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 연구

        두민영,우버들,신창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of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 teachers as admission officers. Whereas professional admission officers deal with a variety of admission activities in universities,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admission dut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admission dut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ettings. In order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actor analysis was completed for the survey results of 191 teachers who tea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Korea. For evaluating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 the responses from those who had high experiences in admission duties and the average teacher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14 competencies in three competency areas.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include responsibilities for admission officers, ethics for evaluators, communication skills, teamwork, understandings of admissions process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s, increasing interrater reliability, interview skills, simultaneous evaluation of interviewees, quantification of evaluation results, synthesis of evaluation results, and decision making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래인재전형은 특성화고의 특별전형 중 하나로, 교과 성적과 상관없이 취업 및 창업의지,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2016년 서울시 소재 특성화고에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특성화고 교사 19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고경력자와 일반 경력자의 응답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나타난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의 핵심역량은 3개 역량군, 14개 역량으로 나타났다 : 1) 공통 역량군은 입학담당자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량으로 ①입학전형 담당자로서의 책임감, ②평가자로서의 윤리성, ③의사소통 역량, ④팀워크 역량을 포함한다. 2) 기획 역량군은 미래인재전형 선발에 적합한 모든 전략과 세부 계획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⑤특성화고 입학전형에 대한 이해력, ⑥인재상에 따른 평가 준거 및 요소 추출 역량, ⑦면접 문항 개발 역량, ⑧평가 기준 개발 및 지침 이해 역량, ⑨평가자간 신뢰도 제고 역량 등이다. 3) 실행 역량군은 성공적인 미래 인재 선발에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으로 ⑩면접 진행 역량, ⑪면접 답변에 대한 실시간 평가 역량, ⑫평가결과를 객관화, 수치화하는 역력, ⑬평가결과에 대한 통합적 해석 역량, ⑭평가 결과에 대한 의사결정 역량이 포함된다.

      • KCI등재

        신인 보험설계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두민영,허희옥 한국기업교육학회 201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ining needs of new insurance agents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of insurance agents. Many insurance agents start insurance sales career in around mid-40 years old with career-break. For this reason,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enhance the insurance agents’ competencies and productivity in insurance companies. Sixty one new insurance agents participated in one set of surveys developed using the competency model for insurance agents with a week interval; one inquired the current practice level of behavior indices and the other surveyed the importance of each behavior index. As a result, goal orientation was ranked the highest needs for training while customer orientation to the lowest level in general. However, different training needs of the new insurance agents were analyzed by age and career-break period. According to their age, new insurance agents who are under the age mid-40 indicate the training need for sales-force attitude, and self-discipline and management, and the power of execution for insurance sales. By contrast, it is necessary to train sales-force attitude and goal orientation strategies to those who are over mid-40 year. In addition, while those who experience career-break under 1 year indicate the training need for sales-force attitude and goal orientation, those who have long career-break for longer than 1 year ask for goal orientation, consulting skills, and self-discipline and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new insurance agents according to their age and career-break period. 본 연구는 신인 보험설계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61명의 신인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보험설계사 역량 및 행동지표에 대한 현재 실행수준과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분석 모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이용하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험설계사에게 필요한 역량 중에서 목표 지향성과 관련된 행동지표가 가장 높은 교육요구도를 나타냈으며,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은 역량은 고객 지향성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험설계사의 연령별, 경력단절 기간별 비교 분석에서는 집단별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별 분석에서 40대 중반 이전의 경우, 영업 마인드, 자기계발 및 관리, 활동 실행력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고, 40대 중반 이후의 신인 설계사들은 영업 마인드와 목표 지향 마인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한편, 경력단절 기간별 분석에서 12개월 이하의 경력단절 기간을 가지고 있는 신인 설계사들은 영업 마인드와 목표 지향 마인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13개월 이상인 설계사들은 목표 지향 마인드, 고객 컨설팅, 자기계발 및 관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인 보험설계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장년층의 업무수행용 스마트 기기 수용 및 활용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두민영,허희옥 한국기업교육학회 201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of middle-age workers’ usage of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 and to propose the ways of increasing its adop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5 middle-age insurance agen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asur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conditions for using smart device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normative influence, and the current use of smart devices on the usages of smart devises for business purpose.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s that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current use of smart device would explain about 60% of the intention of using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 Also, it explain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n the usage of smart devices of middle-age insurance agents. The interviews with six insurance agents who are proficient in using smart devices demonstrated that the reasons for using smart devices include its portability, the ease of responding to customers’ unexpected inquiries, the differentiating function of smart device from previous sales tools. Interestingly, the adoption of smart devices of middle-age insurance agents was influenced by their customers’ preference of using smart devices. The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customers’ ages. Finally, providing education about the usage of smart devices for the middle-age workers, developing a performance support system via smart devices, and selecting advanced devic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usage of smart devices for business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 보험설계사들의 업무 수행을 위한 스마트 기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스마트 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중장년층 보험설계사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제반사항, 기술수용 모델에 따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준거집단 순응성이 스마트 기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 효능감,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현재 스마트 기기의 사용 빈도가 스마트 기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약 60%였다. 이 중에서도 지각된 유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스마트 기기를 잘 활용하고 있는 보험설계사 6명을 심층 면담한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이유는 휴대의 편리성, 정보 검색 및 제공의 즉각성, 기존 매체와의 차별화된 속성 등이었으며, 이는 스마트 기기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과도 연계된다. 또한 보험설계사들의 스마트 기기 활용 정도는 이들이 만나는 고객들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객의 연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중장년층 업무용 스마트 기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의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사용자 대상 교육 실시, 스마트 기기용 수행지원 시스템 개발, 최신 기기의 선택과 도입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조직몰입 수준에 따른여성관리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두민영,김정원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of female managers in Korea.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managers, this study analyzed the 5th Korean Women Manager Panel Data that includes responses of 1,807 female managers from 248 companies in Korea. The participants (N = 1627) were classified by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using the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 The results revealed 5 types of female managers: 1) exemplary female managers, 2) female managers in trouble, 3) burnt-out female managers, 4) organization-adaptive female managers, and 5) female managers with high-loyalty. In addition, the five typ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ar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place,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self-evaluation, and career development. The exemplary female managers, who had the highest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not only maintained a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but also also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n each variable. By contrast, the female managers in trouble, who had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demonstrated a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intention. Thu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mentor programs for female managers and to cultivate a female-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몰입 수준에 따라 여성관리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여성관리자의 양성과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48개 기업의 여성관리자 1807명으로, 2015년 제 5차 ‘여성관리자 패널(Korean Women Manager Panel)’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조직몰입 수준에 따라 K-means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관리자는 다음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1) 모범형, 2) 위기형, 3) 번아웃형, 4) 조직순응형, 5) 충성형 여성관리자 유형이다. 여성관리자 유형별로 조직유효성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비교한 결과, 조직몰입 수준에 따라 5가지 유형의 여성관리자들은 조직유효성 요인인 직무만족도, 근무시간 및 연봉, 이직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요인인 자신에 대한 평가, 직무 스트레스, 멘토링 효과, 경력개발 태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범형 여성관리자는 직무만족도, 연봉 및 근무시간, 상사, 동료와의 관계, 자신에 대한 평가, 경력개발, 멘토링 등 모든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조직몰입 정도가 가장 낮은 위기형 여성관리자는 전반에 걸쳐 다른 유형에 비해 측정한 모든 변수에서 낮은 수준을 나타내어, 개인적, 조직유효성 요인을 고려한 조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유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여성관리자의 양성 및 지원을 위하여 여성관리자의 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멘토링 제도 강화 및 활성화, 그리고 여성 친화적 조직 문화 확산 등의 기업의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인사공정성, 직무스트레스, 조직문화 합리성의 구조적 관계 연구

        두민영,신창호,김정원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R fairness, work stress,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ger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0 female managers who completed the biannual survey ‘Female managers panel’ in 2015 and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perceived HR fairness affected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however, it negatively influenced work stress of female managers. Second, HR fairness indirectly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work stress and ra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also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 work stress of female managers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HR fairness,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stres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agers. As f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developing female-friendly HR policies and building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are important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agers. Al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training courses and support programs for relieving work stress of female managers given their multiple roles and responsi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에 초점을 맞추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인사공정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문화의 합리성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련 변인 간의 관계 검증을 통해 조직문화의 합리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인사공정성과 조직몰입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5년 여성관리자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업에 근무하는 여성관리자 2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상관관계와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인사공정성은 조직문화의 합리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의 합리성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직문화의 합리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인사공정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가 기업의 조직 관리 측면에서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인사 제도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며, 또한 합리적인 조직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여성관리자의 다중 역할과 책임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여성관리자 지원 제도 및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가 학습자의 중도 탈락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L 기업 사이버 아카데미의 인터넷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두민영,김영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2

        최근 웹 기반 교육이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으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본격적인 사이버 학습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웹 기반 학습을 운영하는데 있어 나타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웹 기반 학습자의 극히 낮은 수료율이다. 중도탈락율의 문제는 학습자의 동기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웹 기반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동기를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가가 관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의 여러가지 요인 중 수업에 대한 관련성(relevance)이 성인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Keller 의 ARCS 동기 모형에 근거하여 수업에 대한 관련성을 향상시키는 피드백 메시지를 개발,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L기업 자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훈련 프로그램 중 비지니스 회계I의 수강자 중 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에 대한 관련성을 향상시키는 피드백 메시지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에는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를, 통제집단에는 비관련성 메시지를 제공하였다. 학습 기간 종료 후, 두 집단의 중도 탈락율, 수업 참여도, 그리고 학업 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 메시지는 중도 탈락율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참여도 측면에서도 수업에 대한 관련성 향상메시지가 학습자의 총 학습 시간을 증대시켜, 학습자의 수업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동기와 관련된 Keller 의 ARCS 이론에서 "관련성"만을 다루었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른 동기 요인인 주의집중, 자신감 및 만족감을 변인으로 하는 실험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levance-enhanced messages on learning in Web-based training (WBT). The effects were examined in terms of dropout rate,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y-two adult learners enrolled in a WBT cours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and each group received two types of messages by group via e-mail. After the course, the dropout rate, the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relevance-enhanced messages play a leading role in decreasing the attrition rate. Also, in terms of the learning time (how much participants logged on to learn), the relevance-enhanced messages prompted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WBT course. Contrary to prediction of the study, the relevance-enhanced messages did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is result can be attributed to a factor beyond the control. A policy of the WBT course stated that the condition of tuition exemption was earning more than sixty percent of a perfect score. That is, if learners earned less than sixty percent of a perfect score of 100, they had to reimburse their tuition themselves. Indeed, in the last two days there was a sudden surge of scores among participants regardless of group. Therefore, the unpredicted result on academic achievement could be attributed to bias from the reimbursement policy. Through the present study, enhancing the sense of relevance proved to be critical to succeeding in WBT courses. However, the effect of relevance-enhanced messages on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examined by controlling extraneous variables in future research. In addition, a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effects of customized relevance-enhanced messages by individual motivation level need to be investigated.

      • 보험설계사의 고객 컨설팅 스킬 향상을 위한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적용

        두민영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험설계사의 고객 컨설팅 스킬 향상을 위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인터랙티브 드라마(Interactive Drama)를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다. 인터랙티브 드라마는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때,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인터랙티브 드라마는 복잡한 의사결정, 조직내의 문제해결, 리더십 등 경영학 과목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직에서 필요한 대인관계 및 관리 능력 향상, 영업 스킬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드라마 기법이 영업 난이도가 높은 보험설계사의 고객 컨설팅 교육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 중장년층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고객 컨설팅 스킬 향상을 위해 인터랙티브 드라마 기법을 적용하였다. 인터랙티브 드라마는 기존의 역할극을 발전시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실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학습 전이에 효과적이 라는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학습 전이와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인터랙티브 드라마는 보험설계사들의 고객 컨설팅 교육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특성화고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두민영 ( Doo Min Young ),신창호 ( Shin Chang 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의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의 역량 증진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육요구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능력주의 사회 구현 및 산업 맞춤형 청년층 인력 양성이라는 설립 취지를 살리기 위한 특성화고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효과적인 학생 선발이다. 서울시에서는 2016년부터 중학교 내신 성적을 제외하고, 소질과 적성을 기반으로 지원자를 선발하는 미래인재전형을 도입하였고, 향후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입학전형을 담당하는 특성화고 교사들의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특성화고 입학전형 담당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입학전형 담당교사들의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은 ‘면접문항 개발’ 이었으며, 그 다음 순위는 ‘평가기준 개발 및 지침 이해’이다. 둘째,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은 역량은 ‘평가결과에 대한 의사결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입학 경쟁률에 따른 미래인재전형 담당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학교별 입학 지원자 수 및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 담당교사들에게 필요한 업무와 난이도가 다르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특성화고 입학전형 담당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입학 경쟁률 등 학교 특성에 맞게 연수 내용을 차별화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ining needs of teachers who serve on admission committe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Since 2016, special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have offered special admission programs to students who have specific career plans or entrepreneurship or to those who have special aptitudes or abilities in industries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In order to make appropriate admission decisions in special admission programs, teachers who serve admission committee should have competency in admission officer duties. In this study, training needs of teachers as admission offic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s are analyzed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consisting of a total of 14 competencies.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indicated that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s’ and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ranked the highest needs for training while ‘decision making skills for admission’ appeared to be the lowest level in general. In addition, training needs of teachers who perform admission officer duties were analyzed by the level competition of admission. As a result,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and 'qua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valuation results' ranked the highest needs for training in high competition schools. However, the only one competency 'generating interview question' appeared to be effective to the low competition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those who serve admission committee reflecting their different training needs.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두민영(Doo, Minyoung),권회림(Kwon, Hoilym),문은경(Moon, Eunk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외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발간된 국내외 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논문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50개의 개별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실재감은 사회적,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실재감을 분류하 였고 학업 성과는 인지적, 정의적, 메타인지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실재감은 학업 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효과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재감하위영역에서는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사회적 실재감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 성과별 실재감 하위영역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 및 메타인지적 영역의 효과크기는 큰 편이었으나, 인지적 영역의 효과 크기는 중간 정도였으며, 학업 성과 영역별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국내 연구물이 해외 연구물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보고 형식으로 학습결과를 측정는 방법이 객관적인 수치를 통한 측정방법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reviewing 47 studies with 150 effect siz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16, we performed meta-analys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f presence. In this study, presence has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social, cognitive, emotive, and teaching presence. Learning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3 areas : cognitive, affective and meta-cognitive domains.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s for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of presence subcategories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large from cognitive, teaching, emotive and social presence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categorie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different learning performance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affective and meta-cognitive learning domains were statistically larger than its effects on cognitive domain. Last, the research findings on moderating variables explained that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yielded larger effect sizes than thos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lso, in terms of measur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research measured learning performance using self-reported survey demonstrated large effect sizes than using test score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