens culturels populaires coréens k-pop, les feuilletons et aussi art traditionnels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프랑스 내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한 프랑스인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민지은 한국프랑스학회 202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9 No.-

        Cette étude vise à proposer la stratégie relative à la diffusion des contenus culturels coréens en France en analysant le comportement de consommation des Français pour la diffusion permanente des contenus culturels coréens dans l’Hexagone après la pandémie de Covid-19. Face à la crise sanitaire, les Français utilisent les outils numériques de façon plus systématique au quotidien, et sont plus ouverts aux plateformes thématiques leur permettant de découvrir de nouveaux contenus culturels. L’évolution de ce phénomène crée une distinction parmi les consommateurs de contenus culturels coréens entre les fans déjà existants de Hallyu et les consommateurs généraux : le premier groupe participe directement à la production de contenus en ligne, tandis que le second ne fait que de la consommation pure de contenus culturels. À mesure que l’utilisation des réseaux sociaux et le visionnage des contenus vidéos par les Français augmentaient après la pandémie, la préférence et le but de cette consommation par des fans de Hallyu se sont davantage précisés selon le genre du contenu et leur âge. Cette étude propose donc d’analyser le marketing prosommateur des fans de Hallyu et les stratégies de renforcement de la curation de contenu pour les consommateurs généraux, notamment à travers l’analyse des modes de consommation des Français. En matière d’utilisation des réseaux sociaux, a été proposé d’une part la valorisation de Facebook pour le visionnage de K-Dramas (appréciés de toutes les tranches d’âge), ainsi que celle de YouTube, TikTok et Snapchat pour la K-Pop, principalement mise en relief au sein de la génération Z. Et, d’autre part, nous pouvons nous attendre à entrer sur un nouveau marché grâce à la convergence de différents secteurs industriels d’après une stratégie par étapes bien adaptées aux évolutions de l’environnement numérique français.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프랑스 내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소비행태를분석하여 지속적인 확산을 위한 전략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19로인해 프랑스인의 디지털 도구 사용은 일상화가 되었고 새로운 정보에 더많이 노출되면서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소비자도 콘텐츠 생산에 참여해 온 기존의 한류 팬과 콘텐츠 소비에 충실한 소비자로 이분화되었다. 또한, 팬데믹 이후 프랑스인의 소셜 네트워크와 영상콘텐츠 사용이 증가하면서 한류 팬들의 소셜 네트워크 사용도 콘텐츠 장르와 연령에 따라 선호하는 플랫폼과 사용 목적이 더욱 명확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이후, 프랑스인의 디지털 기술 사용실태 분석을 통해 소비행태와 콘텐츠 장르에 따른 차별화 전략의 필요성을 도출한후, 그에 따른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선, 소비행태별로는 기존 한류 팬과코로나19 이후 증가하기 시작한 일반 소비자를 구분하여 한류 팬을 위한프로슈머 마케팅과 일반 소비자를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강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콘텐츠 장르별 소셜 네트워크 활용에 있어서도 장르별 특성에따른 소비행태에 따라 K-드라마는 정보공유와 소통에 최적화된 Facebook, K-Pop은 콘텐츠 창작과 공유가 용이한 YouTube, TikTok, Snapchat 등의 플랫폼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국내 가상현실 기술과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프랑스 디지털 환경 변화에 맞춘 단계별 전략을 통해 대중문화콘텐츠 뿐만 아니라 산업간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을 기대할 수있다.

      • KCI등재후보

        프랑스 내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소비의 확산을 위한 연구 - 커뮤니케이션 매개로서의 한류콘텐츠

        민지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8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reation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Wave in France based on the behavior patterns of Korean Wave fans and direct consumers of Korean popular cultural content in the country. In addition, the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to promote their continuous content consumption. Since 2006, French fans have expanded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by creating fandoms through communicating in cyberspac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llowed an ethnographic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Korean Wave community in France and relevant employees were conducted, along with long-term field observation. When the Korean Wave first began in France, fans themselves established collective goals and created a fandom culture, simultaneously expanding the scale of their community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strengthened cohesion by organizing offline activities. For French fans, Korean Wave content—as a medium—served as a communication tool, which confirmed their identification by enhancing a sense of belonging and emotional cohesion through the formation of an entertainment culture in a community. 본 논문은 프랑스 내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직접적인 소비자인 한류 팬들의 행동 양상을 중심으로 프랑스 내 한류의 생성과정 및 현황을 분석하여 지속적인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소비확산을 위한 제언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 2006년 이후 프랑스 팬들의 활동과 범위는 온라인 미디어에서 형성된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급격히 확장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민속 지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프랑스 한류 커뮤니티 회원들과 관련 종사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하였으며 장기간의 현장관찰을 하였다. 프랑스 한류 형성 초기, 팬들은 스스로 공동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팬덤 문화를 형성하였고 동시에 온라인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커뮤니티의 규모를 확장시켜 나갔다. 다른 한편으로 오프라인 활동을 기획하여 결속력을 강화시켜 나갔다. 프랑스 팬들에게 한국대중문화 콘텐츠는 공동체 놀이 문화를 형성하여 소속감을 고취시키고 정서적 결속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매개체 역할을 한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공연산업 생태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프랑스 온라인 공연시장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민지은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2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5 No.1

        본 논문은 국내 온라인 공연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프랑스 온라인 공연산업 생태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 공연시장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모델을 도출한 뒤, 팬데믹 이후 나타난 온라인 공연시장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로 전환하여 프랑스 온라인 공연산업 생태계를 분석하였다. 국내외 공연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타개하고자 대면 공연에서 온라인 공연으로 전환하였다. 하지만 국내 공연계는 공연 제작에 있어서 업체 간 역량 차이, 수익 모델 부재, 라이브니스 재현의 한계, 공연자 법적 보호 장치 미비 등을 이유로 팬데믹 종식 후 온라인 공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반면, 프랑스는 단시간에 온라인 공연시장 생태계를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립된 산업으로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지난 수십 년간 프랑스 정부가 펼쳐온 문화정책과 디지털 관련 정책들의 결과물로, 팬데믹으로 인한 급작스러운 환경 변화 속에서 온라인 공연산업이라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프랑스 정부의 정책은 온라인 공연산업 생태계가 자생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과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온라인 공연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거시적 차원에서의 정책적ㆍ기술적ㆍ경제적ㆍ사회적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온라인 공연산업 생태계가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여 년간 펼쳐 온 스타트업 육성 정책은 온라인 공연시장 성장에 필수적인 기술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스타트업은 온라인 공연시장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

      • KCI등재

        황해 중부 연안 해역에서의 해색센서용 하향 확산 감쇠계수 및 수중시계 추정 알고리즘 개발

        민지은,안유환,이규성,유주형,Min, Jee-Eun,Ahn, Yu-Hwan,Lee, Kyu-Sung,Ryu, Joo-Hyung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3 No.4

        해수 속으로 입수된 하향 태양에너지 (down-welling irradiance)가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확산 소산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하향 확산 감쇠계수 (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of down-welling irradiance, $K_d({\lambda})$)와 해수 속에서의 가시거리를 나타내는 수중시계는 수중에서의 광학적 성격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수이다. 이러한 $K_d({\lambda})$ 및 수중시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세계적으로 여러 해역에 대해 수행되어 왔지만 우리나라 연안 해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황해 중부해역을 대상으로 $K_d({\lambda})$ 및 수중시계를 관측하였고, 해색위성용 $K_d({\lambda})$ 및 수중시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K_d({\lambda})$ 및 수중시계 관측을 위하여 2006년 9월 $19{\sim}22$일, 4일 동안 황해 중부해역에서 현장관측을 실시하였으며, 총 39개 정점에서 해양 광학적 자료와 해양 환경적 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 방법으로 $K_d({\lambda})$와 수중시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들은 각각 기존의 대양의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SeaWiFS 해색 센서용 $K_d({\lambda})$ 알고리즘과 NRL (Naval Research Laboratory)에서 개발된 SeaWiFS 센서용 수중시계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보았다. $K_d({\lambda})$ 알고리즘의 경우는 탁도가 높은 해역 값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수중시계 알고리즘의 경우 NRL의 알고리즘에 비해 약간 높은 계수 값을 얻었다. The 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for down-welling irradiance $K_d({\lambda})$, which is the propagation of down-welling irradiance at wavelength ${\lambda}$ from surface to a depth (z) in the ocean, and underwater visibility are important optical parameters for ocean studie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K_d({\lambda})$ and underwater visibility around the world, but only 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se properties in the Korean sea.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K_d({\lambda})$ and underwater visibility around the coastal area of the Yellow Sea, and developed $K_d({\lambda})$ and underwater visibility algorithms for ocean color satellite sensor.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field campaign around the Yellow Sea from $19{\sim}22$ September, 2006 and there we obtained a set of ocean optical and environmental data. From these datasets the $K_d({\lambda})$ and underwater visibility algorithms were empirically deriv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NASA SeaWiFS $K_d({\lambda})$ algorithm and NRL (Naval Research Laboratory) underwater visibility algorithm. Such comparisons over a turbid area showed small difference in the $K_d({\lambda})$ algorithm and constants of our result for underwater visibility algorithm showed slightly higher values.

      • KCI등재

        휴믹산이 black shale과 오염물질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민지은,박재우 한국물환경학회 200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0 No.6

        Humic acids are macromolecules originated from natural water, soil, and sediment. The characteristics of humic acid enable it to change the distribution of metals as well as many kinds of organic contaminants and to determine the sorption of them from soil solution. To see the effect of humic acid on the removal rate of organic contaminants and heavy metals, batch-sca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As a natural geosorbent, black shale was used as a sorbent media, which showed hight sorption capacity of trichloroethylene (TCE), lead, cadmium and chromium. The effect of sorption-desorption, pH, ionic strength and the concentration of humic acid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CE sorption capacity by black shale was compared to natural bentonite and hexadecyltrimethylammonium (HDTMA) modified bentonite. The removal rate was good and humic acid also sorbed onto black shale very well. The organic part of humic acid could effectively enhance the partition of TCE and it act as an electron donor to reduce Cr(Ⅵ) to Cr(Ⅲ). Cationic metal of Pb(Ⅱ) and Cd(Ⅱ) also removed from the water by black shale. With 3 mg/L of humic acid, both Pb(Ⅱ) and Cd(Ⅱ) were removed more than without humic acid. That could be explained by sorption and complexation with humic acid and that was possible when humic acid could change the hydrophobicity and solubility of heavy metals. Humic acid exhibited desorption-resistivity with black shale, which implied that black shale could be an alternative sorbent or material for remedi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and heavy me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