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 연구

        문한나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1 No.-

        This work is about the a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1224~1274). Aquinas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overcame the long habitual thinking according to which the aesthetic is in the same line with the good and revealed the unique meaning of the aesthetic.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ological thinking through the aesthetic. Aquinas had looked at the aesthetic in the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 rather than in the sensual dimension. In his theory, the aesthetic is the reflection of a form existing in the spirit of God and appears in the characteristic of a substantial form(forma), the existence principle of an object. It is considered that something that has a form, or something that exists, is beautiful. He dealt with the aesthetic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ruth and the good, which are considered to be transcendentals that all entities have on their own. In so doing, philosophically and theologically, he maintained that the aesthetic is not any specific position of an object, but the value that an object has on its own as a creature of God. Aquinas defines the aesthetic as things that give pleasure to the eye(quae visa placent), or things that satisfy a desire when recognized. The aesthetic tradition in the Middle Ages saw the aesthetic in the same way as the good. But, by distinguishing the aesthetic from the good, Aquinas considers the good to be that the good itself is desired, and the aesthetic to be that recognition is desired. Pleasure goes with the activities originating from natural instinct. Nevertheless, he also referred to the possibility of another type of pleasure only human beings have, which is the pleasure attendant upon the recognition. Aquinas regarded the indifferent pleasure experienced in the recognition itself,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self-preservation, in the same light with the aesthetic pleasure. The aesthetic pleasure is gained by, the acceptance of an object’s form regardless of any actual profit or availability. According to Aquinas, the aesthetic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uth as the recognition object of the intellect. The aesthetic recognition, or vision(visio), is not the immediate reaction of the sense, but the cognitive reaction in which the intellect intervenes. The aesthetic pleasure is not the sensual pleasure without the intellect, but the pleasure gained through the recognition reaction to accept an object’s form. When human beings try to recognize an object itself as a purpose, rather than follow the object’s availability and purpose, they come to realize the object’s beauty and experience pleasure. Through the beauty of a form, he overcame the long-existing dualism according to which the world is regarded as inferior and materialistic one, establish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real world and the beauty of existence itself, and regarded the beauty as the value that a creature of God has. His theory of the aesthetic is not the outcome of speculative interest or romantic sensitivity, but the outcome of the sincere theological thinking about the world he faced. The 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 provides significant insight which is essential in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aesthetic, despite the changes in the aesthetic thinking appearing in the modern aesthetic. 미에 대한 관심이 과열된 시대다. 여러 해 전 상영했던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붉게 칠한 눈매를 하고선 여상한 목소리로 “예뻐야 돼. 무조건 예뻐야 돼.”하고 읊조리던 금자 씨의 모습은 미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을 인상적으로 표상해준다. 모두가 예쁜 것,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자본의 논리에 복속하는 획일화된 미적 기준만 존재할 뿐이다. 바우만의 지적처럼 아름다움의 초월적 힘, 우리를 이미 존재하는 세상 너머로 이끄는 이상으로서의 힘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1) 공동화(空洞化)된 미적 수사가 넘쳐나는 시대에 기독교 신학은 아름다움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응답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신앙에는 하나님과 창조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근원적인 확신이 내재한다. 이러한 믿음은 하나님이 세상을 지으시고 보기에 좋다고 하셨다는 창세기의 보도를 비롯하여 성서 곳곳에 경탄의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적 감수성이 신학적 사유로충분히 발전하지는 못했는데, 이는 많은 부분 악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철저한 인식과 관련된다. 인간이 맞닥뜨리는 고통과 세상의 모순 앞에서 진이나 선이 더욱 절실해질 뿐 미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는 간과할 수 없는 하나님의 성품이며 창조세계에 내재한 속성으로서 기독교 신학에서 배제될 수 없는 부분이다. 시대에 대한 응답이라는 실천적 관심과 기독교 신학의 통전성 회복이라는 이론적 목적 모두를 위해 미에 대한 신학적 사유가 요청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은 하나의 사상적 자원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 ~ 1274)는 미를 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온 오랜 관습적 사유를 극복하며 미의 독자적 의미를 밝힌 최초의 사상가로서 미를 통한 신학적 사유의 중요한 토대를 형성했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방식에 따라 경험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에서 존재 자체로 나아가는 구조 속에서 자신의 형이상학 탐구를 전개시킨 것처럼, 미 사유 역시 구체적인 존재자의 아름다움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미의 근원인 미 자체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펼친다. 그의 미 사유는 가시적인 자연사물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하고 있으나 유비적 방법에 따라 물체의 아름다움에서 정신적 아름다움으로 확대되며 창조 세계의 아름다움에서 출발하여 초자연적 아름다움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퀴나스는 아름다움을 사물의 존재원리이자 인식근거인 실체적 형상(forma,形相)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파악했다. 그는 사물의 아름다움이 형상에 있다고 보았다. 형상이 아름답다는 생각은 아퀴나스 미 사유의 기본적 입장 두 가지와 관련된다. 먼저 아퀴나스의 미 이론을 이해할 때 중요한 것은 그에게 미는 엄연히 실재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근대 이후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미를 주관적 판단의 문제로 생각하는 것에 익숙하다. 그러나 아퀴나스가 생각하는 미는 주관적 반응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사물 자체가 지닌 속성이었다. 이러한 도식에서 사물은 주체가 사물을 보고 아름답다고 느낄 때야 비로소 미적 실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아름답다고 느끼기 이전에 이미 미적 실체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세계의 미의 실재성은 신적 미의 확실성으로부터 보장받는다. 아퀴나스는 모든 피조세계를 아름답게 하는 미의 궁극적인 원인이 되는 미 자체(ipsa pulchritudo)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고 이것을 하나님에게로 돌렸다. 그는 하나님이 삼라만상의 조화(consonantiae)와 광채(claritas)의 원인으로서 아름답다고 표명한다. 하나님은 아름다움 자체로서 피조세계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모든 아름다움의 근원이고, 사물은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그의 완전한 미를 분유받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렇듯 미를 실재하는 사물의 문제로 보는 관점은 아퀴나스 미 이론의 두 번째 특징인 미의 초월성에 대한 사유와 연관된다. 이때 ‘초월’이란 감각적 경험의 차원을 넘어서는 신적인 차원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존재자가 존재하는 한 그 자체로 지니는 가치, 모든 사물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보편적 속성을 의미하는 스콜라적 개념이다. 미의 본질에 대한 아퀴나스의 정의는 존재자, 진, 선과 같이 전통적으로 초월적 특성으로 간주되었던 개념들과의 연관 속에서 논의된다. 이 개념들을 보편성이 아닌 초월성이라 말하는 것은 그 가치의 근원이 초월자인 하나님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다. 모든 존재자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그의 진, 선, 미를 부여받았고 또한 끊임없이 공급받는다는 점에서 참되고 선하고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아름다움이란 존재자의 특정 부분에만 해당되거나 어떤 존재자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미 자체인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모든 존재자가 그 자체로 지니는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특성이었다. 즉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아름답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경력개발 현황 진단 및 과제

        문한나,배유라,윤수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9 평생교육 · HRD연구 Vol.15 No.2

        This study aimed at establishing a framework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main issues in career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ies which are facing a rapid change i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ltimately suggesting ideas on how to promote career development in terms of institutional aspect in the future. For this aim the study conducted FGI(Focus Group Interview) involving eleven HR professionals in various industries(telecommunication, broadcasting, tourism, clerical work etc.), followed by an analysis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Critical implications include that due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 we will see difficulties in projecting future skill needs in each industry and high possibilities of skills mismatch. Additionally, career development policy should ensure balances between the needs of employers and those of employees. For the future studies, first we suggest that researches on career development which focus on the perspective of whole-self rather than that of job itself are needed. Second, researches adopting new methodologies with future-oriented viewpoint beyond current paradigm of career development should be more promoted, and lastly, researches on similarity analysis amongst tasks should be also facilitated in order to support career transition of worker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preemptive policy implication; First, clear segregation of duties regarding it is inevitable amongst the public agencies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Second,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areer development has to be promoted throughout society. Third, separate support has to be considered for workers in SMEs, relatively poor industries and vulnerable social groups who have less accessibility to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and change in labour market. 본 연구는 4차 산업 관련 기술과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산업계의 경력개발 현황과 이슈를 파악하고자 질적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도출된 결과를 통해 제도적 측면에서 경력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4차 산업 기술 관련 업종과 정보통신, 방송, 관광 및 일반 사무 분야의 주요 인사 담당자 1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표적 집단 면접(FGI)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앞으로 도래할 기술변화는 산업별 인력의 공급과 수요에 대한 사전 계획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며, 인력 미스매치의 위험도 증가할 것이다. 경력개발 제도도 조직과 개인이 추구하는 바를 절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첫째, 일보다는 삶의 관점에서 경력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현대 경력개발 패러다임에서 더 나아가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연구를 설계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이직, 전직을 지원하기 위해 직무간의 기술 유사성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도 개선을 위해서 첫째, 정부 및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명확한 업무분담. 둘째, 경력개발의 다양화, 시스템화의 필요성. 셋째, 경력개발에 있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산업과 기업(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별도의 지원 등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문한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The debate about abortion is expressed by the conflict between two ideals: the right to life of a fetus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a woman. However, recent controversy on abortion in Korean society suggests that women should be free from pregnancy and childbirth by seeking alternatives to the alienation phenomen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ubjectivity of women and build a social infrastructure in the area of pregnancy and childbirth. Liberalization of abortion without ensuring the subjectivity of women can lead to repression of women. To solve this problem, listening to a woman's voice should be preceded. In addition, Pro-life and Pro-Choice should listen to each other's wishes to protect the fetus and women and make efforts to reduce abortion. The urgent improvement plan is to increase life - centered contraceptive education, establish a crisis pregnancy counseling center, to restrict the punishment of the criminal law to women only and to amend the consent of the spouse and related procedural provisions in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Law. Through this, I hope that the abortion discourse in Korea will expand the mutual understanding of both sides and strengthen the efforts to create a women - centered policy. 낙태에 대한 논쟁은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결정권이라는 두 이념의 갈등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최근 한국사회에서 나타난 낙태에 대한 담론은 이념갈등에서 벗어나 임신과 출산을 감당하는 여성의 소외 현상에 대한 대안마련을 촉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임신과 출산 영역에서 여성의 주체성 확보와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의 주체성 확보 없이 이루어진 낙태의 자유화는 또 다른 여성의 억압을 가져올 수 있다. 주체성을 확보하고 그에 대한 사회적 인프라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목소리를 듣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낙태를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진영은 태아와 여성을 보호하고자 하는 서로의 주장을 듣고 낙태를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 이를 위한 시급한 개선방향은 생명 중심의 피임교육의 확대와 위기임신상담센터의 설립 그리고 형법의 처벌대상을 여성에게만 한정하지 않도록 하며, 모자보건법에서 배우자의 동의 및 관련 절차 조항을 개정하는 것이다. 이 글이 미약하게나마 한국의 낙태담론에서 양쪽 진영에 서로의 이해를 넓혀주고 여성중심의 정책을 마련하는 것에 힘을 모으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프로테안 경력, 무경계 경력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개발 지원정책의 조절 효과

        문한나,서요한,이 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1

        Many empirical studies are conducted in regards to protean career or boundaryless career. The concept and the notion of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has extended so far. Yet, the gap in the literature exists. Previous literatu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protean career, boundaryless caree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but examined little about the influence of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on positive career attitude or future learning readines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ing policy of career development among protean career orientation, boundaryless career, positive career attitude, and future learning readiness. There was moderating effect of supporting policy of career development among the relationships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future learning readiness; the relationships of boundaryless career and future learning readi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ing policy of career development implies that the inten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self-directed way and learning are related. In addition, The role of HRD/HRM department which takes initiatives in career development can affect the learning readiness for future among workers. 기존 학술적으로 논의되던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그 개념도 명확해 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 등은 많았지만 두 독립 변인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프로테안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 경력,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경력관련 변인간 관계를 보면 프로테안 경력은 경력개발정책과 긍정적 경력태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무경계 경력은 긍정적 경력태도와 미래 학습 준비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에서는 프로 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미래 학습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연구에서 나타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효과는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을 위한 의도와 학습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정책을 주관하는 조직내 HRD/HRM 부서의 역할에 따라 근로자의 미래를 위한 학습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문한나,박상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1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은 지역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지원 필요 대상 산업의 재직자, 실업자 등의 고용유지및 이‧전직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역 노동시장 내의 훈련 직종을 파악하고, 적시에 필요한 현장 기반 훈련공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운영 상 이슈와 현황을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은 고유한정책 방향과 목적을 설정하고 최종 수요자인 훈련생에게 도움이 되는 훈련으로 설계 및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해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정책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는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정책 고도화 영역을 국민내일배움카드제의 활용의 의의, 변화하는 스킬 요구 대응, 훈련 유형, 훈련 유형별 내용, 정책 효과성의 5가지로 구분하고, 델파이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를 토대로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 전문가,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RSC) 사무국 팀장 등 31명을대상으로 델파이 조사 2회를 실시하여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정책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의 활성화 방안과 향후 변화하는 스킬 요구에 대응하는직업훈련 연구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aims to identify occupations in the local labor market that are required to support employment retention and job transfers for incumbents and unemployed workers in industries that need support due to changes in the local industrial structure, and to provide field-based training in a timely manner. In order to revitalize such specialize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operational issues and status, and to prepare policy advancement to resolve them. In other words,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should be able to set its own policy direction and purpose, and design and operate training that is beneficial to the traine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advancement for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by conducting an expert delphi survey. To this end, this study divided the areas of policy advancement of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into five categor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Delphi questionnaire,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1 participants, includ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experts, and the team leader of the Regional Skills Councils(RSC) secretariat, to finally derive a plan to improve the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on how to revitalize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and the direction of vocational training research to respond to changing skill needs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 KCI등재

        인간 배아 및 생식계열의 유전적 변형(human Embryo and Germ-line genetic modification) 행위에 대한 용어 정의의 필요성과 그 용어의 조건

        문한나 한국생명윤리학회 2020 생명윤리 Vol.21 No.1

        In terms of modifying DNA information in human cells, various terms ar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bject, method, and result, and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are different. For example, gene therapy, genetic variation, genetic modification, genome editing. In particular, the terms used in the areas of domestic and foreign laws need to be examined in detail because they reveal differences in regulatory power.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consensus term that have appropriate implications at the present time, a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hat can modify genetic information and discussions of research permits for embryos and germ cell subjects are active. Therefore, this paper should summarize the definition of gene therapy that has been used in the law, examine whether it can be used in embryos and germ cells, while referring to overseas cases, I would like to suggest a term suitable for use in Korea. Beginning with this discussion, it is hoped that further discussions on relevant legislative improvements, such as relevant review procedures and regulatory methods, with regard to genetic modifications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agreed terms in society. 인간의 세포 내 DNA 정보를 변경하는 행위에 대하여, 유전자치료, 유전적변이, 유전자편집 등 그 목적, 대상, 방법, 결과에 따라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며, 그 용어에 대한 정의도 다르다. 특히 국내·외 법 및 제도의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그 차이에 따라 규제력도 달라지기에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전정보를 변형할 수 있는 기술들이 발달하고 배아 및 생식세포 대상의 연구 허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인간의 세포 내 DNA 정보를 변경하는 행위에 대한 의미를 적절하게 내포하고 있는 합의된 용어의 마련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에 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치료에 대한 정의를 정리한 후, 배아 및 생식세포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용어와 그 용어가 내포해야 할 몇 가지 조건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논의를 시작으로 유전적 변형과 관련하여 관련 심의 절차 및 규제 방법 등 관련 법 개선사항에 대한 논의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때 사회에서 합의된 용어를 전제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KCI등재

        중기 경력자(Mid-career)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특성과 고용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문한나,최영섭,홍성표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5

        This study analyzed the outplacement services for employees in mid-career, and used response data (297 copies) for prospective job changers to determine how perceptions of employment possibility differ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nd re-employ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outplacement servic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grasping the service needs of employees in mid-career, the percentage of re-employment was high among the responses of purpose of participation, statistical difference existed in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 of the former service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perception of the degree of program effective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ceptable wage-level required for re-employment of employees in mid-career, desired re-employment type, expected period of re-employment, major factors to consider and difficulties in re-employment, more than the existing wage and 80% of the existing wage are desired in the case of involuntary retirement. The percentage of the aforementioned c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oluntary retirees, and this tendency persisted as the age was younger. Third, when the job change support service experienced by employees in mid-career was recognized as effective, the result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recognition of employ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mployability of employees in mid-career,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ir career identity during the tenure and increase career resilience through active career exploration,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this. 이 연구는 중기 경력자의 전직지원 서비스 참여 특성을 분석하고, 직업특성과 전직지원서비스의 효과성에 따라 고용가능성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계, 자동차, 조선, 금융, 바이오 산업의 전직 예정자에 대해 서비스 요구 내용, 재취업 관련 희망 사항, 고용가능성을 조사한 자료(297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기 경력자들의 서비스 요구를 파악한 결과, 참여 목적 중 재취업의 비중이 높은 가운데, 전직서비스 참여자들의 기업규모에 따라 참여 목적에 차이가 있었고, 프로그램 효과성 정도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기 경력자의 재취업을 위해 수용 가능한 임금수준, 희망 재취업 유형, 재취업 예상기간, 주요 고려요인 및 애로사항을 분석한 결과, 비자발적으로 퇴직하는 경우 기존 임금 또는 그 이상의 임금의 수준을 희망하는 비율이 자발적 퇴직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비자발적 퇴직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이러한 경향성이 지속되었다. 셋째, 중기경력자가 경험한 전직지원서비스가 효과적이었다고 인식한 경우, 고용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기 경력자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직기간동안 자신의 경력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적극적인 커리어 탐색을 통한 경력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전직서비스를 위한 정책 제언이 마지막으로 제시되어 있다.

      • KCI등재

        전직 예정자의 경력정체성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경력탄력성의 매개효과

        문한나,박상오,이소민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evel of career identity, career resilience, and employability for potential workers in outplace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employability for retirees in outplacement. For doing so,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instrument of career identity scale(Verbruggen & Sels, 2008), career resilience scale(Hong, 2019), and employability inventory(Johnson, 2001). Survey respondents were retirees in outplacement in company and 236 data was used for testing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career—the way in which the participants accumulate expertise and its degree, the levels of career identity, career resilience, and employability for potential workers in outplacement were showed differently. Second, career resilience has mediating effects between career identity and employability for potential workers in outplacement. Based upon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then suggested for improving empolyability and developing second career in life. 이 연구는 전직 예정자의 직무전문성 유형에 따른 경력정체성, 경력탄력성, 고용가능성의 수준을 비교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경력정체성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대한 경력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전직지원서비스 개선을 위한 전직지원서비스 참여자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 중 본 연구 목적에 따른 기업에 재직 중인 전직 예정자들의 응답자료(23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직 예정자의 경력 유형에 따른 경력정체성, 경력탄력성, 고용가능성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직 예정자의 경력탄력성은 경력정체성과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직 예정자의 경력정체성, 경력탄력성, 고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국내 전직지원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직지원 서비스 개선방안과 전직 예정자의 고용가능성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차세대 반도체 분야 직무역량과 미래유망역량 델파이 분석

        문한나,김유미,이세미 한국산업교육학회 2022 산업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산업의 디지털화 및 새로운 기술 융합과 함께 최근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차 세대 반도체 분야의 직무역량과 미래유망역량을 규명하였다. 먼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시하 는 차세대 반도체 직무 7개와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매칭하여 직무역량을 구성하였고, 문헌 검 토를 통해 미래유망역량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분야 직무역량과 미래유망역량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두 차례에 걸친 타당도 검증 결과, 차세대 반도체 분야 직무역량 구성항목(능력단위)으로서 총 23개 항목이 도출되었으 며, 미래유망역량 구성항목으로서 비기술관련 유망역량 8개 항목과 기술관련 유망역량 4개 항 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직무역량과 관련하여 새로운 분야의 출현과 확장을 위한 직무역량 구성과 직무에 대한 세분화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래유 망역량과 관련해서는 단순한 기술이나 디지털 활용보다 신기술을 개발하고 융합하는 역 량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차세대 반도체 직무 분야로 이동하는 전환 인력의 재교육 수요가 발생 시, 업스킬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is study identified job competencies and future emerging skills in the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field, which is in high demand with digitization and new technology convergence. First, job competencies were 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seven jobs in the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field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addition, future emerging skills were newly established by reviewing the prospective competencies literature. After that,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job competencies and future emerging skills. As a result, a total of 23 job competency components in the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field have been identified, and 8 non-technology-related competencies and 4 technology-related emerging competencies were derived. In regard to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job competencies, it was confirmed that job competency composition and job segmentation for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new fields are requir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bility to develop and converge new technologies is required rather than simple technology or digital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up-skilling when there is a need for re-training for the workforce transitions, which implies moving to the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job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난자의 비의료적 보관 증가에 따른 법적·윤리적 쟁점과 관리 방안 연구

        문한나,김명희,백수진 한국의료윤리학회 2020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3 No.3

        With the increasing us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 and the expans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support for treatment costs, human reproduction is changing rapidly. Visualization of the process of treating germ cells and embryos in vitro and the physical and temporal separation of germ cell collection, embryo generation, implantation, and birth are expanding the possibilities and scope of planning or control over reproduction. Within this context, the freezing of germ cells to preserve fertility has also been increasing, a trend that is likely to continue since the preservation of fertility is now seen more as a lifestyle choice than a medically necessary procedure. However, the storage of oocytes for non-medical purposes is ultimately a source of artificial infertility as it presupposes medical pregnancy and birth using AR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onsequences of egg fertility preservation and to prepare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s and guidelines. Management measures include the sharing of information transparently,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uncertainties with ART technology, the promotion of careful decision-making procedures based on autonomy, and the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s. The guidelines should be aimed at securing the autonomy and safety of the parties involved in these procedure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RT for non-medical purposes calls for discussions on the targets of reproductive cell collection and utilization, the various actors in future pregnancies and childbirths, new predictions about reproduction, and appropriate preparation or management measures. Taking cultural perceptions and public opinion into account, this article explains how and why current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ART should be improved. 보조생식술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시술비 지원 및 건강보험 적용 등이 확대되면서 생식과 관련한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생식세포 및 배아를 체외에서 다루는 과정의 시각화와 그 과정에서 생식세포 채취, 배아의 생성, 착상과 출산에 대한 물리적·시간적 분리는 임신과 출산에 대한 계획 또는 통제 가능성과 그 범위를 점점 확장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과 함께 최근 가임력 보존을 위한 생식세포 동결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의학적으로 가임력 보존을 위해 생식세포의 채취 및 보존이 불가피한 경우와 달리, 자율적으로 선택 가능한 보장 행위로써 가임력 보존이 이해될 경우, 이러한 추세는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비의료적 목적에서 진행되는 난자의 보관은 궁극적으로 보조생식술을 이용한 의료적 임신과 출산을 전제하기에 인위적 난임의 유발이라고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난자의 가임력 보존 현황과 그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술의 불확실성을 포함한 투명한 정보의 공개와 공유, 자율성에 바탕을 둔 숙의를 통한 신중한 결정 독려, 모니터링 체계 마련 등 적절한 관리 방안과 시술 당사자의 자율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비의료적 목적의 보조생식술 도입은 생식세포 채취 및 활용 관련 대상자, 미래 임신과 출산에서의 다양한 행위자 등에 대한 논의, 생식 전반에 대한 새로운 예측, 적절한 대비 또는 관리 필요성 등 점검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문화적 인식과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법·제도 개선방향과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