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ISNT Rule Satisfaction in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문자윤,박기호,김동명,김석환 대한안과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32 No.1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the ‘ISNT rule’ (neural rim width: inferior ≥superior ≥ nasal ≥ temporal) in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that visited Boramae Medical Center, Seoul, Korea, were reviewed. Each group of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was divided into subgroups based on whether or not theysatisfied the ISNT rule. ISNT rule assessment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rim width with stereoscopicoptic disc photographs using ImageJ softw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factors that affect ISNT rule satisfaction. Results: Seventy-seven normal eyes and 97 glaucomatous ey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ISNT rule wasintact in 59 (76.6%) of the normal eyes and was violated in 71 (73.2%) of the glaucomatous eyes. Logistic regression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influence of axial length in violation of the ISNT rule in the normal eyegroup, while the mean deviation value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violation of the ISNT rule in the glaucomatouseye group. Conclusions: The ISNT rule should be cautiously applied when evaluating normal eyes with long axial lengths. In addition, the ISNT rule might not be as effective for detecting early glaucoma.

      • KCI등재후보

        중등도 근시에서 가속 각막교차결합술과 함께 시행한 라섹 후 굴절 변화

        조상일,문자윤,최진석,김응권,박규홍,정성근 대한검안학회 2023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2 No.1

        목적: 가속 각막교차결합술과 함께 시행한 라섹 환자와 라섹만 시행한 중등도 근시 환자들의 굴절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3.0 diopter (D) 이상 -6.0 D 미만의 근시 환자들 중 가속 각막교차결합술과 함께 시행한 라섹 환자(이하 CXL 라섹군) 83명 166안, 라섹만 시행한 환자(이하 라섹군) 73명 146안을 1년간 경과 관찰하여 구면렌즈대응치, 각막곡률, 나안시력의 시간에 따른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두 군 간의 구면렌즈대응치(p<0.05), 나안시력(p<0.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편평각막곡률(p=0.10), 가파른각막곡률(p=0.18)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1년째 구면렌즈대응치는 CXL 라섹군은 -0.25 D와 +0.25 D 사이가 80.5%, 라섹군은 59.7%였으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수술 후 1년째 두 군의 구면렌즈대응치(p<0.05), 편평각막곡률(p=0.02) 가파른각막곡률(p=0.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나안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2). 두 군의 수술 전 구면렌즈대응치를 제외하고 경과 관찰 시점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5). 결론: 중등도 근시에서 CXL 라섹군의 수술 후 굴절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20대 한국인에서 관찰되는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의 다양한 표현형에 대한 고찰

        서지형,류익희,홍진표,문자윤,최진석,전익현,김태임,김응권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2

        목적: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 GCD2)은 각막에 과립 및 격자형 침착물이 생기는 유전 질환으로, 동형접합자와 이형접합자가 있다. GCD2는 중심각막수술 후 악화되며, 이형접합자의 표현형에 개인차가 보고되는 바, 굴절수술이 잦은 국내 20대에서 관찰된 다양한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전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duced gene)검사 결과 R124H 변이가 발견되어 GCD2로 진단된 20대 환자 중동형접합자 1인, 복합이형접합자 1인, 단순 이형접합자임에도 과립형 참착물이 나이에 비하여 많은 1인, 보편적인 표현형의 이형접합자 1인, 각막에 초기 증상인 과립형 침착물이 보이지 않는 이형접합자 4인의 각막을 세극등현미경으로 관찰 및 촬영하였다. 결과: 동형접합자는 각막을 뒤덮는 융합성의 과립침착물을 보였다. 복합이형접합자의 경우 중심각막을 대부분 덮는 과립형과 격자형각막혼탁을 보였다. 단순 이형접합자임에도 단안에 30개 내외의 과립형 침착물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었다. 투명각막으로 판정받았던이형접합자 4인 중에서 1인은 6개월 뒤 단안에 미세한 1개의 병변을, 1인은 3주 뒤 재검 시 단안에 매우 희미한 의심 병변 1개를 보였으며, 2인은 1회 조사 후에 투명각막으로 판정하였다. 결론: 20대의 GCD2 환자에서, 매우 혼탁한 각막부터 거의 투명한 경우까지 다양한 표현형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병변 발견이 힘든GCD2 각막이 존재하므로 각막 중심부 수술 전 세심한 관찰과 검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이형접합자에서 치료레이저각막절제술 전후의 대비감도 변화

        서지형,김태환,김희영,최진석,문자윤,안지선,김응권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6

        목적: 대비감도란 배경 또는 인접 사물로부터 특정 물체의 상대적 밝기 차이를 감지하는 기능(능력)으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기능을평가할 수 있다.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 GCD2)은 각막 기질의 혼탁으로 시기능의 저하를 일으킨다. 이에 본 저자들은 GCD2에서 치료레이저각막절제술(phototherapeutic keratectomy, PTK) 전후 대비감도를 비교하여, 치료 전후의 시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2명의 GCD2 이형접합자를 대상으로, PTK 전과 후의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대비감도는 야간(3 cd/m2)과 주간(85 cd/m2) 조도에서 눈부심 0, 1, 2단계(glare [G]; G0, G1, G2), 공간주파수 1.5, 3, 6, 12, 18 cycles per degrees (cpd)에 대하여각각 검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1.5, 3 cpd에서 야간과 주간 조도 시, G0-2의 모든 눈부심 단계에서 대비감도의 향상을 보였다(p<0.05). 6 cpd에서는야간 시 G1, 주간 시 G0-2의 눈부심 단계에서 대비감도의 향상이 있었다(p<0.05). 반면 12, 18 cpd에서는 야간, 주간 조도 시 G0-2의모든 눈부심 단계에서 수술 전후의 대비감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GCD2 환자에서, PTK를 통해 대비감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각막혼탁으로 저하된 GCD2 환자의 시기능이 PTK로 인해 뚜렷이개선됨을 대비감도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 KCI등재

        후방유수정체 안내렌즈삽입술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안구 생체계측의 효용성

        조민수(Min Soo Jo),문자윤(Ja Yoon Moon),정성근(Sung Kun Chung),김응권(Eung Kweon Kim),박규홍(Jin Seok Choi),최진석(Jin Seok Choi)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5

        목적: 후방유수정체안내렌즈(implantable collamer lens, ICL)삽입술 시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는 적절한 ICL의 크기를정하는 것이다. 적절한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Orbscan II와 IOL Master 700으로 측정된 horizontal white to white diameter (WTW)의값을 비교하고, 각각의 장비에 따른 WTW의 경향성과 ICL sizing에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9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본원에서 난시용 ICL 삽입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45명, 90안을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측정 장비별 WTW와 전방깊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IOL Master 700과 Orbscan II로 측정한 평균 WTW는 각각 12.2 ± 0.3 mm, 11.6 ± 0.3 mm였고, 전방깊이는 각각 3.28 ± 0.16 mm, 3.20 ± 0.15 mm였다. IOL Master 700 측정값은 Orbscan II 측정값보다 WTW는 평균 0.57 ± 0.12 mm, 전방깊이는 평균0.08 ± 0.04 mm 더 큰 값을 보였다. IOL Master 700으로 측정한 WTW과 전방깊이는 Orbscan Ⅱ로 측정한 값보다 각각 유의하게크게 측정되고 회귀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2=0.875, p<0.001) (R2=0.913, p<0.001). 결론: Orbscan II를 이용한 WTW와 같이 IOL Master 700으로 측정한 WTW값도 ICL 크기를 정하는데 단독으로 또는 더불어 참고값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Purpose: The proper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size affects ICL stability. This study compared device efficacy using white-to-white diameter (WTW) measurements with Orbscan II and IOL Master 700.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90 eyes (45 patients) who underwent toric ICL implantation from January 2019 to February 2020 and were followed for 1 year. The correlation between WTW and anterior chamber depth (ACD) for each measuring device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WTW measured by IOL Master 700 and Orbscan II was 12.2 ± 0.3 and 11.6 ± 0.3 mm, respectively, while the mean ACD was 3.28 ± 0.16 and 3.20 ± 0.15 mm. The WTW and ACD measured with IOL Master 700 averaged 0.57 ± 0.12 and 0.08 ± 0.04 mm larger than with Orbscan II.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nd the regression analysis had high correlations (R2 = 0.875 and R 2 = 0.913, respectively; both p < 0.001). Conclusions: WTW measured by the IOL Master 700 can be used as a reference either alone or together with the Orbscan II value to determine ICL size.

      • KCI등재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의 백내장수술 후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안지선(Ji Seon An),문자윤(Ja Yoon Moon),최진석(Jin Seok Choi),김응권(Eung Kweon Kim),정성근(Sung Kun Chung)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1

        목적: 당뇨와 비당뇨병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전후의 눈물 지질층 두께와 건성안 지표들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비당뇨 백내장 환자(I군) 36명의 65안과 당뇨가 있는 백내장 환자(2군) 23명의 35안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눈물 지질층 두께, 부분 눈꺼풀 깜박임 비율, 눈물막파괴시간, strip meniscometry검사를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 2개월째에 측정되었고 안구표면질환지수 설문지는 수술 전과 2개월 후에 실시하여 두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군에서 strip meniscometry 검사는 수술 전 3.2 ± 1.4 mm, 1개월 2.3 ± 1.0 mm, 2개월 2.5 ± 1.0 mm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5). 눈물막파괴시간검사는 수술 전 3.4 ± 1.6초, 1개월 3.0 ± 1.5초, 2개월 2.9 ± 1.5초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5). 안구표면질환지수 점수는 수술 전 30.8 ± 21.3점, 2개월 20.0 ± 15.8점으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II군에서는 눈물막파괴시간검사는 수술 전 3.6 ± 1.3초, 1개월 3.0 ± 1.0초, 2개월 3.1 ± 1.0초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감소하였다(p<0.05). 안구표면질환지수 점수는 수술 전 30.0 ± 20.6점, 2개월 19.0 ± 16.0점으로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두 군 모두 수술 전, 후 눈물 지질층 두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백내장수술 전, 후 각 군에서는 건성안 지표의 차이가 있었지만 두 군 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and dry eye parameters between non-diabetic and diabetic patient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e enrolled 65 eyes of 36 patients with cataracts but not diabetes (group I) and 35 eyes of 23 patients with both cataracts and diabetes (group II). The LLT, partial blink rate, tear break-up time (TBUT), and strip meniscometry tes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1 and 2 months after surgery.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efore and 2 months after surgery by both groups. Results: In group I, the strip meniscometry test value was 3.2 ± 1.4 mm before surgery, 2.3 ± 1.0 mm at 1 month, and 2.5 ± 1.0 mm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ess than before surgery (p < 0.05). The TBUT result was 3.4 ± 1.6 seconds before surgery, 3.0 ± 1.5 seconds at 1 month, and 2.9 ± 1.5 seconds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ess than before surgery (p < 0.05). The OSDI score was 30.8 ± 21.3 before surgery and 20.0 ± 15.8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surgery (p < 0.05). In group II, the TBU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preoperative value of 3.6 ± 1.3 seconds to 3.0 ± 1.0 seconds at 1 month and 3.1 ± 1.0 seconds at 2 months (p < 0.05). The OSDI score was 30.0 ± 20.6 before surgery and 19.0 ± 16.0 at 2 months, thu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surgery (p < 0.05). Neither group evidenc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LT before and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dry eye parameters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중등도 근시에서 라섹수술 받은 환자의 연령에 따른 단기 굴절 변화 비교

        김미정(Mi Jeong Kim),안지선(Ji Seon An),문자윤(Ja Yoon Moon),김희영(Hee Young Kim)최진석(Jin Seok Choi),박규홍(Kyu Hong Pak)정성근(Sung Kun Ch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1

        목적: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에서 라섹(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을 시행하는 경우와 만 20세 이상 22세 미만에서 LASEK을 시행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굴절교정수술의 결과와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본원에서 LASEK을 받은 중등도 근시 환자 339명(678안)을 대상으로 18세 이상 20세 미만으로 구성된 I군과 20세 이상 22세 미만으로 구성된 II군으로 나누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술 전과 술 후 1, 3, 6개월에 구면렌즈대응치값과 최대교정시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I군에서 -4.73 ± 0.88 diopters (D), II군에서 -4.58 ± 0.87 D였었다(p=0.34). 술 후 1개월째 I군에서 0.32 ± 0.46 D, II군에서 0.26 ± 0.59 D였고(p=0.18), 술 후 3개월째 I군에서 0.30 ± 0.47 D, II군에서 0.28 ± 0.50 D였다(p=0.67). 술 후 6개월째 I군에서 0.15 ± 0.47 D, II군에서 0.14 ± 0.50 D였다(p=0.89). 라섹수술 후 1, 3, 6개월의 두 군 간의 평균 최대교정시력 차이도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p=0.20, p=0.13, p=0.11). 결론: 중등도 근시 환자에서 만 18세에 LASEK을 시행받은 경우와 만 20세 이후에 시행받은 경우에서 굴절교정수술 이후 결과와 안정성에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by drawing a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divided according to age (18-19 vs. 20-21 years ol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retrospective analysis including 339 patients (678 eyes) who underwent LASEK between January 2017 and April 2020. Patients were divided by age group, group I (18-19 years old) and group II (20-21 years ol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included determination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s before and at 1, 3, an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he preoperative mean spherical equivalents (SEs) were -4.73 ± 0.88 diopters (D) in group I and -4.58 ± 0.87 D in group II (p = 0.34). At 1 month postoperatively, mean SEs were 0.32 ± 0.46 D in group I and 0.26 ± 0.59 D in group II (p = 0.18). At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mean SEs were 0.30 ± 0.47 D in group I and 0.28 ± 0.50 D in group II (p = 0.67). At 6 months postoperatively, the mean SEs were 0.15 ± 0.47 D in group I and 0.14 ± 0.50 D in group II (p = 0.8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at 1, 3, or 6 months (p = 0.20, p = 0.13, and p = 0.1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mean SE or safety of LASEK between moderate myopia patients 18-19 years old and those 20-21 years 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