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성표,정진철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3
이 연구는 자격취득 여부가 장애인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 1차~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을 실시했다. 자격취득에 따른 재취업 여부와 기간을 분석하기 위해 생명표 분석을 사용했으며, 콕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장애인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했다. 연구결과: 첫째, 자격취득자가 미취득자보다 재취업 여부, 기간, 속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자격취득자의 경우 실업 후 48개월까지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34.1%였으나 자격미취득자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11.3%에 그쳤다. 둘째, 자격을 취득한 장애인이 자격을 취득하지 않은 장애인보다 실업상태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1.579배 더 높았으며 장애정도와 건강상태, 가구원 수, 고용서비스 경험여부도 장애인이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자격취득 및 활용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고용서비스 및 직업훈련과의 연계를 통해 자격취득을 촉진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acquisition of certificate has an effect on reemployment of disabled.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hich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2, was used. 622 samples were selected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and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iod of reemployment by using Life-Table Model.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factor which affected the reemployment of disabled. Results: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reemployment and time until reemployment depended on the possession one or more certificates. The percentage of disabled who possessed certificates succeeding in finding a job was 34.1% from the starting point of unemployment to 48 months, however, the percentage of disabled who did not possess certificates succeeding in finding a job was just 11.3%.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was higher with disabled who possessed one or more certificates than disabled who did not possess one or more certificates. Seconds, possessing one or more certificates had an effect on reemployment of disables. Disables who possessed one or more certificates had a 1.579 times higher chance of being reemployed compared to those who does not possess any certificate. Also, the degree of disability, conditions of health,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service also had a effect on reemployment of disable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pport is necessary for acquisition of certificate and utilization. and constructing facilitation system which connected with job service and vocational training is demanded
정보통신 기업의 질적 연구개발활동과 기업규모간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연구계획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홍성표,박상욱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02 경영경제연구 Vol.25 No.1
기술개발중심 기업은 연구개발 활동이 기업의 성공과 실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 내·외부 여건을 고려하여 연구개발활동에 자원투자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업규모외 연구개발 결과물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기업이 연구개발 정책수립시 보다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다는 데에 가치가 있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규모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정보통신분야에서 기업규모가 연구개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정보통신산업분야에 있어 연구개발정책수립이 효율적으로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홍성표,이준 조선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2003 電子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6 No.1
XML has weakness problems on document modulation and elimination of data Because of the XML gives priority to present data format, XML electrical signature, XML cryptography, or XML access control is provided to overcome those weakness problems However, structured XML efficiency contravention problem occurred from XML encryption and absence of protection from DTD attack are still remains unsolved Can speak that DTD is meta data that define meaning of expressed data on XML document Therefore, in case DTD information is damaged this information to base security of XML document dangerous This solved by method to create DTD's digital signature using DOM that can embody tree structure for standard structure and document
홍성표 대한소화관운동학회 2003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9 No.3
먹지 못하고 오심과 구토로 고생하는 위 무력증 환자에게 간단히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좋아지는 약물이 개발되면 위 전기 자극은 자연스럽게 사라질 치료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당뇨병 합병증 등에 의한 위 무력증으로 고통스러워하는 환자가 많다. 위의 운동이 심장보다 더 복잡하지만 그 기전에 대한지식이 축적되면서 이미 실용화되어 있는 심장 박동 조절기를 위에 도입한 것이 전기 자극으로 동물과 일부 사람에서 시범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자극의 형태에 따라 크게 3가지가 부류가 있는데 위 운동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조절하느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해결되면 시술을 간단히 할 수 있게 해서 보편화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숙제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아직까지는 비용 등 시술에 따른 부담이 많지만 효과만 확실하다면 많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비만에 대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