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층상배관의 통합배수 시스템 개발 및 성능 평가

        민성혜(Min Sung-Hye),성기철(Sung Ki-Chul),김지현(Kim Ji-Hyu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0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horizontal pipe, the method of plumbing is divided into on-slab plumbing or under-slab. We developed the on-slab plumbing which has easier installation and less risk of trap water destruction and leakage than the existed on-slab plumbing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plumbing and noise. The result showed that its plumbing and noise performance is enhanced, as well as, it has own ventilation performance so that it was rarely affected by open or closed opening on the top of the vertical pipe.

      • KCI등재

        UCC 마케팅에서 참여 동기에 따른 효율적인 참여 방법에 관한 연구

        민성혜(Min Sunghye),백수희(Baek Soo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1

        최근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은 UCC를 각 기업에서는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공중파 광고와 달리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UCC 마케팅에서 성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점은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귀찮은 것을 싫어하는 사용자가 기업을 위해 UCC 마케팅에 참여 할리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CC 마케팅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참여 동기의 요인을 여섯가지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참여 동기 요인에 따라 여섯가지로 분류한 참여방법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전체적 참여 방법이 UCC를 보거나 댓글을 다는 등의 소극적 참여 방법 인데 반해 참여 동기에 따른 참여 방법에서는 참여 동기 요인별로 적극적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참여 동기가 크게 작용할수록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UCC 마케팅에 있어서 참여 동기에 따른 효율적인 참여 방법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UCC(User Created Contents) which secured its position as a kind of culture is being used as a marketing scheme. Unlike any public commercial UCC marketing can exert a great impact with relatively low cost and the important key to success of UCC marketing is to draw users' participation. In order to encourage users' participation they need to be motivated. Users who do not like something irksome will never participate in UCC marketing for companies. Accordingly this study extracted six factors stimulating users participation with its focus on participation of users in UCC marketing. With inquiries the study surveyed the ways of participation that users chose among the six participating ways according to motivating factors for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overall participating ways were passive participations such as watching UCC or writing a reply while in the participating ways according to participating motivation they showe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motivating factors for participation. From the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more motivation to participate means more active participation from users. Theref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study tried to identify effective ways to encourage uses' participation in UCC marketing through a positive analysis.

      • KCI등재

        위탁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를 통한 내적 표상의 차이

        민성혜(Sung Hye Min),신혜원(Hye Won Sh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2

        본 연구에서는 위탁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를 통한 내적 표상의 차이를 개인 지향적 접근(person-oriented approach)에 기초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위탁아동 30명과 일반아동 40명을 조사하였다. 이야기를 통한 내적 표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Bretherton 등(1990)이 개발하고 Bretherton 등(2003)이 수정한 MacArthur Story 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였다. 위탁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를 통한 내적 표상에 대해 군집분석을 설시하고 두 집단 아동간의 내적 표상 군집 차이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탁아동의 이야기를 통한 내적 표상 군집을 살펴본 결과 총 다섯 개의 군집으로 묶여졌다. 전반적으로 제한된 이야기와 반응만을 보이는 제한형(43.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회피/공격형(26.6%), 불안/통합형(16.7%), 불안형(6.7%), 공감형(6.7%)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아동의 경우에는 제한형(32.5%)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감/통합형(27.5%), 불안형(17.5%), 비조절형(12.5%), 회피/공격형(10.0%)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narrative representations between fostered and normal preschoolers according to person-oriented approach. Subjects were 70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with 30 fostered preschoolers and 40 normal preschooelrs. Using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Bretherton et a1., 1990) observations were made to obtain preschooler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content themes and performances. Descriptive statistics, hierachical cluster analysis for the clustering narrative repre­sentations and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found five clusters of fostered preschoolers` narrative representations; consisting of Constrained Cluster(43.3%), Avoidant / Dysregulated Cluster(26.6%), Anxi­ous / Integrated Cluster(16.7%), Anxious Cluster(6.7%), Empathic Cluster(6.7%).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narrative representations between fostered and normal preschoolers. Fostered preschoolers showed more avoidant and dysregu­lated representatoins, less empathic and integrated representations.

      • KCI등재

        유아의 성별 억제ㆍADHD 성향 군집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민성혜(Min Sung Hye),임원신(Lim Won S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성별 억제ㆍADHD 성향 군집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적응에서의 차이를 개인 지향적 접근에 기초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위하여 만 4,5세 유아 총 602명(남아 322명, 여아 280명)을 대상으로 교사 평정 질문지에 의해 유아의 억제성향과 ADHD 성향을 조사하고 유치원 적응을 조사하였다. 유아의 억제 성항을 측정하기 위해 박성연(1998)의 교사평정용 억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ADHD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소유경과 노주선, 김영신, 고선규, 고윤주(2002)가 한국형으로 표준화한 Korea-ADHD Rating Scales(K-ARS)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Jewsuwan, Luster와 Kostelnik (1993)가 개발한 유치원 적응 질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이하 PAQ)를 김영희(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남아 여아 모두 억제ㆍ과잉성향이 총 네 개의 군집으로 묶였으나 군집분포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아의 경우 활기형이, 여아의 경우 제한형이 가장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아의 경우 산만/과잉형과 혼합형이, 여아의 경우 혼합형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응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 of preschool adaptation of inhibited/ADHD cluster of preschoolers according to sex. The inhibited questionnaire(Park, 1998), K-ARS(So et al., 2002) and PAQ(Kim, 1996) were administered to 602 preschoolers by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ierachical cluster analysis about inhibited and/or hyperacted behavior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clusters of boys consisting middle cluster(49.4%), mixed cluster(20.2%), exuberant cluster(18.0%), and hyper cluster(12.4%). There were four clusters of girls consisting of constricted cluster(46.4%), inhibited cluster(36.8%), hyper cluster(10.0%), and mixed cluster(6.8%). Second, exuberant boys and constricted girls show higher level of preschool adaptation. Third, hyper boys and mixed girls show lower level of preschool adaptation. In conclusion, the preschool adapt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inhibited/ADHD clusters and sex.

      • KCI등재

        대학생의 유머 스타일, 놀이성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에 대한 애착을 매개로 하여”

        민성혜 ( Sung Hye Min ),신혜원 ( Hye Won 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유머, 놀이성, 부모에 대한 애착,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유머와 놀이성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에 대한 애착이 대학생의 유머와 놀이성과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유머는 Martin, Kuiper, Loinger와 Dance91993)이 개발한 척도를 이재선(2005)이 수정·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고, 놀이성은 Glynn과 Webster(1992)가 개발한 성인용 놀이성 척도를 박현숙(2003)이 수정·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은 Solberg, Good, Nord, Holm, Hohner, Zimer, Hefferman과Malen(1994)이 개발한 것을 최옥현(2006)이 수정·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고, 부모에 대한 애착은 Armsden과 Greenberg(1987) 개발한 것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의 유머가 부모에 대한 애착 그리고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부모에 대한 애착도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놀이성은 유머, 부모에 대한 애착,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유머는 부모에 대한 애착을 거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반면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부모에 대한 애착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성향이나 태도로 가정되는 유머와 놀이성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특히 유머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하여 개인의 유머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arch self-efficacy are affected by humor and playfulnes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Subjects were 488 university students, with 281 men and 207 women. We measured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by IPPA(Armsden et al., 1987), playfulness by Playfulness scale(Glynn et al., 1982), humor by Humor scale(Martin et al., 1993) and career self-efficacy by CSSE(Solberg et al., 1994). Analysis was done by Amos 4.0, In conclusion, university students` humor affects positively to career search self-efficacy through attachment. But playfulness affects negatively to career search self-efficac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