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업무실행 유형 분류: 학교 및 개인요인 탐색 및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검증

        노언경 ( No¸ Unky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진로전담교사들의 업무실행 유형을 분류하고, 학교 및 교사 개인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과 함께 업무실행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차이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수집된 진로교육현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전담교사 업무실행 수준에 따라 저수준실행 집단, 중간수준 실행 집단, 고수준 실행 집단의 세 가지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둘째, 영향요인으로는 학교의 배경 변수들 중 학교 설립 유형, 학교 규모, 학교 소재지, 고등학교 유형이, 학교의 진로교육 환경 변수들 중 진로교육 연간 계획, 연구학교·시범학교·선도학교 여부, 진로전담교사와 담임교사와의 연계가, 진로전담교사의 개인 배경 변수들 중 성별, 연령, 교직경력, 진로전담교사의 부장교사 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은 진로전담교사가 고수준 실행 집단의 경우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전담교사 정책을 진단하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work performance of career teachers, to explore the factors of schools and teacher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s. To that end, latent profiles were analyzed using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data collected in 2019. As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ree latent profiles of low-level, medium-level and high-level performance group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ormance of career teachers. Second,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chool, the type of school establishment, the size of the school, the location of the school, and the type of high school were significant. Among the variables of the school's career education environment, the annual plan of career education, whether it is a research school, demonstration school, or leading school, the connection between career teachers and the homeroom teachers were significant. And among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career teachers, career experience and whether they were senior teach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level performance groups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agnosed whether the career-only teacher policy was being carried out properly and suggested alternatives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 · 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노언경(No, Unkyung),정송(Jung, Song),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 청소년의 비행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가족, 학교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1년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비행의 잠재 프로파일은 모두 4개로 각각 분류되었으며, 그 형태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음주 ? 폭행 ? 도박을 많이 하는 집단, 절도를 많이 하는 집단, 흡연 ? 음주를 많이 하는 집단, 비행을 거의 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중학생의 경우에는 모든 비행을 중간 수준으로 하는 집단, 대부분의 비행이 높은 수준이며 특히 무단결석을 많이 하는 집단, 음주 ? 음란물 관련 비행을 많이 하는 집단, 비행을 거의 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초등학생은 성별, 정서조절, 낙관주의, 학업유능감이, 중학생은 성별, 정서조절, 가족관계의 질, 부모정서지원, 학업유능감, 친구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대규모 자료로 아동 ? 청소년 집단이 어떤 유형의 비행 형태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 비행 유형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영향요인들을 검증하였으므로, 비행 예방과 적절한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delinquency patterns of children,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latent profiles. We used the surve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collected in 2011,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latent profi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e., drinking/violence/gambling group, theft group, smoking/drinking group, and low-level delinquency group) a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e., middle-level delinquency group, high delinquency and absence group, drinking/pornography group, and low-level delinquency grou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der, emotional regulation, optimism, and academic competenc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On the other ha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motional regulation,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parental emotional support, academic competence, and friend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appropriat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the future delinquency of adolesc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검증

        노언경(No, U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를 위해 수집한 대학생 1,000명 자료를 활용하여 9가지 생애학습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프로파일의 예측요인으로 성별, 학업성취, 지각된 경제수준, 가족 내 학습지지를, 결과요인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역량 수준에 따라 3가지 잠재프로파일(저역량, 중역량, 고역량)이 도출되었으며, 예측요인으로는 성별, 지각된 경제수준, 가족 내 학습지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잠재프로파일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차이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생애학습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s of the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can be called the cor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with the relevant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nine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using data collected by 1,000 university students for the Korea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II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distal outcomes and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erceived economic level, and family learning support were predictors of latent profiles. As a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low, middle, and high competencies) were derived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petency, and among the predictors, gender, perceived economic level, and family learning support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each latent profile were differ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showed similar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were presented,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의 변화 양상

        노언경(No, Unkyung),이현정(Lee, Hyunjung),이은수(Lee, Eunsoo),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청소년의 학교폭력은 행복한 학교생활을 저해하는 요소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으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6차 자료 중 292개 학교에 속한 중학생 3,627명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대해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multilevel growth model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탄력성, 교우관계,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성별, 자기통제력,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는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생예방교육, 교직원예방교육, 학교만족도, 교사인식,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경험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교수준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은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위계적 자료의 성장모형을 다변량으로 검증하였기에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자세한 논의와 정책적 함의는 아래에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trajectories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4th-6th wave, containing data from 3,627 middle school students. Multivariate multilevel latent growth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victimization and bullying in school decreased through middle school 1st grade to 3rd grade. Second, the student level, gender, resilienc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victimization and gender, self-control,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bullying. Third, at the school level, schoo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bullying. Finally, our interpretations of thes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서울시 고3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중·고등학교수준 영향요인 검증 :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노언경 ( No Unkyung ),임혜정 ( Lim Hyejung ),손수경 ( Son Soo Kyoung ),김수혜 ( Kim Suehye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을 개인 및 학교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을 동시에 고려한 교차분류무선효과모형(CCREM: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최종 성취도인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도에 대해 개인수준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 시기의 교우관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학생성취에 대한 기대 및 학교수준의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분위기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관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dividual and school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using data from 4th wave to 9th wave of the 4<sup>th</sup>-grade panel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SELS: 2010). In particular, we apply the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CCREM) into unpacking the black box of achievement gap from a detailed perspective of the input- Process-output model in which various factor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ecause the SELS 2010 cohort students were cross-classified by the middle school as well as by the high school, the CCREM approach properly accounts for the cross-classified data structure. Drawing on a methodological rigor of the CCREM, our study analyzes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Key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mathematics achievement of 12th grade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 what extent students have spent in private tutoring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lso,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SELS 2010. Meanwhile, those with a strong peer attach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are likely to show a low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erms of school effect, we find that teacher’s expectations and school climate seriously matter for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achievement gap in Seoul city.

      • KCI등재

        학교급 변화에 따른 사이버폭력 유형 특성과 종단적 전이 양상 및 예측요인

        노언경 ( No Unkyung )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사이버폭력 경험이 학교급이 변화함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기 조사에 응답한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두 시점에서 사이버폭력을 한 번이라도 경험했다고 응답한 학생들 463명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생의 사이버폭력 유형은 4가지(저수준, 가해위주, 피해위주, 가해/ 피해), 고등학생의 사이버폭력 유형은 2가지(저수준, 가해/ 피해)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 시기 네 가지 유형에 속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고등학교 시기에 저수준 유형으로 이동하였으나, 중학교 때 저수준이었던 일부 학생들이 고등학교 때 가해/ 피해 집단으로 이동하였다. 셋째, 저수준 집단에서 가해/ 피해 집단으로 이동하는 데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 친구관계, 현실세계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폭력 예방 및 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perceived as a socially serious issue, vary with changes in school levels. Data from middle school 2nd graders and high school 2nd grad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 survey were utilized. Among the students who reported experiencing cyberbullying at least once at both time points, totaling 463,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cyber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nifested in four types (low-level, perpetrator-focused, victim-focused, perpetrator/victim),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exhibited two types (low-level, perpetrator/victim). Secondly, while the majority of students in the four types during middle school transitioned to the low-level type during high school, some students who were low-level in middle school shifted to the perpetrator/victim group in high school. Third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ition from low-level group to perpetrator/victim group included gender, peer relationships, offline bullying perpetration, and offline bullying victimization. Based on the major findings, implications for cyber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erived.

      • KCI등재

        중학생의 ICT 활용과 태도에 따른 유형별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의 차이

        노언경 ( No Unky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의 ICT 활용과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에 각각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국제 컴퓨터 정보 소양 연구(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에서 수집한 전국의 중학교 2학년 2,875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의 ICT 활용과 태도에 따라 ‘저수준 집단’(27.6%), ‘태도 고수준 집단’(35.1%), ‘활용 고수준 집단’(37.2%)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별 컴퓨터·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태도 고수준 집단’에서 컴퓨터 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의 평균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활용 고수준 집단’, ‘저수준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 연구는 대규모 자료 분석을 통해 학생들을 유형화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ICT 활용 및 태도 현황을 파악하고, ICT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컴퓨터·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실증분석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in ICT utilization and attitud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of each latent clas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2,875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wide collected in the 2018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2018).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low-level group (27.6%), the high-level attitude group (35.1%) and the high-level utilization group (37.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by latent profile, the average of computer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was the highest in the high-level attitude group, followed by the high-level utilization group and the low-level group.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method to improve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large-scale data analysis.

      • KCI등재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교폭력 집단 분류와 개인 및 학교요인 검증

        노언경 ( Unkyung No ),이은수 ( Eunsoo Lee ),이현정 ( Hyunjung Lee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잠재집단이 각 유형별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따라 어떻게 나눠지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에 개인과 학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2010)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5차 자료 중 학교폭력을 한번 이상 경험한 학생 2,195명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대해 다층 잠재프로파일 모형(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을 종류별, 수준별로 모두 고려하였을 때 가해피해 고수준집단(1.7%), 가해위주집단(2.1%), 피해위주집단(3.7%), 언어적 폭력경험집단(92.5%)의 4가지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학생수준에서 성별, 탄력성, 자기통제력, 친구관계, 부모자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학교수준에서 교사학생관계, 학교폭력 예방교육, 학교 내 성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 경험을 모두 포함하여 빈도별, 유형별로 집단을 한 번에 분류하여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였고, 다층자료임을 반영하여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의 영향요인을 동시에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school violence depending on bullying and victimized experience by type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For these research goal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5th wave, containing data from 2,195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s more than once. 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latent classes; high-level bullying and victimized group (1.7%), mainly bullying group(2.1%), mainly victimized group(3.7%), verbal bullying and victimized group(92.5%). Gender, resilience, selfcontrol, peer relationship, parental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at student lev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chool violence prevention, gender ratio of school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at school level.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extending theoretical discussions by classifying students into groups based on frequency and different form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student and school level simultaneously by dealing with multilevel data.

      • KCI등재

        ICILS 2018 상위 5개국의 컴퓨터·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 수준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도출 및 영향요인 비교

        김경희(Kyunghee Kim),노언경(Unkyung No),상경아(Kyong-Ah S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컴퓨터·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에 의해 구분된 학생들의 잠재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낮은 수준 학생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학교교육 맥락변수들을 탐색하여 학교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CILS 2018 상위 5개국(우리나라,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의 잠재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잠재 집단(하, 중, 상)이 도출되었고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하’ 집단 학생들이 많고 점수도 낮았다. 각국 공통으로 집단 구분에 유의한 변수는 ICT 일반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효능감으로 나타났고,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ICT를 많이 사용할수록 학생들의 능력이 낮아졌다. 학교 학습을 위해 ICT를 활용하거나 학교 수업에서 ICT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력을 보이는 국가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udent latent classes by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eir characteristic and to explor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ow-level students. To this end, the latent profiles of the top five ICILS 2018 countries (Korea, Denmark, Finland, France, and Germany) were analyzed. As a result, three latent groups (low-level group, middle-level group, and high-level group) were deriv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 had more students at the low-level group and their scores were lower. In all countries, the student s efficacy in ICT general application programs was significant in group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students used ICT for information exchange, the lower their ability was. In the case of using ICT for school learning or using ICT tools in school classes, there are some countries with negative influence.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구조

        홍세희(Sehee Hong),노언경(Unkyung No),정송(Song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자기보고식 검사에서 부정문항이 포함된 경우, 요인구조가 불명확해지는 결과가 초래되고, 많은 연구자들이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구조와 그에 대한 해석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다. 문항형태로 인한 방법효과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 포함된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검사의 긍정문항, 부정문항을 이용하여 다양한 요인구조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긍정, 부정문항에 따라 요인을 별도로 설정하는 것보다는 부정문항의 방법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요인구조를 평가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효과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오차 공분산을 설정하는 방법과 방법요인을 도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목적에 따라 어떤 방법이 적절한지 제안하였다. 또한, 방법효과가 있는 경우 신뢰도값인 Cronbach alpha는 과대추정값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적절하게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Psychological scales containing negatively-worded items produce, in many cases, misleading factor structures due to method effects. To demonstrate how negatively-worded items distort factor structure,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 structure of Rosenberg Self-Esteem Scale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ntrolling for method effects of negatively-worded items, factor structure can be more clearly defined. This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about when method factor can be introduced and when correlated uniquenesses can be specified to deal with the issue of method effects. Finally,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Cronbach alpha can be overestimated for a test containing method effect and proposes that factor rho coefficient should be used inst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