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에서 ‘시민 되기’: 중국 출신 결혼이주자의 조직화

        문경연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3

        이 논문은 대만 사회에서 중국 출신 결혼이주자(대륙배우자)의 사회문화적 시민권이 어떻게 확대되는지를 고찰한다. 2003년부터 대만 정부는 대륙배우자들이 대만에 들어오는 것을 제한했지만, 배우자들이 대만인의 어머니로 남아 있을 때에 한해 복지와 교육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대만 정부의 기획을 ‘어머니-시민 만들기’라 정의하며, 이 기획은 ‘공산 중국’의 이미지를 지우고 ‘민주 대만인의 어머니’를 주입하려는 의도를 가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기획에서 대륙배우자는 ‘대만인의 어머니’로만 남지 않는다. 지속적인 지역 사회의 참여를 통해 대륙배우자들은 자아실현과 소속감을 갖게 된다. 이를 본 논문에서는 ‘참여자-시민’이라 부른다. ‘참여자-시민’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동향회를 통해 인맥을 넓히는 것이다. 둘째는 대륙배우자 스스로 무용단을 운영하며 공연을 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자원봉사단을 통해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륙배우자들의 지역사회 참여는 더이상 이들이 ‘어머니-시민’이 아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참여하는 ‘참여자-시민’임을 보여준다. 또한 이전에 대만 정부에 저항하였던 대륙배우자들의 모임을 분화⋅재결집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ocio-cultural citizenship of the Chinese spouse in Taiwan society is expanding. Since 2003, the Taiwanese government has regulated the entry of Chinese spouses into Taiwan and has only provided social citizenship, which includes benefits like education and welfare, to these spouses as long as they are the mother of the Taiwanese child. This paper defines this Taiwanese government project as “mother-citizen-making”, which also includes the attempt to delete the image of “Communist China” from the Chinese spouse in favor of one of a democratic Taiwanese mother. However, through this project, Chinese spouses are not only remained as Taiwanese mothers, but they feel a sense of self-realization and belonging through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Once these Chinese spouses begin to become part of Taiwanese society, they are called “participant-citizens”; this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Chinese spouses expand their network through a hometown association. In the second part, Chinese spouses operate their own dance club and carry out their own economic activities. In the third part, Chinese spouses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through volunteer groups.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spouses shows that they are “citizens” who participat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not just “mother-citizens”. The emergence of participant-citizens leads to a division that affects the gathering of Chinese spouses who originally had a hostile attitude toward the Taiwan government.

      • KCI등재

        ‘동포’와 ‘일경험’ 사이에서: 중국 샤먼 내 대만 청년들의 이주 사례를 중심으로

        문경연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3

        How do Taiwanese youths working in Xiamen—the border region between China and Taiwan—perceive themselves? This paper examines the migration of Taiwanese youths to Xiamen, China, and how the Chinese government’s label of “compatriots” is appropriated across ethnicities, cultures, and blood ties.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emergence of “Taiwanese youth” in Taiwan and China. In Taiwan, the term “Taiwanese youth” appeared in the realization that Taiwanese—not other people such as Japan, the Kuomintang,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hould make their own country. On the other hand, it was only in 2015 that “Taiwanese youth” emerged in China as protagonists to unify China-Taiwan relations. In this context, Taiwanese youth who chose to migrate to Xiamen, the border region between China and Taiwan, perceived themselves as “compatriots” or “young workers”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backgroun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mainland China.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process of identity differentiation of “Taiwanese youth” and argues that the Chinese government’s interpellation is refracted in the practices of Taiwanese youth. 중국과 대만의 접경지대인 샤먼에서 일하는 대만 청년들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 논문은 대만 청년들의 중국 샤먼으로의 이주를 통해 대만 청년들이 중국 정부의 ‘동포’라는 호명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고찰한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대만과 중국에서 ‘대만 청년’이 나타나게 된 역사적 맥락을 분석한다. 대만에서 ‘대만 청년’은 일본⋅국민당⋅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타자가 아닌 대만인 스스로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자각 속에서 등장하였다. 반면 중국에서는 2015년에서야 중국-대만을 통일할 주역으로서의 ‘대만 청년’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과 대만의 접경지대인 샤먼으로 이주를 선택한 대만 청년들은 연령⋅교육 배경⋅역사 의식⋅중국 대륙에 대한 직간접적 경험에 따라 ‘동포’ 또는 ‘일하는 청년’ 등으로 자신을 인식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대만 청년’ 정체성의 분화 과정에 주목하며 중국 정부의 호명이 대만 청년들의 실천 속에서 굴절됨을 주장한다.

      • KCI등재

        1894~1910년 사이 근대적 공간으로서의 신문이 생산한 연행성과 감각들 ―양세라, 『근대계몽기 신문 텍스트의 연행성 연구』 (소명출판, 2020)

        문경연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9

        『근대계몽기 신문 텍스트의 연행성 연구』는 1894년 이후부터 1910년 까지 근대계몽기 신문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제국신문>, <대한민보> 등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신문의 공간적 실천 전략을 연구했다. 저자는 신문을 사회적 공간으로 상정하고 신문 텍스트의 소통방식과 소통의 상호작용을 고찰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지시하는 신문의 ‘연행 텍스트’는 일단 당대 연희 마당과 연극장, 연극개량 등을 주제로 한 기사들이다. 여기에 신문에 실린 기사 장르로서의 논설, 시사평론, 독자투고, 잡보, 광고, 소설 등이 연행적인(performative) 방식의 글쓰기를 활용할 때 이것들을 ‘연행 텍스트’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저자는 핵심 키워드인 ‘연행성’을 서술함에 있어 전근대 사회의 전통연희적 속성을 호출하지만, 동시에 연극이 생성하는 역동성과 상황으로서의 예술 과정에 주목하는 현대 예술의 ‘연행성’ 개념을 교차·적용한다. 이 연구서가 갖는 가장 큰 미덕은 근대계몽기에 여전히 잔류하고 있었던 전근대적 연희와 당대 근대 신문 텍스트에서 ‘연행성’이라는 극적 소통구조를 포착하고 이를 연속적인 시각에서 통찰한 점이다. 이 연구의 성과는 근대계몽기 신문에 실린 연희와 연극(장)담론에서 타자화 되었던 당대 연행 주체와 연희 환경의 수행적 지각 방식을 복원한 것에 있다고 본다.

      • KCI등재

        1950년대 유치진 희곡의 젠더정치와 미완의 사실주의-<한강은 흐른다>(1958)를 중심으로-

        문경연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 consciousness of the writer Ryu Chi-jin through <The Han River flows> of Ryu Chi-Jin, who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Korean drama in the 1950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eaning generated by the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e work while the dramatic representation of the ‘woman’ that the writer said “pay attention to has fail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purpose, I want to look at it.”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examine whether this work, which was intended to distance itself from the “male-oriented intense action play”, has reached its aim through plot analysis. This is a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Peter Brooks’ plot theory that “plots are involved in meaning production”. As a result, the master plot of <Han River flows> can be called anti-communism-plot, and the plot itself is gendered. <The Han River flows> narrative of the masculinity expected of violence in order to revive masculinity lost in war, and the self-hatred of the contaminated body (passive aggression and suicide) I have drawn a woman who keeps order. The work was reproduced in a gendered plot of anti-communism-plots in the way that pure women and inferior women were eliminated. At the same time, this work confirms that the slogan of theme’s emphasis and anti -communism, which Oh Young-Jin said, is closed by self - destruction of masculinity and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s impossible to reproduce. This would have a paradoxical meaning to propel epistemological violence of the gendered plot. 본고는 1950년대 한국 희곡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유치진의 <한강은 흐른다>를 대상으로 작품의 젠더 의식을 고찰하고자 했다. 작품의 신체표상이 발생시키는 의미에 주의하면서, 작가가 주목하겠다고 밝힌 ‘여성’의 극적 재현이 이전 작품들에서 비판받았던 목적성, 선동성과 어떤 식으로 선을 긋고 있는지, 혹은 그 결별에 실패한 것은 아닌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특히 본고는 “남성 위주의 목적성 짙은 행동극”과는 거리를 두고자 했던 유치진이 과연 그 지향점에 도달했는지를 플롯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자 했다. 이는 플롯이 의미생산에 관여한다는 피터 브룩스의 플롯 이론을 비판적으로 지지하면서 동시에 젠더적 관점에서 플롯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한강은 흐른다>는 전쟁으로 상실된 인간성(남성성)을 소생시키기 위해 폭력에 기대는 남성을 서사화하며, 훼손된 신체에 대한 여성의 자기혐오 즉 수동적 공격성과 자살 선택을 통해 가부장 질서가 유지되는 파국을 그려냈다. 반공플롯이 마스터플롯인 이 작품의 결말은 시작과 함께 이미 정해져 있었던 셈이다. 서사의 절정에서 갈등이 해소되고 사건의 내막이 총체적으로 제시되면서 극이 종결되는 젠더화된 플롯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작품은 남성의 욕망과 쾌락원칙에 기반한 플롯 패턴을 그려냄으로써 플롯과 젠더의 상관관계를 드러내며, 플롯이 가치중립적이고 보편적인 미학 개념이 아니라 젠더화된 이데올로기적 장치로 활용될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플롯은 유치진이 이 작품에서 성취하고자 했던 젠더 정치가 미완으로 종결될 수밖에 없는 애초의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큐멘터리의 내러티브 전략과 에세이영화적 특징 고찰 -<나의 문어 선생님>(2020)을 중심으로-

        문경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7 No.-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capture and record the object in close range quickly, spontaneously, and easily, which led to an explosive increase of personal documentaries. The documentary feature film, My Octopus Teacher (2020),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sonal documentary style that fully reveals the unique quality and intervention of subjective point-of-view of the director unlike documentary in the traditional sense, which emphasizes objective representation of reality, public nature and objectivity. The documentary unfolds the life of a female octopus and explores the truth behind her life living in a kelp forest in the Atlantic Ocean off the coast of Africa. Yet, the film does not stop at that, but simultaneously serves as the Craig’s self-reflective practice to overcome his traumatic memory and distress through his interaction with the octopus, which displays the virtue of an essay film.

      • KCI등재

        일제 시대 상업출판의 식민적 자생력 -삼중당서점을 중심으로-

        문경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2 No.-

        본고는 식민지 시기 ‘삼중당서점’의 설립과 운영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조선인 출판업자의 경영과 생존전략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사주 서재수가 식민 치하에서 익힌 근대적 출판 감각에는 이윤 창출을 위한 영리 추구와 더불어 제국과 식민지의 불균등한 출판 현실에서 일제의 제약에 반향하는 각축의 논리가 자리잡고 있다. 서재수는 일제 시대 출판물 검열의 한계를 영리하게 넘나드는 수완을 보여주었으며, 기민한 판단력과 추진력으로 서점의 사세를 확장시켰다. 특히 출판 목록과 판권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략은 조선인 출판자본자가 무기력하게 함몰되는 열패가 아닌 생존을 위한 계획적 선택이었다. 일제 말기 삼중당서점의 경영과 출판 활동을 통해, 민족주의적 저항이라는 외장을 애써 두르지 않고 그렇다고 과도한 친일이나 굴종도 아닌, 현실적 타협을 모색한 한국 근대출판업자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nagement and survival strategies of Korean publishers by examin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rocess of ‘Samjungdang Booksto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modern sense of publishing that Saju Seo Jae-soo acquired under colonial rule has a commercial purpose for profit creation, as well as a logic of competition that echoes Japan's restrictions in the uneven publishing reality of empires and colonies. Seo Jae-su showed cleverness in overcoming the limits of censorship of public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expanded the business of the bookstore with his astute judgment and driving force. In particular, the strategy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ublication list and copyrights was a planned choice for survival, not a defeat in which the Joseon publishing capital was helplessly crushed. Through the management and publishing activities of Samjungdang Bookstore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we can discover the potential of modern Korean publishers who sought realistic compromises without trying to put on the guise of nationalist resistance or being excessively pro-Japanese or submissive.

      • KCI등재

        북한 경제난의 인구학적 영향과 경제에의 함의

        문경연,김판석 통일연구원 2013 統一 政策 硏究 Vol.22 No.1

        In 2000, Park Sunyoung’s study, which was on the same topic and objectives a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emocratic impact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but it was not enough to show the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due to the lack of data on the North Korea economic crisis in 2000. Cho Dongho and Jang Namsoo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and labou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Neither did this study show the impact of chronic economic downturn on the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which has continued for the last 20 years from 1993 to 2013.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identify the demographic impact - not simply mortality rate, but also the impact of mal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North Korea people - during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from 1993 to 2013. By doing so, this study extrapolates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demographic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in 2013. This article found that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which continued since 1993 until 2013, resulted in the significant demographic impact and changes in the North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also argues that such demographic changes should not be ignor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economic resuscit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resumption of humanitarian food assistance to North Korea, especially for vulnerable target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mothers, and women in fertile regardless of the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confront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umanitarian assistance should also include health sector assistance as well as food aid to North Korea.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continuation of nutritional surveys of UN agencies in North Korea and for this, at least,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finance the budget for UN nutritional surveys in North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impact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crisis more scientifically and design a future possible response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North Korean people from the humanitarian crisis. 2000년, 동 연구와 유사한 주제와 목적 하에 박순영이 북한 경제난의 인구학적 영향력 분석을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당시 북한의 영양실태 조사 자료가 미흡하여 영양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영양결핍으로 인한 생리학적 변화’를 소개하는 일반적인 논의에 그쳤다. 조동호, 장남수의 연구 역시 인구학적 변화가 노동 생산성과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나 이 역시 북한 식량난 실태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99년에 실시된 연구로 불충분한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98년부터 2~3년 주기로 2008년까지 실시된 북한의 영양실태 조사 자료와 박순영의 영양결핍과 그것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이론적 개괄을 생애주기 접근법을 기반으로 새롭게 접목함으로써 2013년 현재 북한의 인구학적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93년부터 시작된 북한의 경제난은 인구학적 관점에서 북한에 유의미한 양적·질적 변화를 초래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부정적인 인구학적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처는 경제재건을 모색하고 있는 북한 지도부가 간과해서는 안 될 사항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남한 정부가 북한 경제난의 부정적 영향을 고려할 때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선택적 지원을 재개하여야 하며, 이러한 대북지원은 식량지원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지원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대북지원이 불가능하더라도 국제기구가 지속적으로 북한에 대한 영양실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기구에 대한 남한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해 최소한 북한 주민들의 영양실태를 파악하는 노력만이라도 지속되어야함을 제언하고 있다.

      • KCI등재

        두 편의 구술 채록본과 기억의 재현 - 연극인 이병복을 중심으로

        문경연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9

        본고는 한국연극사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고 새로운 사료를 생산하기 위해 구술사를 활용하는 일종의 탐색적 작업에 해당한다. 연극인 이병복이 남긴 두 편의 구술채록본을 통해 공식적인 한국연극사 연구에서 누락 혹은 배제된 이병복의 연극 활동을, 그의 생애사 구술과 기억 재현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두 편의 구술채록본은 1960년대 이후 40여 년에 걸친 극단 자유의 공연 활동뿐만 아니라 이병복의 무대미술이 지향하는 가치와 다양한 소도구·무대의상 등 무대미술을 제작하는 방식, 무대의 창작 원리 등 구술자의 오랜 창작 고민과 활동들까지 기록하고 있다. 필자는 이 구술채록본을 통해 스스로를 ‘뒷광대’라 칭했던 예술가 이병복의 삶이 ‘역사적 사실’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이병복의 생애사 구술은 실증적 역사가 문자화하지 못한 것들, 구술자가 관여했던 연극계와 예술공동체의 문화적 역동성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것들은 기존 문헌 자료의 보충적 자료가 될 것이다. 또 이러한 구술사 연구가 의미있는 것은 그것이 역사적 사실의 확증을 돕는 것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무대예술가인 구술자가 당대 문화 생산과 향유의 주체였음을 전면화하는 ‘서사적 진실’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