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플의 스마트 기기를 통한 인터페이스 3.0 분석

        나건(Ken Nah),전소현(So Hyun J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스마트기기(Smart Device) 중심으로 인터페이스 환경이 변화하면서 디자인의 영역도 점점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인 프로세스는 이전의 그것과 달리 수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디자인 영역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ICT환경에서 미래의 스마트기기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길 기대할 수 있다. 애플(Apple Inc.)사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연구와 출시된 스마트 기기들을 통해, 탑재된 센서들의 기능을 바탕으로, 인터페이스 3.0의 관점에서 그 생태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자료의 서적, 보고서, 전문 자료및 기사 등의 분석 및 관련자료 정리 등을 통해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애플의 스마트기기의 의미를 분석하고,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센서들과 센서의 수행기능을 정리, 이를 통하여 인터페이스환경을 조명하려 한다. 애플의 스마트기기들을 스마트 기기, 스마트 컨텐츠, 스마트 서비스의 세 부분의 측면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으며, 첫 번째 스마트 기기는 기기들의 각기 탑재된 센서를 바탕으로 수행기능을 정의하여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사용자와 연결되어 있는 생태계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 스마트 컨텐츠는 애플이, 컨텐츠공급자와 사용자가 연결되어 있고 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플랫폼 개발로 이루어져있는 생태계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스마트 서비스로모든 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생태계를 준비하고 있는 애플의 인터페이스 3.0을 제시하였다. 애플은 스마트기기를 중심으로 모든 사물과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형성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기가 출시될 때마다 그 생태계의 환경은 더욱 유기적이 되고 있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생태계 속의 인터페이스3.0 관점으로 애플의 스마트기기를 위와 같이 정리해 Trends for 2015봄으로써 스마트기기의 디자인 프로세스 수행에 있어본 연구가 이해의 견지를 넓혀주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Changing smart Devices’ Interface environment, the boundaries of Design is also getting vanish. In such situation, it is need to be preceded by considering about new Design boundary, we can expect to b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Apple Inc.’s eco-system in Interface 3.0 at the interface 3.0 point of view through on smart devices released for Apple Inc., based on functions of the sensors are mounted. Research methods are analysis of books of related materials, reports and newspapers. In this analysis, Apple Smart devices is organized into three. Smart devices, smart contents and smart services which has formed a network and platform for connecting with all things around a smart device, a new device is released environment of the eco-system has become more organic each time. It is say that has well-designed interface 3.0. In this Study, Apple Inc.’s Smart Devices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Smart Device, Smart Contents and Smart Services. First of all, Smart Device, by defining th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sensors are mounted was organically presenting eco-system which connected between devices and users. Secondly, Smart Contents, by defining th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the Network and developing Platform keep connect contents in anytime. Lastly, Smart Service, by defining the smart eco-system to connect anything give users have interface 3.0 environment. It is expected will give broaden understanding in performing process of Smart Device Design on new interface environment by studying of Apple Inc.’s Smart Devices organically connected eco-system on interface 3.0 point of view.

      • KCI등재

        감성 평가를 위한 감성의 의미 재정립과 어휘 체계에 관한 연구

        정현원,나건,Jung, Hyun-Won,Nah, Ken 대한인간공학회 200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6 No.3

        'Emotional value' has been a buzz word for design and ergonomics in the era of business innovation. However, the complication of 'emotion' in terms of literal and practical meaning has made it a challenging but confusing task for designers to develop a new product with emotional value. 'Sensibility' and 'emotion' are interchangeable terms to describe human feeling ('gamsung' in Korean). The confusion reached at its peak with Korean terms. Even scholars in Korean language, psychologists, ergonomists, and designers are bewildered at the choice of proper expression for human feeling in both Korean and English. The difficulty could explain the problems in 'sensibility ergonomic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oth fundamental and satisfying information with people in the area of 'sensibility ergonomics'. Therefore, in this paper, a number of articles and books on sensibility, psychology, sensibility ergonomics, and design were reviewed to clarify the meaning of sensibility and relationship among similar words that have been used with unintentional misunderstanding. Also many adjectives on human sensibility were collected and complied for the use of sensibility evaluation.

      • KCI등재

        감성-경험 기반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개발 연구

        한봄이,나건,Han, Bomyi,Nah, Ke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디지털 혁신의 발전과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감성과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공감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산업 발전 및 디지털 혁신에 대한 현황을 경제 분석 자료와 통계 분석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둘째, 감성과 경험에 대해 고찰하여 그 유형과 속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앞서 도출된 유형을 직접적인 결과물에 투영하여,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현황 분석과 선행 연구를 통한 이론적 근거 제시, 인간의 감성과 경험의 영역에 따른 조사 방향성 및 연구 범위 구체화, 사용자 조사 개발 방향성을 적용한 디자인 분석 방향성 제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감성과 경험의 본질적인 개념 고찰을 통해 차별화된 경험을 주기 위해 인간의 감성과 행동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해야 되는지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igital innovation. First, analyzed the status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digital innovation. Second, examined emotion and experience, looked into their types and properties. Third, attempted to develop a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use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a theoretical basis, specification of research direction and research scope, and design analysis direc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that can help how to approach and interpret human emotions and behaviors in order to provide differentiated experiences by he essential concepts of emotions, experiences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 영화 타이틀 디자인의 미장센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연구

        김근혜(Kim, Geunhye),나건(Nah, Ke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29 No.-

        본 연구는 영화의 타이틀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 요소인 함축적인 표현을 위한 미장센 요소에 대해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고 한류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영상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타이틀 디자인에 관한 효과 및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등은 영상 산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한 분야로 급속히 성장한 것이다. 영상 산업에 있어서 타이틀 디자인은 일상에서 접하는 텔레비전, 확대된 여가 시간으로 소비가 증가한 영화 콘텐츠, UCC, 각종 영상자료 등에서 효과적 메시지 전달을 위해 주제에 따른 소재, 타이포, 색상, 형태와 같은 디자인 요소의 총체적 조화를 추구하면서도 명료하고 함축적인 영상미 구현을 위해 성장하고 있다. 이의 연구를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타이틀 디자인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시각적으로 뛰어난 표현력으로 주목받은 영화의 타이틀 6편을 선정하여 인터넷 정보 및 네트워크 검색, 단행본, 논문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 주요 미장센 요소에 따른 범위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그 결과로 짧은 러닝타임으로 이미지를 전달해야 하는 타이틀 디자인에 있어서 은유와 상징적 표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는 주의력을 요구하는 인지적 효과에도 긍정적인 영항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mise-en-scene elements for implicative expressions, important factors in title designs of movies. Interests in image beauty were rais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growing influence of Korean Wave contents. As a very important field of screen industries,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of effects, an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on title designs. On screen data, such as television, film contents and user created contents (UCC), the field of title design has developed, aiming to realized clear and implicative image beauty while pursuing the comprehensive harmony among various design elements, such as material, typo, color and shape, determined by topic to effectively deliver a message of each of the image data.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e chose 6 titles of movies whose title designs came to the forefront due to their effective delivery of meaning and their outstanding visual expression. Moreover, we established the scope according to mise-en-scene elements and analyzed it through internet and network searching and a literature survey of books, articles and theses. In conclusion, we proved the importance of metaphoric and symbolic expressions in title designs which need to deliver images during short running time. Further, we predicted that these expressions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effects requiring attention.

      • KCI등재

        바이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패션 소재 개발 특성

        권성하 ( Sung Ha Kwon ),나건 ( Ken N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새로운 소재에 대한 갈망으로 소재에서도 과학 기술과의 융합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테크놀로지가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간략하게 바이오테크놀로지의 개념과 활용,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본문에서는 미래 신소재로서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사례들로 연구 범위를 제한하여 바이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소재 개발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미생물을 활용한 사례와 동물세포를 활용한 사례, 원세포를 활용한 사례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그 안에서 구조적 소재 개발과 표면적 소재 개발로 분류할 수 있었다. 미생물은 현재에는 생태분해자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를 배양하여 새로운 소재로 만들어 생분해성을 가진 유기적 소재를 만들 수 있었다. 동물세포는 인체의 조직 등을 활용하여 배양, 이식하여 표현되었고 원세포는 인공 합성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이를 새로운 소재로 만드는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안정성에 대한 검증, 유전정보의 보호, 생명복제에 대한 가치관과 윤리의식에 대한 해결 등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하지만 바이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소재들은 일반 섬유 생산 및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약품 등의 사용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고, 동물 희생을 줄이며, 경우에 따라 직접 재배도 가능하다. 또한, 기능성을 가진 살아있는 유기체이면서 지속가능한 새로운 소재를 제안할 수 있다. 바이오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디자이너와 과학자와의 바람직한 융합 연구의 한 방향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Biotechnology in material development has emerg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while the convergence research of textiles and science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sustainability and for new material.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the application and the prospect of biotechnology were described. In the body of research, fashion materials using biotechnology are researched by limiting the scope of the cases which offer ideas as future material. The cases could be divided into the practices utilizing microorganisms, animal cells and protocells. In that, they could be classified as structure development of material and surface development of material. Microorganisms are nowadays taking the role of decomposers, but by culturing them, ecological material can be created as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s. Animal cells such as one of the body tissue are cultured and protocell are artificially synthesised for new material.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be solved, such as safety verification on the human body, protection of genetic information and issues for the values and ethics of life. However, material utilizing biotechnology can reduce the amount used of chemicals that occur in normal textil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prevent the unnecessary sacrifice of animals and can also be grown by users. They also can be new materials with sustainability and living materials with the functionality. The study of the material utilizing biotechnology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 one direction of the desired convergence research with designers and scientists.

      • KCI등재

        감성-경험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 Ah),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오늘날의 디자인은 형태와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다학제적인(multidisciplinary) 측면을 요구한다. 이제 디자인도 인간의 감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디자인이 외형 중심의 물질적인 측면에서 비물질적인 무형의 서비스까지 포함하는 일종의 서비스 프로세스 개념으로 변화하였음을 뜻한다. 본 연구의 과제인 감성-경험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감성과 경험 기반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감성-경험(FEEM)모델의 개념 연구를 통해 경험의 의미와 종류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감성-경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논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감성-경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박물관 전시공간에 적용해 이해관계자 개념 모델(Stockholders Concept Model)을 구축하였다. 또한 전시공간에 대한 ‘감성-경험 여정 맵(Emotion-EXPERIENCE Journey Map)’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감성-경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전시공간에 적용하여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전시공간디자인 분야로 확대 연구 하였다. Nowadays, design needs to be multidisciplinary considering emotional aspects of users as well as shape and functions. Design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Emotion-EXPERIENCE of human beings. It means design has been developed into the service design process concept including non-material intangible services from the shape centered material aspects. Service design mean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design users or customers. The study on the Service Design Process based on Emotion-EXPERIENC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of all, Emotion-EXPERIENCE based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analyzed Additionally, the meaning and kinds of experiences were studies through the conceptual investigation of Emotion-EXPERIENCE model (FEEM). Based on the basic study results, Service Design Process based on Emotion-EXPERIENCE was discussed. Stockholders Concept Model wa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Emotion-EXPERIENCE service design process to museum exhibition spaces. Besides, "Emotion-EXPERIENCE Journey Map’ on the exhibition space was explored. By applying the Service Design Process based on Emotion-EXPERIENCE to the exhibition spaces, the study was expanded to exhibition space design field.

      • KCI등재

        주얼리 개념의 확장과 수렴을 통한 블러(Blur: 불명확하게 만듦)현상 연구

        이지원(Lee, Ji Wo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현대 사회에서의 주얼리는 보다 다양한 형태와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정형화된 개념으로는 신체 착장의 기능이 있는 재산 가치성이 있는 장식용 장신구이다. 그러나 주얼리는 감성적인 부분을 표출 하며 개인 내면의 정서나 미감을 표현 할 수 있는 개인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주얼리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기술적 제품들과 표현된 형태의 제품들이 많다. 현대 사회는 인터넷 등 사회 문화적인 현상과 흐름이 개방과 공유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고, 따라서 인식에 대한 형태도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이다. 뿐만 아니라 급속하게 발전하는 기술들은 어떻게 인간의 삶에 밀접하게 다가 갈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인 흐름 아래 있는 주얼리에 대해서 논의 해보도록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우선, 일반적인 주얼리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현재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들 속에서 경계와 분류들이 모호화 되어 가는 현상인 블러(Blur)현상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 해 볼 것이다. 다음으로 블러(Blur)현상에 대입할 수 있는 주얼리의 다양한 형태들을 사례연구로 논의 하면서 주얼리의 개념을 일반적인 개념에서 확대하고 수렴하고 분리, 재 확대하여 보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의 목적은 보다 유연한 사고를 통한 주얼리의 개념을 만들어 갔으면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주얼리의 어느 한 영역을 연구해 보기 보다는 현대의 주얼리의 예들을 살펴보면서 주얼리의 일반적 개념에 한정하여 개념의 확장과 수렴을 통한 개념의 변화를 고찰 하도록 하겠다. 연구에 대한 결과로서 첫째, 주얼리에서의 개념의 확장에 대해서는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은 블러의 개념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개념의 약하에 따른 다양한 해석 여지를 둘 수 있다는 이론을 패션, 얼굴장신구 및 장갑형태의 주얼리 등의 예들을 통해 설명하였고, 둘째, 주얼리로의 개념 수렴에 대해서는 블러(Blur)에 대한 타자성 개입에 따른 수렴 현상에 대해 기존의 개념이 불명확해지는 것으로 인하여 고착화 된 주얼리의 개념에 의문을 가지면서 웨어러블 기기에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요소를 수용하여 스마트 주얼리라는 주얼리의 새로운 개념으로 수렴 할 수 있다고 논의 하였다. 셋째, 주얼리로의 개념의 분리와 재 확장에 대해서는 블러(Blur)에 대한 모호성에 관련된 이론으로 모호성을 통해 새로운 관계로 재조합하거나 재배열하여 기존의 질서를 무너뜨려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 하여 새로운 시장과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을 논의 하였다. In modern society, jewelry is understood in a broader sense and concept. In a standard, traditional concept, jewelry refers to wearable, decorative accessory with property values. In a broader sense, however, jewelry can reveal one’s emotions, express individual feelings and display the esthetics of a wearer. Reflecting such various characteristics, a host of jewelry products with technical feats and artistic values are being produced.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trend of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sharing and openness, and thanks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like the Internet, people’s way of thinking is also more open and flexible. Moreover, the rapid developments in technologies are making ways to get a closer access to human life every second. Accordingly, this paper will look into jewelry in the socio-cultural trend. For the methods of the study, this paper will study the general concept of jewelry and provid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blur” phenomenon where boundaries and classifications become blurred in society. Then, the study will investigate into different types of jewelry that can be applied to the “blur” phenomenon by looking into case studies, thereby expanding, converging, and re-expanding the concept of jewelry from a traditional concept to a wider concept.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forming a new concept of jewelry in a wider and broader sense through flexible thoughts. And the scope of the study will be not be confined to a specific area, rather, it will focus on the general concept of jewelry and the changes in the concept by looking into case studies about modern jewelry.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first, when it comes to expanding the concept of jewelry, Peter Eisenman explains, by taking examples of jewelry products in fashion, facial accessories, and gloves, that there would be various explanations on defining jewelry as the traditional concept becomes blurred due to the “blur” phenomenon; second, about converging the concepts regarding jewelry, the paper discusses the intervention of otherness on the “blur” phenomenon which blurs the traditional concept, raising questions over the fixed concept of jewelry. With the questions in mind, this study also discusses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becomes ambiguous in accepting new factors of change, and jewelry can be understood in a new concept of “smart jewelry”; and third, regarding the separation and re-expansion in the concept of jewelr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mbiguity of the “blur” phenomenon can dismantle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system, which gives way to create a new market and culture by recombining and rearranging the concept.

      • KCI등재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플렉서블 브랜딩(flexible branding)에 관한 연구

        김찬숙(Kim, Chan Sook),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네트워크와 지식의 교환을 통해 다른 소비자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집단지성을 이루고 있다. 소비자들은 그동안 기업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던 수동적 입장에서 스스로 정보를 생산하고 전달한다. 또한, 참여와 공유를 통해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비의 패턴뿐 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전반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기업 중심의 브랜딩 활동에 한계성을 지적하며,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플렉서블 브랜딩의 개념을 제시한다. 플렉서블 브랜딩은 미디어 환경과 소비자 반응에 움직이고 변화하는 가변적 구조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구축과 활용의 과정을 통해 브랜드 경험 확장과 소비자와의 공동 가치 창조를 목표로 한다. 국내외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플렉서블 브랜딩의 유형은 시각체계의 확장유형, 정보와 이야기 전개 유형, 미디어 반응과 상호작용 유형, 협력적 가치 창조 유형으로 제시된다. 또한, 확장성, 통합성, 적응성, 개방성의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플렉서블 브랜딩의 유형과 특성은 지속 가능한 브랜드를 만들고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전략적 방법론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플렉서블 브랜딩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그것의 개념과 활용적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플렉서블 브랜딩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논의되어져야 할 것이다. Consumers nowadays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through myriads of networks and achieve what is called collective intelligence. Rather than passively taking in information from companies, consumers now actively create and deliver information. By shar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consumers not only have shown a change in consuming patterns, but also lead the shift in political, economical, societal, and cultural paradigms. This is the concept of flexible branding this paper put forth to handle the unpredictable management environment. Thus,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the identity, flexible identity can be defined as a concept of branding aiming to develop and expand the brand experience through cooperative value creation with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branding from analyzing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lexible branding is composed of four types: visual system expansion, information and narrative, media interaction, and value co-creation. Also, the four characteristics of flexible branding are: expandability, integrity, adaptability, and openness. The type of flexible branding seen in this study will create an sustainable brand an act as the methodological base with which the company can work with the consumers to co-create value and expand the brand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can be seen in the various discussions of flexible branding and the proposal of the concept and value.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flexible branding and should actively discuss the matter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