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서비스 교과과정과 교수의 교수능력이 학생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문은정(Moon Eun-jung),이기종(Lee Kee-jong)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a college curriculum and professors’ education capabilities influence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of the students in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had completed airline service related curricula in a total of eight colleges in the areas of Seoul, K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SPSS program was an analysis tool used to prove the hypothesi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curriculum of airline service departments influences the self-esteem of students positively. Second, education capabilities of the professors of airline service departments influence students’ self-esteem positively. Third, out of the two components, the college curriculum has a greater effect on the students’ self-esteem than the professors`` cap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문은정 ( Eunjung Moon ),전준명 ( Junmyeong Jeon ),이가희 ( Gahee Lee ),백민영 ( Minyoung Baik ),이대우 ( Dae Woo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 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to find anti-wrinkle skin care ingredients from natural sources via the measurement of procollagen type 1 levels in the medium of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and found that a Nelumbo nucifera leave extract (NLE) was as the best effective ingredient. By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we confirmed isoquercitrin was one of the main compounds of NLE. Moreover, it also increased the procollagen type 1 production without cytotoxicity of NHDF. NLE and isoquercitrin exer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isoquercitrin exhibited strong intracellular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 skin-derived cells, HaCaT and NHDF. Finally, we performed clinical test for the inhibitory effect of NLE on skin wrinkle formation. A randomized study was conducted in 22 healthy female volunteers, aged between 30 and 65 yrs, with moderate to moderately severe facial wrinkles. Volunteer applied a 1.7% NLE cream (isoquercitrin 51 ppm) and a control cream at each facial side (left/right) twice daily for 8 weeks. The 1.7% NLE cream improved skin roughness through reducing the wrinkle of the craw’s feet significantly without any skin side effect.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NLE and isoquercitrin can increase the collagen production and exert antioxidant activity.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new non-toxic herbal extract, isoquercitrin-containing NLE will be interesting natural ingredient of cosmetics with anti-wrinkle efficacy.

      • 자연과학적 데이터를 활용한 풍납토성 백제토기의 분류 방안 연구

        문은정 ( Eun Jung Moon ),강희준 ( Hee Jun Kang ),한민수 ( Min Su Han ),이한형 ( Han Hyoung Lee ) 백제학회 2011 백제학보 Vol.0 No.5

        본 연구는 풍납토성 출토 백제토기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소성온도에 따라 토기를 분류할 수 있는 외형관찰 기준을 마련하는데 자연과학적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소성온도는 토기의 경도, 밀도 풍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중 현장에서 측정이 가능하고 유용한 것이 경도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발굴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경도 측정기준을 적용하여 토기를 분류하고,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이들 토기의 마이크로비커스 경도, 밀도, 흡수율, 조직의 유리질화도, 광물학적 특성 등을 측정하여 현장에서 적용하는 경도분류 기준과의 상관관계를 비교연구하였다. 그 결과, 발굴현장에서 동전의 긁힘에 의해 주로 행해지던 연질과 경질의 이분법적 분류는 연질과 연경질, 경질의 세 단계로 세분됨을 알 수 있었다. 소성 온도 추정 결과, 연질은 1,000˚C 이하, 연경질은 1,000~1,100˚C, 경질은 1,200˚C 이상에서 소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3단계로 분류되는 토기들의 각 단계별 외형적 공통점을 추출하여 자연과학적인 정밀분석 없이 육안관찰만으로 토기를 3단계로 분류할 수 있는 관찰기준의 제시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파괴분석을 하지 않고도 토기의 외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토기의 대략적인 물성과 소성온도 추정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 이러한 기준은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한성백제시기의 토기 중에서 배류와 호류 등 색상이 단조로운 제한된 기종을 중심으로 한 결과라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여러 기종의 다양한 색상을 가진 토기들을 대상으로 풍납토성 출토 토기의 경도별 분류가 가능하도록 수정·보완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Observation methods of appearance were studied to establish a systemized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firing temperatures of excavated earthenware from the Pung-Nap Mud Castle. A firing temperature has an impact on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hardness and density of earthenware. Of all the properties, hardness can be measured in situ. Therefore, the earthenware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ethod of hardness which can be applied and useful method for archaeological site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method and micro Vickers hardness, absorptance, degree of vitrescence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earthenware were studied by means of a natural scientific analysi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dichotomous way of classification based on a scratching method determining whether it is hard or soft sh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soft, soft/hard and hard. According to the presumption of the firing temperature, it is believed that the earthenware were fired at below 1,000℃, 1,000~1,100℃ and 1,200℃ respectively. The systemized observation method was proposed to enable the earthenware to b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using visual observation without a detailed scientific analysis. The method will make it possible to estimate roughly the physical properties and firing temperature of the earthenware with only visual observation. However, it has limits as it was established focusing on certain types such as Cups and Jars among the Han-Sung Baek-Je earthenware. Therefore, a further study is planned to be carried out on various objects excavated from Pung-Nap Mud Castle in order to enable categorization on the basis of hardness of the earthenware.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문은정(Eun Jeong Moon),이아라(Ara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거부민감성과 우울 간의 중간기제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전국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결측치를 제외한 27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거부민감성 척도, 자기침묵 척도, 분노반추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과 분노반추,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침묵은 분노반추와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분노반추도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반추는 각각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반추가 이중매개 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거부민감성이 높고 우울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교육하고 상담하는데 있어, 이들의 자기침묵행동패턴을 수정하고, 분노반추 사고 수준을 감소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ouble-mediated effect of self-silent and anger 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intermediate mechanism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Methods An online survey of 300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0, and 277 data excluding missing figur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the Self-Silence Scale, the Anger Ruminum Scale, and the Depress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s. Result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self-silence, anger reflection, depression. In addition, self-silent reflection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anger reflection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self-silence and anger reflection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ird, self-silence and anger were doubl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in educating and consulti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highly rejection sensitivityand experience depression may be effective in modifying their self-silent behavior patterns and reducing the level of anger reflection thinking.

      • KCI우수등재

        아동의 친한 친구와의 관계와 자아지각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문은정(Eun Jung Moon),심희옥(Hee Og Sim) 한국아동학회 2001 兒童學會誌 Vol.22 No.4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children`s friendships, their self-perception and school adjustment, 434 4th, 5th, and 6th graders replied to a series of questionnaires. Girls reported higher levels of quality of friendship in the areas of emotional security, help, intimacy, and acknowledgement than boys. Boys showed higher levels of self-perception in cognitive competence, athletic ability and social acceptance than girls. Positive friendship quality and friendship satisfaction were related to self-perception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that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were social behavior, cognitive competence, global self-worth, pleasure in companionship, and athletic ability. For boys, variables which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were social behavior, cognitive competence, pleasure in companionship, and global self-worth. For girls, the variables were global self-worth, cognitive competence, trust, social behavior, and athletic ability.

      • KCI등재후보

        에듀테인먼트용 디지털디바이스의 사용자경험 디자인 핵심요소

        문은정(Moon, Eun Jung),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태블릿PC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디바이스개발 확산으로 인한 아동의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아동용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가 개발·연구되고 있다. 그에 비해, 아동전용 온라인 디지털디바이스 플랫폼 연구는 저조하고 대부분의 아동들이 성인들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취학아동 행동패턴 분석 및 부모의 양육행태 분석을 통해 미취학아동용 에듀테인먼트용 디지털디바이스를 디자인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핵심 사용자경험 디자인 요소 도출을 통해 궁극적으로 아동용 디지털디바이스 플랫폼 연구의 기초적 틀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아동을 위한 교육매체로 학계적·실제적으로 교육효과를 인정받고 있는 에듀테인먼트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졌다. 연구대상은 디지털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육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중 직관적 사고기의 5세에서 7세의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에스노그라피를 실시하여 아동의 정서발달,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부모를 대상으로 컨텍스츄얼 인콰이어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양육행태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발견된 결과들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여 사용자경험 디자인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미취학아동을 위한 에듀테인먼트용 디지털디바이스는 형식적 측면에서 주인의식, 자기주도력, 부모의 간접적 관여가 도출되었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스토리와 동적요소와의 개연성, 긍정적 자기모형화,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도출되었다. As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vices including tablet PCs and smart devices has proliferated, children"s use of digital devices has become more common. So that online edutainment contents for children have been also studied in various ways. In contrast, this is much less studied about digital devices’ platform for children. In addition, most children are using digital devices which made for adults instead of devices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user experience design key factors for the edutainment digital device through analyzing preschool children’s behavioral patterns and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 the foundation stone of the study in digital devices for children. Main scope of this study is the edutainment filed which has highly been appreciated from the educational effect point of view not only in academia, but also in practice.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preschool children from 5 to 7 who are named ‘the intuitive thought substage’ by piaget.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chool children’s behavioral patterns in terms of emotion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by ethnography research and to find out their parenting behavior by contextual inquiry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targeting their parents. On the basis of the above, we produced the user experience design key factors through analyzing interconnections between findings of these researches above. As a result, it is found out ‘Ownership’, ‘Self-directing Ability’ and ‘Indirect Participation’ as the user experience design key factors in formal direction. And it is found out ‘Probability between stories and dynamic elements’, ‘Positive Self-Modeling’ and ‘Empathic Ability to other people’ as the user experience design key factors in contextual direction.

      • KCI등재

        임업기반의 6차산업 종합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제안 -힐링 라이프스타일 빌리지(HLV) 조성-

        문은정(주저자) ( Eun Jung Moon ),이양숙(교신저자) ( Yang Sook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삶의 질 추구 욕구와 국민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숲을 활용한 다양한 산림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수요를 기반으로 현재 임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2·3차 산업을 융복합한 6차산업화 지원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 정부가 6차산업화 정책을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지만 정책 실효성에 대한 비판 여론이 나타나고있다. 또한 임업의 6차산업화 대책에 있어서도 산림복지 수요 충족과 산촌경제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신규 비즈니스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국민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트렌드를 반영한 임업 기반의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첫째, 국내 6차산업 및 임업기반의 6차산업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수요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니즈, 인테리어시장 현황을 분석한 후, 임업 기반의 종합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인 ``힐링 라이프스타일 빌리지(HLV)``사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NABC 분석을 통해 제안한 비즈니스에 대한 사업경쟁력을 검토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HLV사업 모델이 지속적인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rising demand for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ealth of people have led consumers to be interested in varied activities using forests. Based on this, the supporting policies for the sixth industrialization merged with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are being pushed forward to achieve higher value-added forestry. However, even though the current government set forth the policy for the sixth industrialization as one of the national political agenda, critical public opinions have arisen on the effectiveness. With this status, the study aims to propose a business model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based on forestry reflecting people``s changing lifestyle and their needs. The study first conducts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omestic sixth industry and forestry based sixth industry. Second, it delves into the users`` lifestyle changes and need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ior market. After that, the ``Healing Lifestyle Village(HLV)`` project is proposed as a total service business model. Finally, its competitiveness is examined through the NABC analysis. It could be expected that the business model is of help to develop sustainable business models for the sixth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 개선 방안 연구

        문은정 ( Moon Eun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산업 발전과 디자인전문회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디자인전문회사 신고제도`의 신고기준에 대한 현실부합성 및 적합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을 검토하고, 신고제도의 필요성 및 지원혜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의 3가지 항목인, 전문분야, 전문인력 및 매출액 기준과 디자인산업특수분류 및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현황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현황을 살펴 보기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산업디자인통계조사`를 바탕으로 디자인전문회사 산업규모, 평균 매출액 및 인력규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분야 기준은 국가 내에 디자인산업에 대한 분야체계, 분야명칭 및 분야영역에서 일관된 분류체계를 도입하지 못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전문인력 및 매출액 기준은 디자인전문회사의 인력규모 축소화 및 프리랜서 증가추세에 반해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는 단편적인 신고기준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관된 국가 디자인산업 분류체계 도입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전문인력 및 매출액의 단편적 신고기준을 기업규모별 분류기준으로 보완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진문인력 및 매출액을 포함하여 기업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 신고기준 확립과 정기적 검증제도 도입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디자인산업 현황에 맞는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clear reporting standards on `The reporting system for design consultancies`. This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design industry and efficiently supporting design consultancies. To do this, we reviewed the reporting standards and studied the necessity of the reporting system along with the support benefits. Based on these studies, we analyzed three (3) categories of reporting standards and the status of design consultancies in Korea. The size of the design industry was studied which included both average sales, and the size of the workforce based on the `KIDP Korea design statistical data` released between 2011 to 2015.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did not introduce a consist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design industry.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sales, the government has unrealistic and fragmented standards when compared to the trend of decreasing in size of design consultancies and the increase of freelanc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3)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system to introduce a consistent national desig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Secondly, in order to supplement the current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porting standards for professionals and sales by company size. Finally, additional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company`s capabilities which would also need periodic verification systems to be in place. Based on these suggestions, we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reporting standards for domestic design consultancies.

      • KCI등재

        논문 : 국내 공공기관 디자인 정책 시스템동향 및 과제 -2011~2014 KIDP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분석-

        문은정 ( Eun Jung Moon ),나건 ( Ken Na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1

        국내 디자인 산업규모 확대 및 디자인 인력의 증가와 함께 디자인의 산업적·경제적 가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의 가치증가와 더불어 정부 또한 국내외적 산업흐름에 맞는 디자인정책을 수립하고 이에 맞는 정책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국내 디자인산업규모 및 디자인 인력과 디자인의 경제적 가치현황을 알아보고,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의 ``산업디자인 통계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디자인관련 정책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의 산업적·경제적 가치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국내 산업현황에 반해, 국내 공공기관 내 디자인 가치는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예산 감소로 인한 디자인 전담부서·디자인 인력의 지속적인 감소 및 직원 디자인교육의 부재가 나타났다. 이러한 디자인관련 정책개선을 위해서는 디자인에 대한 인식개선 및 전문성 확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디자인 교육시스템 구축이 요구되며, 디자인의 명확하며 광범위적 활용을 위해 체계적 디자인 전담부서 조직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Industrial and economic value of design has increased steadily with expansion of the design industry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design profession. In terms of increasing of the design value, Korean government has to establish a design policy that responds to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nvironment with a well-timed design policy system.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of design industry size and design personnels with the economic value of design in korea at first.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design policies into the domestic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using ‘KIDP Korea design statistical data’. As a result, the design value within the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continually reduced while industrial and economic value of design has expanded constantly at home and abroad. Reduction of design departments and the public design officials has happened with a lack of design education systems through the budget cut of design part. It has to be preceded by improving the awareness of design to improve the design policy nationally. Then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design education systems and organizing design organizations for the well-defined and wide use of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