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사교육 시작 시점의 결정요인과 시작 시점이 이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검증: 혼합생존분석의 확장

        홍세희 ( Hong Sehee ),노언경 ( No Un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학 전 시기별 사교육을 시작할 가능성의 수준에 따라 하위집단을 구분하고 집단이 분류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각 집단이 입학 후 학업성취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자료 초1패널의 1-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생존혼합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결합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두 만 6세 때 사교육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각 집단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준에 따라 `낮은 사교육 집단`, `중간 사교육 집단`, `높은 사교육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집단을 분류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성별, 부모의 학력, 부모의 연령, 모의 근로여부, 부모의 삶의 만족도, 가구 연간소득, 부모와 거주여부, 다문화가정 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 후 학업성취는 높은 사교육 집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낮은 사교육 집단, 중간 사교육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입학 전 사교육 시기의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정책적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subgroups based on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o test determinants of the subgroups, and to examine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he subgroups in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s, we used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to analyze a combined model of survival mixture model and latent growth model. Results showed that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 onset of private education was high at the age of 6 years in all the groups but with different level for each group. The subgroups were defined based on the level: the low-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the intermediate-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and the high-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Gend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parental age, mother`s work, parent`s life satisfaction, annual household income, living with parents, and multicultural family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high-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followed by the low-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and the intermediate-level private education group.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onset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simultaneously in detail. Therefor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accurate diagnosis and appropriate policy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남자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변화형태에 대한 잠재계층 추정 및 비행형태와의 관련성 검증

        홍세희(Hong, Sehee),노언경(No, 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 변화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밝히는 동시에 각 잠재계층이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비행의 종류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의 5년 간 종단자료에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잠재계층은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의 변화형태에 따라 고수준유지집단, 급변화집단, 감소집단, 증가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생태체계적 변수 중에서 자기통제력, 가족폭력, 부모애착,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모든 잠재계층에서 비행 종류의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행 종류에 따른 가능성을 살펴보면, 모든 잠재계층에서 사이버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위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잠재계층 별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을 살펴보면, 급변화집단에 속한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반면, 증가집단에 속한 청소년들이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생 시기부터 다양한 배경 변수를 통해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의 변화형태에 따른 잠재계층과 비행을 예측하고 적절한 예방 및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활용되지 않은 성장혼합모형을 확장시켜 적용했다는 측면에서 연구방법론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classes) in online gaming depending on male adolescents’ change patterns in online game time, testing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 and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diverse delinquency. In order to do this, we applied growth mixture models to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latent classes (high?level maintaining group, rapidly changing group, decreasing group, and increasing group) were identified, and self?control, family violence, parental attachment, stress from parents, and academic stres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All groups showed similar patterns for the diverse types of delinquency, in the sense that cyber delinquency is possible in the highest degree, and status delinquency is the next highest. Among the latent classes in online gaming, the rapidly changing group showed the highest probability of delinquency, but the increasing group showed the lowest probability of delinquency.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predicting latent classes according to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that are susceptible to delinquency and also can be helpful in suggestions for developing appropriate prevention programs. The present study also contributed methodologically by applying an advanced, novel statistical model, growth mixture models, to substantive issues.

      • KCI등재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의 적용

        홍세희(Hong Se-Hee),노언경(No Un-Kyung),이현정(Lee Hy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성별, 자기통제력, 공격성, 부모애착, 자녀학대, 교사애착, 비행친구수)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학교 2학년 패널 1∼5차년도 종단자료에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을 적용하였다. 준모수적 집단 중심 접근 방법 중에서 폭력 수는 빈도변수(count variable)이며 0빈도가 과다한 변수이므로 zero-inflated Poisson (ZIP)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 형태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비폭력집단, 감소집단, 급감소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짓분석으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자기통제력, 공격성, 자녀학대, 비행친구 수가 잠재계층을 결정하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변수들을 바탕으로 폭력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을 예측하고 적절한 대비책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는 변화형태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독립변수들과 잠재계층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최신 종단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subgroups (i.e., latent classes) which exist based the change patterns in violence frequency among adolescents and to test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gender,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 attachment, parental abuse, teacher attachment,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on determining latent classes. With these aims in mind, we applied Nagin’s(1999)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to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Because antisocial behaviors such as violence typically have excessive 0 frequencies, a zero-inflated Poisson model was us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latent classes could be identified, which, in turn,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 patterns as follows; a non-violence group, a decreasing group, and a suddenly decreasing group. By adding the variables of gender,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 attachment, parental abuse, teacher attachment,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to the unconditional latent class model,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latent class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indicated that gender,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al abuse,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in the study of adolescents’ violence to facilitate more refined targeting of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연구논문 :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홍세희 ( Se Hee Hong ),노언경 ( Un Kyung N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0 조사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을 살펴보고,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하여 개인, 가족 및 학교체계변수들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 최초 폭력 발생시점을 회고적으로 응답한 자료에 비연속시간 생존분석(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초의 폭력행동은 초등학교 시기에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았으나,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급증하여 고등학교 1학년이 되기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행동의 최초 발생시점에 대한 개인체계요인 중에서는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이, 가족체계요인 중에서는 결손가정 여부와 부모의 학대요인이, 학교체계요인 중에서는 비행친구 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에 초점을 맞추어 청소년의 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비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the onset of adolescents` violence behaviors. For these goals, we applied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to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According to the estimated hazard function, the likelihood of onset of adolescents` violence behavior was low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s and increasing sharply from middle school years. Results showed that gender, self-esteem, aggressiveness, broken home, parental abuse,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onset of adolescents` violence behavior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focus on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and consider various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시간 변화에 있어서의 잠재계층 도출과 영향요인 검증

        홍세희(Hong Se-Hee),노언경(No 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시간 변화에 따라 구분되는 하위집단(잠재계층)의 수와 그 형태를 알아보고, 각 잠재계층과 성별,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공격성, 정서조절능력, 학업스트레스, 학업동기, 사회성 사이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1, 2, 3차년도 종단자료에 Nagin(1999)의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변화 형태에 따라 5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점진적 증가집단, 저사용 수준집단, 중사용 수준집단, 고사용 수준집단, 저사용 수준으로 회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짓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공격성, 정서조절능력, 학업스트레스, 학업동기 변수가 잠재계층의 결정요인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중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바탕으로 잠재계층을 예측하여 온라인 게임 중독에 빠질 위험이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적절한 대비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변화의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그 잠재계층을 결정짓는데 각 독립변수의 효과를 검증하는 종단연구 방법은 아직 많이 응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early adolescents' change patterns in on-line game time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latent class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pplied Nagin's(1999)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to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latent classes, which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 following patterns; the gradually increasing group, thelow-level using group, the intermediate-level using group, the high-level using group, and the rapidly decreasing group. By adding gender, self-control, self-esteem, aggressiveness, emotion regulation, academic stres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kills to the unconditional latent class model,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latent class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showed that the gender, self-control, self-esteem, aggressiveness, emotion regulati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motivation variable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in the study of early adolescents' on-line game to facilitate a more refined targeting of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