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삼배양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2,4-D, Kinetin, Gibberellin등의 영향

        문현옥,김명원,이순희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2 學術論文集 Vol.9 No.-

        인삼 배양세포를 이용하여 배양세포의 성장과 이에 따른 단백질 RNA, DNA 함량, 호흡율 및 peroxidase활성도에 미치는 2.4-D, kinetin과 gibberell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kinetin을 첨가하지 않거나 0.1ppm을 첨가할 경우, gibberellin 농도를 증가시키면 성장율이 증가하나, kinetin이 1.0ppm인 경우에는 gibberellin농도를 증가시켜면 성장율이 감소되었다. kinetin이 0.1ppm인 경우, gibberellin을 1.0ppm까지 처리했을 때,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gibberellin이 0.1ppm 경우 kinetin을 1.0ppm까지 처리했을 때 RAN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DNA 함량은 kinetin과 gibberellin의 첨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10일간 배양한 배양세포에 있어 호흡율은 gibberellin 0.1ppm의 경우 증가하였으나, 20일간 배양한 배양세포에서는 kinetin을 첨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gibberelln 10ppm까지는 peroxidase활성도가 증가되었으나 50ppm이상에서는 감소되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kinetin and GA, on the rate of growth and respiration, the content of protein, RNA and DNA, and peroxidase activity in suspension cell from six-year-old ginseng roots(Panax ginseng C.A. Meyer) Ginseng suspension cell was grown in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5ppm 2,4-D and various amounts of kinetin and GA. At 0.1ppm kinetin, the rate of growth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A concentration, but at 1.0ppm kinetin, the phenomenon was reversed. As GA concentration increases at 0.1ppm kinetin level, protein synthesis was stimulated. Total RNA synthesis was enhanced with increase of kinetin concentration at 0.1ppm GA, however DNA was not affected. In ten-day-old cells the respiration rate increased at 0.1ppm GA. In twenty-day-old cells the respiration rate decreased with addition of kinetin. The peroxidase activity rised with GA up to 10ppm and decreased at the higher level than 50ppm of GA.

      • KCI등재

        전북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 나트륨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지도와의 관계 연구

        문현옥(Moon, Hyun Ok),노정(Rho, Jeong Ok)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2

        본 연구는 전북지역 345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나트륨 영양지식, 나트륨 식행동, 저염식 태도수준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식생활지도 수행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에 대한 총점은 16점 중 12.92점이며 ‘소금을 적게 섭취하면 고혈압, 심혈관 질환, 위암, 골다공증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가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으면 다량의 칼륨이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준다’가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나트륨관련 식행동에 대한 총점은 70점 중 46.85점이며 ‘젓갈이나 장아찌가 식탁에 없으면 섭섭하다’가 가장 높았고, ‘라면, 국수 등을 먹을 때 김치를 꼭 먹는다’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저염식 태도에 대한 총점은 50점 중 33.63점이며 ‘염분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면 저염 식품을 선택하겠다’가 가장 높았고, ‘가공식품이나 스낵 속의 나트륨 함량을 확인한다’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생활지도 수행에 대한 총점은 80점 중 59.95점이며 ‘학생들과 함께 급식을 한다’가 가장 잘 이루어지나 ‘식품영양표시를 이용하여 저나트륨 식품을 선택하도록 지도한다’와 ‘급식 시 학생들이 잘 접하지 않은 음식이 나오면 그 음식의 유래나 영양가 등을 학생들에게 설명해 준다’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나트륨에 대한 지식은 고혈압약 복용,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트륨 관련 식행동은 성별, 근무경력, BMI, 흡연, 음주, 건강에 대한 관심,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염식 태도는 성별, 결혼유무, 근무경력, 음주, 운동, 건강에 대한 관심,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생활지도 수행은 결혼유무, 연령, 근무경력, 음주, 건강검진, 건강에 대한 관심,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트륨에 대한 지식, 나트륨 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 지도 수행간의 관계는 나트륨에 대한 지식은 나트륨 섭취 식행동 (r = 0.252, p < 0.01)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나트륨 섭취 식행동은 저염식 태도 (r = 0.319, p < 0.01)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저염식 태도와 식생활 지도 수행 (r = 0.435, p < 0.01)간에는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초등교사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수준과 식생활지도 수행정도는 보통수준이나 나트륨 섭취 식행동과 저염식태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교육경력에 따라서 나트륨관련 지식수준의 차이는 없었으나 장기근무 교사일수록 또한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나트륨 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지도 수행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고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트륨관련 지식이 낮은 것을 볼 때 교사대상의 나트륨관련 질병 등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높겠다. 본 연구결과 교사들의 나트륨관련 지식과 나트륨관련 식행동 간에 낮으나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근무기간이 짧은 교사의 경우는 직무연수 등을 통하여 나트륨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교사들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관리가 가능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식생활지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겠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식생활지도 수행에 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나트륨에 대한 지식 및 저염식 태도 등 식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매체 개발 등을 위한 영양교사와의 협조체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청 및 학교행정부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eacher"s knowledge about sodium,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and meal attitude guidance as well 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51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the Jeonbuk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v. 20.0. Results: The score for teachers" knowledge about sodium was 12.92 points of a possible 16, the score for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was 46.85 points of a possible 70, and the score for attitude towards a low-salt diet was 33.63 points of a possible 50. Their score for meal attitude guidance was 59.95 points of a possible 80. The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hypertension drug (p < 0.05) and stress level (p < 0.05). The dietary behavior of sodium u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p < 0.01), work experience (p < 0.05), BMI (p < 0.01), drinking (p < 0.05), concern about health (p < 0.05), and stress level (p < 0.05). The attitude towards a low-salt die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p < 0.05), marital status (p < 0.05), work experience (p < 0.05), drinking (p < 0.05), concern about health (p < 0.001), and stress level (p < 0.05). Meal attitude guid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p < 0.001), age (p < 0.001), work experience (p < 0.001), drinking (p < 0.01), regularity of health checkup (p < 0.001), concern about health (p < 0.001), and stress level (p < 0.05). There was a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bout sodium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as well as betwee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and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l attitude guidance.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ducational programs on increasi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in teachers for improvement of meal attitude guidance activities for students.

      • FeCoSiB 아몰퍼스 와이어의 자기임피던스효과

        이용찬,문현옥,진성빈,신용진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9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8 No.-

        In This thesis, the magnetoimpedance effects of a FeCoSiB amorphous wire has been studied. The prepared negative magnetostrictive amorphous magnetic wire has the composition of (Fe0.06C0.94)72.5Si12.5B15. To alleviate the stress applied to the wire during its fabrication, we annealed the sample wire at the temperature(460℃/30min) in order to relive the internal stress. The length and the diameter of the amorphous wire are 7[㎝] and 50[㎛·ø], respectively . At the exciting current of 250[㎃] flowing through the sample wire, we examined the frequency dependence of the voltage between the both ends and the dependence of the impedance changing ratio on the external magnetic field varying from 0 to 10[Oe]. Our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amorphous wire has a good characteristics enough to be magnetic sensor.

      • KCI등재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알콜성음료 섭취에 따른 인공감미료 섭취량 평가

        김성단(Sung-Dan Kim),문현경(Hyun-Kyung Moon),이집호(Jib-Ho Lee),장민수(Min-Su Chang),신영(Young Shin),정선(Sun-Ok Jung),윤은선(Eun-Sun Yun),조한빈(Han-Bin Jo),김정헌(Jung-H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8

        본 연구는 음료 651건 및 액상차 87건의 인공감미료 실측치(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와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의 섭취량을 이용하여 단위 체중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인공감미료의 추정식이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비알콜성음료의 섭취량은 어린이 및 청소년 6,082명 전체의 비알콜성음료의 평균소비자(average consumer)와 극단소비자(extreme consumer)의 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95 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시나리오Ⅰ)와 비알콜성음료를 섭취한 어린이와 청소년 1,074명의 섭취량 평균, 95 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시나리오Ⅱ)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료에 함유된 인공감미료의 건강 위해성 평가는 추정식이섭취량과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인 아스파탐 40 mg/kg bw/day, 아세설팜칼륨 15 mg/kg bw/day, 수크랄로스 15 mg/kg bw/day 값을 비교하여 %ADI로 평가를 하였다. 인공감미료의 인체노출량 계산에 필요한 몸무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때 위해도 평가방법은 평균과 95th percentile을 이용하는 단일값평가와 각 변수의 확률밀도함수(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 PDFs)를 이용한 Monte Carlo simulation을 실시하여 확률평가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인공감미료는 아스파탐, 아세설탐칼륨, 수크랄로스가 평균 3.21±28.36 mg/kg(ND~342.00 mg/kg, 검출률 1.4%), 1.94±12.55 mg/kg(ND~160.00 mg/kg, 검출률 4.5%), 6.18±23.27 mg/kg(ND~290.00 mg/kg, 검출률 10.8%)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비알콜성음료에 함유된 인공감미료 중 아스파탐은 Min Extreme 분포, 아세설팜칼륨은 Logistic 분포, 수크랄로스는 Student"s t 분포를 나타냈다.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은 어린이와 청소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시나리오Ⅰ에서는 대부분 Logistic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특히 소비자집단만을 고려한 시나리오Ⅱ 경우에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Max Extreme 분포가 되었다. 체중은 시나리오Ⅰ이 Logistic 분포, 시나리오Ⅱ는 Beta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나리오Ⅰ에서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0.09, 0.01, 0.04mg/kg bw/day였으며, 95th percentile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0.30, 0.02, 0.13 mg/kg bw/day였다.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ADI는 각각 0.22, 0.04, 0.24이었고, 확률평가한 95th percentile %ADI는 각각 0.75, 0.13, 0.83으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시나리오 Ⅱ에서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0.52, 0.03, 0.22 mg/kg bw/day였으며, 95th percentile 추정식이섭취량은 각각 1.80, 0.12, 0.75 mg/kg bw/day였다. 확률평가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ADI는 각각 1.32, 0.22, 1.44였고, 확률평가한 95th percentile %ADI는 4.52, 0.80, 5.06으로 나타났다. 즉 비알콜성음료 섭취를 통한 인공감미료 중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노출수준은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초과하는 인구집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나리오 Ⅰ?Ⅱ에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ADI는 모두 5.06이내로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섭취자군 중 인공감미료에서 검출률이 가장 높았던 수크랄로스의 경우 %ADI가 10 이상일 확률이 2.2%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daily intakes of artificial sweeteners from beverages and liquid teas as well as evaluate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1 to 19 years old). Dietary intake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actual levels of aspartame, acesulfame-K, and sucralose in non-alcoholic beverages (651 beverages and 87 liquid teas), and food consumption amounts were drawn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To estimate dietary intake of non-alcoholic beverages, a total of 6,082 children and adolescents (Scenario Ⅰ) were compared to 1,704 non-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subjects (Scenario Ⅱ).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s was calculated based on point estimates and probabilistic estimates. The values of probabilistic artificial sweeteners intakes were presented by a Monte Carlo approach considering 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 of variables. The level of safety for artificial sweeteners was evaluated by comparisons with acceptable daily intakes (ADI) of aspartame (0~40 mg/kg bw/day), acesulfame-K (0~15 mg/kg bw/day), and sucralose (0~15 mg/kg bw/day) set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or total children and adolescents (Scenario Ⅰ), mean daily intakes of aspartame, acesulfame-K, and sucralose estimated by probabilistic estimate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were 0.09, 0.01, and 0.04 mg/kg bw/day, respectively, and 95th percentile daily intakes were 0.30, 0.02, and 0.13 mg/kg bw/day, respectively. For consumers-only (Scenario Ⅱ), mean daily intakes of aspartame, acesulfame-K, and sucralose estimated by probabilistic estimate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were 0.52, 0.03, and 0.22 mg/kg bw/day, respectively, and 95th percentile daily intakes were 1.80, 0.12, and 0.75 mg/kg bw/day, respectively. For scenarios Ⅰ and Ⅱ, neither aspartame, acesulfame-K, nor sucralose had a mean and 95th percentile intake that exceeded 5.06% of AD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