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노인 생활공동체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유대관계의 조절 효과 : 전라북도 농촌 노인 생활공동체를 대상으로

        도유희,이상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2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8 No.1

        본 연구는 공동체들에서 구성원간 상호관계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노인 생활공동체의 성과와 공동체 유대관계의 관련성을 심층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전북지역 소재 74개 노인 생활공동체 및 이에 거주하는 노인 67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다수준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모형으로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노인 생활공동체들에 따라 거주 노인의 우울에 상당한 편차가 있으며, 공동식사, 집단 프로그램, 물리적 환경 등의 공동체 특성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조절효과 모델 분석결과에서는 집단 프로그램, 물리적 환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상호유대관계에 따라 유의하게 조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동체 특성들의 우울 영향이 동질적이지 않고 상호유대관계에 따라 상이함을 보여주는 바로, 노인 생활공동체의 효과가 공동체 유대관계에 의해 규정됨을 시사하여 주목된다. 이상 연구결과는 농촌 노인 생활공동체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동체내 노인들간 상호유대관계의 개선 및 향상에 각별한 정책적 관심과 실천적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기하여 준다 With the rapid aging of the rural area, community elderly co-housings are proliferated as a alternative elderly-care system for the vulnerable rural aged in Korea. However, previous evaluations of the effects va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es, and there has been little con census on the effect of the community elderly co-housing.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co-housing effect and the mutual ties of the resident members. In this study, we examine if the effect of the community co-housing programs on the depression would be different by the moderating role of the mutual ties. For the analysis, we use the multi-level data collected from 74 the rural community elderly co-housings and 670 resident elderly in Jeonbuk. A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s are applied. The results show that residents depression level are varied significantly among community co-housings. And also, results confirmed that communal meals, group programs, and environment affect significantl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From the result of the moderate effect analysis, we found that the effects of group programs and environments on depression are moderated by mutual ties of the resident members. This shows that the effects of community co-housing programs are not homogeneous, but varies by the mutual ties of resident member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implication that the mutual ties of the resident members are very important to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elderly co-housing. And, policy attentions and practice program as to improving the mutual ties are necessary to advance the performance of the rural community elderly co-housings.

      • KCI등재

        공감을 통한 내담자의 변화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도유희,송운용,김현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nge Experience ofClients Through EmpathyYouhee Do, Woonyoon Song, & Hyounji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ent's experience of change through empathy. There were 6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01 to June 20, 2022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fter deriv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clients by using the Dixit card, the client's experience of change was confirmed through empathy. As a result of studying empathy experiences of the clients, three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categories are ‘psychological difficulties projected on the Dixit card’, ‘coolness and reassurance after receiving empathy’, and ‘change and growth through empath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rough empathy, clients felt releasing negative emotions, and they looked at themselves objectively. it was suggested that the empathy is effective in resolv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Key Words: Empathy, Change, Experience, Dixit Card, Qualitative Case Study 공감을 통한 내담자의 변화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도 유 희*ㆍ송 운 용**ㆍ김 현 지***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공감을 통한 내담자의 변화 경험을 분석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연구참여자는 6명이며 심층 인터뷰 기법을 적용하여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딕싯 카드의 이미지 연상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심리적 어려움을 도출하고 공감받은 이후 내담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공감을 통한 내담자의 변화 경험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3개 범주, 6개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딕싯카드에 투영된 심리적 어려움’, ‘공감받은 후 시원함과 든든함’, ‘공감을 통한 변화 경험’이다. 연구결과, 공감을 통해 내담자들은 마음속에서 부정적인 감정이 방출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됨을 발견하였다. 향후, 내담자의 심리적 어려움 해소에는 공감이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핵심어: 공감, 변화, 경험, 딕싯 카드, 질적 사례 연구 □ 접수일: 2022년 9월 9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First Author, PhD, Jeonbuk National Univ., Email: manjoo722@hanmail.net)** 공동저자, 전북과학대학교 교수(Co-author, Professor, Jeonbuk Science College, Email: swy2001@hanmail.net)*** 교신저자, 전북과학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Jeonbuk Science College, Email: 2003child@hanmail.net)

      • KCI등재
      • KCI등재

        자산 수준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 효과-

        송운용,도유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level and elderly health. This The study used secondary data analysis method utilizing the resources Year Korea Welfare Panel Survey 9th 2014. The subject of this case study is to select the 65-year-old senior 4893 people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model. Results: First, wealth level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Second, the wealth levels on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family relationships satisfaction. Thir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On an asset to the health of the elderly effect it appeared to be mediated by a part of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t is, the assets of the old man appeared to affect the elderly health through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wealth levels in the elderly is split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on elderly health is to promote elderly health suggest the need for a policy established to promote the wealth levels and family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level and elderly health. 본 연구는 자산 수준과 노인건강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4년도 한국 복지패널 조사 9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65세인 노인을 케이스 선택하여 4,893명을 최종 분석모델에 포함 시켰다. 연구결과, 첫째, 자산 수준은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산 수준은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는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에 자산이 미치는 효과는 가족관계 만족도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자산은 가족관계 만족도를 경유 하여 노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산 수준이 노인건강에 가족관계 만족도와 간접효과와 직접 효과를 나누는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자산과 가족관계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건강 차이와 직무 만족 - 직무만족 요소들의 매개영향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상록,도유희,조은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1

        본 연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건강상태 차이가 비정규직의 미흡한 직무 여건에 근거한 것일 수 있음에 주목하여, 고용 형태에 따른 건강 격차와 직무 만족도의 관련성을 분석,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에는 한국노동패널조사 17차년도(2014년도) 개인용 및 가구용 데이터를 결합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에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간에는 신체 건강에의 유의미한 차이와 함께 비정규직일수록 제반 직무 여건들에 대한 직무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비정규직 근로는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직무만족 요소들의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건강 차이에는 직무만족 요인들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비정규직 근로의 부정적인 건강 영향이 만족스럽지 못한 직무여건(보수, 근로시간, 직장내 관계, 인사 공정성 등)에도 기초한 것임을 의미하는 바로, 고용형태간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해서는 비정규직의 직무만족도 향상과 관련한 직무여건 개선의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여 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context of the effects of contingent employment on the health,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factors. Using the ‘Korean Labor Income Panel Study Data: KLIPS(2014), we estimate health difference and job satisfactions between permanent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And then, we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factors in the negative health effects of contingent employment. Results of these analysis have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hysical health and work conditions between temporary workers and permanent workers. The results from the mediating effects analysis show that the negative health effect of the contingent employment would be connected to the vulnerable working conditions. Job satisfaction factors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health disparity between temporary workers and permanent worker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mporary work protective policies are required so as to reduce the health inequality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work in Korea. And, there should be required to alleviate negative recognition and stigma of contingent employment to the whole society.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직 갈등의 매개효과

        송운용,도유희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직갈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전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모델은 독립변수는 직무스트레스, 종속변수는 직무만족도, 매개변수는 조직 갈등으로 선정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 관계임이 규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직 갈등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조직 갈등이 높아지고 높아진 조직 갈등은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조직관리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력히 시사한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92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Jeollabuk-do. For the analysis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job stress, the dependent variable was job satisfaction, and the parameter was organizational conflict, an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by Baron and Kenny (1986).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 relationship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the higher organizational conflict acts as a factor lowering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erefore, it strongly suggests the need to prepare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 that can alleviat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nflict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 KCI등재

        농촌지역 생활공동체의 특성이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록(Sang-Rok Lee),도유희(You-Hee D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는 농촌지역 생활공동체 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공동체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주목한 연구이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전라북도 농촌 노인 생활공동체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서베이 자료이다(사례 수 670명). 구체적인 분석에는 공동체 특성 변수들은 독립변수,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 개인 특성은 통제변수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공동체 특성 중에서는 프로그램, 구성원간 상호지원, 물리적 공간 만족도, 지역공동체 의식, 구성원간 갈등, 가사노동 부담감 등이 생활공동체 거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주관적 건강, 월평균 소득, 혼인상태(사별) 등의 개인 특성 변수들 또한 유의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농촌 생활공동체의 특성들이 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주요한 영향 요인임을 보여주는 바로, 농촌 노인생활공동체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거주 노인들간 상호관계 향상, 프로그램들의 개발 및 실행, 물리적 공간의 개선 등 생활공동체 측면들에의 개선이 적극 필요함을 시사하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community in rural area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study were 670 elderly people living at the living communities in Jeollabuk-do.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applied us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Among community variables, programs, mutual support, pysical space satisfac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nflict , household labor burden are significant variables for life satisfaction.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health, monthly average income, marriage status(bereavement)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group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uch as policy implications that living community features such as interactions among seniors, program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are the important intervention point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s of the elderly living community in rural area.

      • KCI등재

        사회복지심부름센터 효과성 평가에 대한 다층분석 연구

        송운용(Woon-Yoon Song),도유희(You-Hee D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전라북도 사회복지심부름센터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용자의 개인특성 및 종사자 직무환경 특성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주목한 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전라북도 각 시·군 사회복지심부름센터 11개소의 이용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서베이 자료이다. 구체적인 분석에서는 이용자들의 개인특성은 1수준 독립변수, 종사자의 직무환경 특성은 2수준 독립변수, 이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다음 위계적 선형모형분석 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가구, 직무가치감, 직무스트레스, 역할과다, 급여만족도가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종사자의 직무환경특성이 서비스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사회복지심부름센터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가치감, 직무스트레스, 역할과다, 급여만족도 등의 종사자의 직무환경 측면들에의 개선이 적극 필요함을 시사하여 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Jeollabuk-do social welfare errand center,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effects of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ers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The data analyzed a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users and workers at 11 social welfare errand centers in each city and county in Jeollabuk-do. In the detailed analysis, the first-level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econd-level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workers job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satisfaction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n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model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sense of job value, job stress, role overload, and salary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rvice satisfaction of user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workers have a major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ervice user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for improvement in the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