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도재우,어정인,나용재,김수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and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COVID-19 are promoting th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called Edutech. Learning analytics is one of the edutech that is increasing in need and importance for its use in the field of education. Learning analytics, which collects and analyzes learning data produced by students and provides personalized feedback, is drawing an attention as a way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 emphasis on the use of learning analytics, it is hard to find studies that deal with the actual use of learning analytics in educational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experiences of using dashboard based on learning analytics to explore the utility and its utilization plan of learning analytics for customized education.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acher's feedback before and after using the dashboard and interviewing the teacher's experience using the dashboar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iated prescriptions through customized feedback and objective and clear feedback based on learning data were provided as a method of utilizing dashboards for customized education. Regarding the usefulness of using dashboard for customized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dashboard is useful for promot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behaviors in online learning, reducing teachers' work required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promoting learners' self-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and improving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not only suggest ways to utilize the learning analysis-based dashboard of teachers for customized education, but also suggest directions for the use of learning analytics in the field of education.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는 에듀테크라 불리는 교육에 기술이 접목된 교육서비스의 활용을 촉진하고 있다. 학습분석은 교육현장에서 그 활용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에듀테크 중 하나이다. 학생들이 생산해내는 학습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화된 교수학습을 처방하는 학습분석은 특히 맞춤형 교육의 실현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 학습분석 활용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습분석의 실제적 활용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대시보드 활용경험을 탐색하여 교육현장에서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의 활용방안과 유용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교사 10명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경험을 수집‧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채택한 이 연구는 대시보드 활용 전과 후의 교사 피드백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교사의 대시보드 활용 경험을 면담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맞춤형 교육을 위한 대시보드 활용방법으로 맞춤형 피드백을 통한 차별화된 처방 제공과 학습데이터에 기반한 객관적이고 명확한 피드백 제공이 확인되었다. 맞춤형 교육을 위한 대시보드 활용의 유용성에 대한 교사 인식으로 원격수업 상황에서 관찰이 어려운 학생의 학습행동에 대한 이해, 맞춤형 교육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의 업무 경감,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자기 이해 촉진 및 만족도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방안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학습분석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 탐색: 사례 분석을 통한 학습 지원, 심리․정서 지원, 사회성 지원 전략 탐색

        도재우,최선혜,박규리,김수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1

        코로나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장기적 활용과 등교일수 감소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격차 심화, 심리․정서 불안 심화, 사회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회복이라는 접근으로 학생들의 학습, 심리‧정서, 사회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회복의 필요성과 함께 원격수업 상황에서 교사가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온라인 교사 14명의 실시간 화상수업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을 학습 지원, 심리․정서 지원, 사회성 지원 전략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총 8개의 수업전략을 도출하였고, 각 전략은 실제 활용예시와 함께 소개하였다. 원격수업 활용의 장기화와 더불어 미래교육방법으로 원격수업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안하는 원격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은 원격수업을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실천적 교수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도재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universities have postponed opening of classes and decided to provide online courses instead of face-to-face course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Many professors are asked to convert their existing face-to-face courses to into online course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converting face-to-face courses to into online courses. In the process, professors are voicing the difficulty of converting courses. Despite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converting face-to-face course into online course, it is hard to find a study that explored course format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sign constraints that professors face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existing face-to-face courses to online. This study chose a case study as a methodolog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four professors who have experience converting face-to-face courses into online. Professor interviews and course materials were collected as data and analyzed using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study, the identified design constraints are 1) the necessity to redesign the course structure, 2) the nonconformity of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3) the low level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of professors and learners, 4) the limited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universities for online courses, and 5) the difficulty of designing out of class activities. Designing online courses is a much more complex design activity than simply adding new communication tool to existing face-to-face course. This study proposes the role of a university and a professor for a successful course format change.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등교수업 전략으로서 BYOD 활용을 위한 BYOD 연구동향 및 개념 탐색

        도재우,김수진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현장수업연구 Vol.2 No.1

        In the COVID-19, classes at school were made possible by preparing for quarantine and minimizing the densit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how to redesign and manage school classes, whil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upport the use of online classes. This study proposes BYOD(Bring Your Own Device) as one of th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that teachers can utilize for school classes in response to the prolonged COVID-19. BYOD can be used as a teaching strategy that enables the minimization of contact between students in the classroom by using digital devices owned by individuals rather than face-to-face contact.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expansion of available onlin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network environment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BYOD in Korean education sites. However, research on the use of BYOD in Korean education sites and related research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understanding on BYOD for the use of BYOD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for teaching school classes in the context of COVID-19. To achieve research goal,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overseas research and related materials. As a result, this study derives BYOD research trends, definition, strengths, limitations, and strategies for use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BY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not onl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BYOD by teachers and schools that want to use BYOD, but also to form a foundation for a plan to use BYOD. 코로나19 상황에서 등교수업은 방역 준비와 함께 밀집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운영되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원격수업 활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이뤄진 것에 비해 등교수업을 어떻게 재설계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대응하여 등교수업에서 교사가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전략 중 하나로 BYOD(Bring Your Own Device)를 제안한다. BYOD는 학습활동의 참여가 대면 접촉이 아닌 개인이 가진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이뤄진다는 측면에서 교실 내 학생 간 접촉을 최소화하는 수업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코로나19를 거치며 향상된 교사와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가능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확대, 학교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개선 등은 국내 교육현장에 BYOD 활용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교육현장의 BYOD 활용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등교수업을 위한 수업전략이자 변화되는 교육환경에 적합한 수업전략으로서 BYOD의 활용을 위한 BYOD 연구동향과 개념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BYOD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BYOD 활용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국외 연구와 관련자료를 수집·분석하여 BYOD 연구동향, 개념, 강점, 제한점, 활용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해당 연구결과가 BYOD를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와 학교의 BYOD에 대한 이해 증진은 물론이고 BYOD 활용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행동조절 촉진전략을 반영한 학습플래너가 자기조절학습기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도재우,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1 사고개발 Vol.7 No.2

        Most stud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 on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and/or usage of differently categorize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one of the most difficult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at learners acquire is behavioral regulated learn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effectively a learning planner developed with behavioral regulatory strategies affects an acquisition and use of college students' self- regulated learning skills. The subjects were 65 junior college students, in which 35 students use the learning planners and the other 30 students did not. The learning planner contain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ulled through analyzing existing learning planners, and specific behavioral regulatory strategies, such as behavioral control, help-seeking, and academic time-management, which were modified to effectively use the planner. During the 6-week study, they autonomously used the learning planners without monitor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ann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e behavioral regulatory skills greatly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learning planner can be effective learning tools to improve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행동조절 촉진전략을 반영한 학습플래너(learning planner)의 활용이 대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려는 데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의 연구는 그 구성요소의 범주별로 기능 습득이나 활용을 촉진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들 범주 중에서 자기조절학습기능의 습득과 활용이 가장 낮은 범주가 행동조절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험대상은 행동조절 촉진전략을 반영한 학습플래너를 활용하는 집단 35명과 이 플래너를 활용하지 않는 집단 30명이었다. 실험에 활용된 학습플래너는 기존 학습플래너 분석을 통해 도출된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습플래너에 적합하게 개발된 구체적인 행동조절 촉진전략(행동통제, 도움구하기, 시간관리)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실험은 6주 동안 진행되었고, 그 기간 동안 학습자들은 특별한 통제 없이 자율적으로 학습플래너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행동조절 촉진전략이 반영된 학습플래너의 활용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특히 행동조절기능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장차 행동조절기능의 습득과 활용촉진을 위한 학습플래너 개발 연구의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수업 개선을 위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도재우(Do, Jaewoo),김수진(Kim, Sujin),유미나(Yoo, Mi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교육현장은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수업 개선 방안으로 수업컨설팅, 교사 학습공동체, 수업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 활용되고 있다. 국내외 교육 연구자들이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인간의 활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이론으로 특히, 수업 활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이다. 국내 교육현장에서도 많은 교육연구자들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하여 수업을 개선해왔다. 본 연구 목적은 수업 개선을 위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한 기존 연구를 수집, 분석하여 수업 개선을 위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분석대상이 될 문헌은 PRISMA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그 결과 총 33개의 문헌이 수집되었다. 연구진은 수집된 문헌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수업 개선을 위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방안으로 ① 교수학습전략 적용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한 개선점 도출, ② 수업 실행 과정에 발생하는 모순 파악을 통한 수업 개선점 도출, ③ 학생의 학습활동 참여과정 분석을 통한 학습활동 재설계, ④ 수업도구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 마련, ⑤ 체계적 수업분석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 제안, ⑥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교사역량 함양 방안 마련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교사 또는 학교에게 수업 개선 목적에 따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The field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classes. As a way to improve classes, various methods such as class consul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class portfolio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Educational researchers are proposing the us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nother way to improve classes. CHAT is a theory tha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human activities, and is especially effective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lass activities. Many educational researchers in Korea have used CHAT for class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existing research using CHAT to improve classes and explore ways to use CHAT for class improvement. This study adapte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literature to be analyzed was selected using PRISMA guidelines. As a result, a total of 33 studi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ers identified six ways of improving classes by using CHAT: 1) identifying improvement points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2) improving classes by resolving the contradictions that arise in the teaching process, 3) redesigning learning activities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4) developing a strategy to use the class tools by understanding how to use class tools in the course context, 5) suggesting class analysis methods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and improve classes, 6) exploring ways to cultivate teacher competencies in a socio-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 to teachers and schools that CHAT should be used to help them improve classes.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주체별 요구분석

        도재우(Jaewoo Do),김민경(Minkyeong Kim),김형순(Hyungsoon Kim),김민정(Minjeong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4 교육발전 Vol.43 No.3

        건강장애학생 수의 지속적인 증가와 맞춤형 교육지원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장애학생 교육의 현안 해결 및 교육 변화에 대응한 건강장애학생 교육의 발전방안을 심층적・종합적으로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장애학생 교육과 관련된 주체(시・도교육청 담당자, 학교 교사, 위탁교육기관 교원, 건강장애학생, 건강장애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관련 요구를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학생 및 교사 지원, 신규 교육정책 도입에 대한 총 10개의 요구가 확인되었으며 각 요구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각 요구는 건강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발전과제와 이를 위한 주체별 역할 정립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need for customized educational support increases, interest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s increasing. This study explored deeply and comprehensively the development task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o solve current issues and response to educational changes. In specific, the needs of all subjects(public officials, teachers, teachers of consigned educational institutions, students, and parent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0 need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and evaluations, student and teacher support, and the new educational policies were identified, and we found that each need was closely related. Each need derived from this research explains the development task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role for each subjects.

      • KCI등재후보

        질적연구 수행에서 디지털 도구 활용방안 탐색

        도재우(Jaewoo Do)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43 No.1

        국내 교육분야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물을 살펴보면 교육현상을 탐구함에 있어 질적연구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질적연구의 활용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실제적인 질적연구 수행방법에 대한 교육 연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디지털 도구의 활용은 질적연구자의 연구수행을 지원하는 효율적・효과적 전략으로 부각 받고 있다. 다수의 국외 연구들은 질적연구 수행 전반에서 디지털 도구의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반면 국내 질적연구 현장은 디지털 도구 활용에 대한 논의와 준비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에서 디지털 도구 활용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질적연구자들이 연구 수행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연구 수행에서 디지털 도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데이터 수집과 관련하여 화상회의 플랫폼과 구글 문서의 활용, 연구데이터 정제 및 정리와 관련하여 인터뷰 전사를 위한 YouTube 자동자막 생성 기능과 비구조화된 텍스트 데이터 변환을 위한 의미연결망 분석의 활용, 연구데이터 분석 측면에서 ATLAS.ti를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다른 연구자들은 본 연구가 제안하는 활용방안을 참고하여 자신의 연구목적과 환경에 맞는 디지털 도구를 선택해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불어 교육연구에서 디지털 도구의 효과적인 활용을 확산하기 위해 국내 질적연구자들이 자신의 디지털 도구 활용 경험을 공유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in exploring educational phenomena is increasing in Korea. With these expanded uses, educational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how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The use of various digital tools has been highlighted as an efficient and effective strategy to support qualitative research. Many international studies suggest the use of various digital tools throughout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research sites in Korea lack discussion and preparation for the use of digital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gital tool utilization strategies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can utilize in conducting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of utilizing digital tools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researcher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Specifically, we present examples of using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and Google Docs for data collection, YouTube automatic subtitle generation for interview transcription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unstructured text data transformation, and ATLAS.ti for data analysis. Other researchers expect to be able to select and utilize digital tools that fit their research purposes and environment by referring to the utilization strategies proposed by this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that introduces other Korean qualitative researchers experience in using digital tools needs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spread the effective use of digital tools in the education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