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穡의 經學觀과 그 志向

        도현철 진단학회 2006 진단학보 Vol.- No.102

        Lee Saek’s Classical text Studies and its Orientation 고려후기 성리학을 수용한 이색의 유학사상을 분석하여 사상사적 의미를 찾아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당시 원은 송대의 여러 학문 가운데 程子, 朱子로 이어지는 程朱學을 正統으로 삼고, 주자가 주석한 四書五經을 텍스트로 채택하였다. 이색은 이러한 원 성리학을 받아들였다.이색은 주자의 견해가 담긴 四書集註를 중시하였다. 사서집주는 주자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매달렸던 책으로 주자학의 정수가 담겨있는 핵심 저작이다. 이색은 大學, 孟子와 論語, 中庸을 통하여 유교 본래의 문제의식인 修己治人에 충실하였다. 人道, 天道, 天性에 대한 性理學的 世界觀을 견지하면서, 사물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이치를 탐구하여 修身, 齊家治國平天下를 실현하고자 하였다.이색은 주자의 주석이 담긴 五經을 충실히 따랐다. 이색은 常數에 치우친 邵康節보다 義理와 天命 그리고 윤리 도덕을 근본으로 하는 程子의 주역을 받아들였고, 시경을 성리학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입각해서 義理를 탐구하거나 性情 陶冶의 수단으로 삼았다. 또한 그는 蔡沈의 書經 주를 받아들였고, 春秋史觀과 주자의 綱目的 역사인식에 근거하여 중국과 고려의 역사를 이해하였다.이색 성리학의 특징은 修身 중시의 君子學과 狀況을 중시하는 經學이다. 이색은 성리학의 인간론에 기초하여 성인을 목표로 하는 聖學을 제시하고 敬과 같은 수양방법을 제시하였다. 유학자로서 이상적 인간형을 상정하고 修己, 修養을 거쳐 이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군자의 출처관에 따라 유교의 道가 실현될 수 있다면 朝廷에 남아서 뜻을 행하고, 道가 실현될 수 없다면 물러나야 한다고 하였다.이때 이색의 군자학은 도덕적, 인격적 자기 완성을 위한 끊임없는 자기 수련 과정을 중시하고, 스스로를 腐儒小人이라 표현하고 자기 비하, 자기 부정이 제시된다. 이러한 向內的 군자관은 수양의 기준으로 군자와 소인을 구분하는 것으로, 군자와 소인을 정치세력간의 대립으로 2분화하여 권력싸움을 야기시키는 것과 구분된다.이색은 주자학에 기초한 예적 질서를 지향하였지만 불교와 도교와 같은 異端異說을 철저히 배격하지 않았고, 현실에 뿌리 박혀 있는 불교나 민간신앙 등의 禮制를 용인하였다. 그는 朱子家禮에 입각한 예제를 적극 권장하면서 상황에 따른 禮制의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이색은 經(보편 타당한 영원한 지극한 道)과 함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변용된 義理인 權道로 존중하였다. 鄭道傳이 禑王과 昌王은 辛旽의 아들이라는 것에 대하여, 이색은 당시 고려의 위기한 상황을 볼 때 신돈의 아들을 왕으로 세우는 것에 대하여 다른 이론을 제기할 수 없었다고 하였다. 形勢에 따라서 일을 처리할 수밖에 없다는 상황 중시의 논리를 제시한 것이다.이색은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정확하게 이해하면서도 상황을 중시하는 예론과 經과 權을 조화시키는 혼합주의적이고 절충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는 고려의 사상과 질서를 옹호하려는 현실적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西厓 柳成龍에 대한 一 視線 - 17세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의 경우

        도현철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16세기 조선사회를 이끌었던 정치 지도자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생애와 17세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기술된 조선시대인의 시선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올바른 모습을 밝혀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류성룡은 1590년 5월 우의정을 시작으로 7년 10개월 간 재상을 맡아 조선을 이끌어 갔다. 현대 한국 역사학계에서 류성룡은 누란의 위기에서 나라를 구한 명재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17세기 기록인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실려 있는 서애의 졸기에는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조실록』은 광해군 정권 때 북인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고, 『선조수정실록』은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입장이 반영된 사서로, 동인인 류성룡을 긍정적으로 보기 어려웠던 것이다. 두 기록은 부정적인 평가의 근거로 기축옥사와 임진년과 경진년 사이의 주화오국 그리고 재상으로서의 풍모 등 3가지를 들고 있다. 이 가운데 주자학의 재상론에 비추어 재상 류성룡을 평가해 볼 만하다고 보여 진다. 주자의 재상론은 君主聖學論과 재상정치론으로 요약된다. 주자는 천하의 일을 도모하는 최종결정권이 황제에게 달려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군주의 專制정치, 독단정치를 비판하였다. 군주는 剛明公正한 인물을 재상으로 선택하고 그와 더불어 정사를 의논해야 한다고 하였다. 君主 一人에 의한 정치 운영보다는 대다수 臣僚들의 公論을 집약하고 국정에 반영한 재상정치론을 주장하였다. 주자의 재상론을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재상 류성룡은 비판받을 소지가 있었 다. 조선 사신(황윤길, 김성일)의 엇갈린 견해에 대하여 동인의 입장이 아닌 서인 측의 일본 침략 가능성을 예지하지 못한 점, 기축옥사로 동인이 수세에 몰리는 상황에서 시시비비에 대한 명확한 판단으로 조정의 의론을 바로잡지 못한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붕당의 대립 속에서 재상으로서 국가적 위기에 적극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서애 류성룡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과 평가는 녹녹치 않다. 이를 조선후기 당 쟁의 결과로서만 설명하는 것 또한 불충분하다. 류성룡의 진면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16세기 당대의 사회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함께, 17, 18, 19세기에 이루어진 류성룡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life of Seo’ae Ryu Seong-ryong(1542-1607), a political leader who led the Joseon society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and 『Revised version of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of the 17th century, in order to obtain a proper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n. Ryu Seong-ryong was appointed to the seat of Wu’eui’jeong in May 1590, and led the government ever since for total of 7 years 10 months. Today he is considered as a wise minister who saved the country from its predicaments. But in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and 『Revised version of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he is portrayed rather negatively. The former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Northerners who led the Gwang’had-gun regime, and the latter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Western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government since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Both texts were mirroring the views of people who could not possibly depict him a wholeheartedly positive manner. These texts cited the purge of the Gi’chuk year, the political incident that took place between the Imjin and Gyeongjin years, and also his actions as a minister, as reasons for their negative description of Ryu Seong-ryong. Ryu Seong-ryong as a minister should be evaluated by Ju Hi’s own arguments regarding the role of the ministers. Ju Hi argued that the king must engage in studies of the past sages(“Gunju Seong’hak-ron, 君主聖學論”) and that the ministers should be placed in charge of governing. Ju Hi acknowledged the fact that the ultimate decisions concerning the governance of the state should be left to the emperor, but was also highly critical of the emperors’ despotic and arbitrary ruling of the country. He argued that the emperor must choose an impartial and fair individual, and then name him as a minister and also as a partner to discuss the issue of governing with. He argued that instead of leaving the emperor alone to rule the country, many officials should be consulted instead. In the light of Ju Hi’s argument on the role of ministers, Ryu Seong- ryong as a minister indeed left some things to be supposedly desired. In facing contradictory reports from official envoys who just returned from Japan(who were Hwang Yun-gil and Kim Seong-il), he failed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Westerners who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an invasion from Japan, and later he also failed to properly manage the clashing opinions inside the government during the Gichuk-year purge which cornered the Easterners. In other words, in the wake of conflicts waged among political parties, he was incapable of actively addressing the dynastic crises. Evaluation of Seo’ae Ryu Seong-ryong has not been that positive. Yet trying to explain it away as a mere result of party conflicts of those days would not be fair either. In order to evaluate his life more appropriately, we need to be able to analyze the 16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also the evaluations made of Ryu Seong-ryong during the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 KCI등재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도현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한국문화 Vol.49 No.-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situations of King Gongmin-wang’s second year in reign, and Yi Saek's own ideas on how to deal with such situations. They are examined through the recently found articles that were drafted by Yi Saek. Those two articles were his own response to questions, which were given to him during a national examination session. In one question, the ethical messages of the Four Classic Scriptures『Seo/書』, 『Shi/詩』,『Yeok/易』 and『Chunchu/春秋』, as referred to in the classic scripture 『Yae’gi/禮記』, are first mentioned. Then it is followed by an argument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ethical messages themselves. Yet it is also mentioned that there could be mishaps in applying them to real life conditions, and because of that they should be carefully applied. The ultimate question is, what would be the sources for such mishaps. In response to such question, Yi Saek argued that the Six Classic Scriptures(六經) were the principles of the era and a model for all kings, yet people's practice of the teachings of Four Classic Scriptures were bound to differ and vary, and in cases even produce unfortunate results, because of ‘four’ kind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own level of character building(心性修養), their own academic achievements, their own earlier habits, and their own predetermined mentality. So, Yi Saek argued that only through protocols/禮 and music/樂, two concepts of teaching(out of the Six Classic Scriptures) based upon order and harmony, the rightful nature of things would be understood, amicable human relationship be established, and customs be regulated in the right direction. He also argued that all things are destined to be decided by the king, so the king should learn the way of things(道學), enrich the custom, and change the people’s habits. Another question was about how to defend the country from the Japanese pirate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ral kings’ way and the dictators’ way are asked, and the story of Sun/舜’s dancing which led to the surrender of Yu’myo/有苗 is told. Then it is ultimately asked, what would be the plan to deflect the pirates menacing the borders, and then stabilize the country. Yi Saek responded to that, by citing examples in which the Chinese emperors conquered barbaric tribes with nothing but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and then he suggested ideas for winning wars without even mobilizing the army. In details he suggested that wise and talented people be recruited as commanders, garrison farms be installed to provide for food, circuit monitors(按廉) be ordered to check the performance of local prefects(守領), signalling posts(烽燧) be checked for readiness, and coastline(濱海) Gun/郡 units stand their ground and double their patrol. He argued that by doing so the Japanese pirates would not be able to harass or invade the country again. Yi Saek embraced Neo-Confucianism and tried to consolidate a ruling order based upon it, so he commented upon the meaning of the Six Classic Scriptures(六經) in his response(對策文) to the question that was given to him in the national examination. And he also suggested Confucian enlightenment, to facilitate the country’s defense against the Japanese pirates.

      • KCI등재
      • KCI등재

        고려후기 대책문의 종류와 성격

        도현철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3 No.-

        This paper aims to synthesize Answer Sheet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o examine its character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Goryeo Dynasty. The answer sheet is one of the forms of test paper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y ask questions about current issues at that time and ask for ways to respond. There are seven existing Answer Sheets including those of Yi Gok and Yi Saek and Jeong Mong-ju for the Ministry of Rites Examination and those of Yi Gok and An Chuk for the Yuan Dynasty’s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ose of Yi Gok and Yi Saek for the Examination of Country Magistrates of the Zhengdong Province征東行省. The Yuan Dynasty’s Answer Sheets clearly show that the circle is oriented toward the East Asian order, centered on China through the spread of Confucian culture, presuming that the content of the Six Classics六經, which contains the Confucian sense of issue, and the doctrine of the Confucian doctrine. In response to this content of the Yuan Dynasty, Answer Sheets of the Goryeo Dynasty sought Confucian Civilization by grasping the meaning of Six Classics, a Confucian scripture, presenting Confucian external defense and enlightening foreign ethnic group. Therefore, Answer Sheets of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Dynasty demonstrate that they recognize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Confucianism and they even examined its applicability to reality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bout issues of the time, and it provides the basis for opening a Confucian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이 논문은 고려후기 대책문을 종합하여 그 성격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당대의 현안 문제를 질문하고 대응 방법을 구하는 과거 시험의 답안의 하나인 대책문은 고려 예부시의 이곡과 이색, 정몽주, 원의 제과의 이곡과 안축 그리고 정동행성 향시의 이곡과 이색의 글 등 7종이 남아 있다. 원의 대책문은 유교의 문제의식이 담긴 육경(六經)과 유교의 교화론을 전제함으로써 원이 유교 문화의 확산을 통하여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려의 대책문은 원나라의 이러한 정책에 부응하여, 유교 경전인 육경(六經)의 의미를 파악하고 유교식 외적 방어와 이민족의 교화를 제시함으로써 유교적 문명화를 도모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고려후기 대책문은 당대 현안 문제인 질문과 답변을 통해 유학 본래의 의미를 인식하고, 현실에 적용 가능한 지의 여부를 타진함으로써 조선 유교 사회를 여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