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들이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상경아(Sang Kyong-Ah)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이용해 중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특히 수준별 이동 수업, 교과교실제,방과후 학교 등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학교 교육 활동들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학교 교육 강화가 사교육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그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교육 참여 여부 및 사교육 참여 시간은 아버지의 학력, 가구소득, 학생의 교과 관련 효능감 등 주로 개인 수준의 변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 변인들을 통제한후 학교 수준 변인들이 학생의 사교육 참여를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본 결과, 학교 소재지와 가구소득의 학교 평균 두 변인만이 학생의 사교육 참여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있었다. 반면 이 연구에서 초점을 두었던 수준별 이동 수업, 교과교실제, 방과후 학교 등학교의 교육 활동 변인들은 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student and school level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using KELS(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3rd year data. Dependent variable was students'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and time spent for private tutoring in Mathematics and English. It was found that student level factors such as household income, gender, self-efficacy and school level factors like community size, mean of household income affected the odds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But school level factors representing school's efforts to enhance quality of education such as remedial class, after-school program, grouping by ability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odds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Similarly, student level factors such as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income, gender, self-efficacy and school level factor like community size, mean of household income increased the time spent for private tutoring. But school level factors representing school's efforts to enhance quality of education such as remedial class, after-school program, grouping by ability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time spent for private tutoring.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교과교실 운영 효과

        상경아(Kyong-Ah Sang),박경인(Kyungin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이 연구에서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교과교실제 시행 여부가 학생의 학업성취도, 교과에 대한 태도, 사교육 참여 정도 및 해당 학교의 교사풍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교과교실제 도입 여부에 따른 선택편의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과교실제 효과를 보다 타당하게 분석하기 위해 경향접수를 활용한 결합표집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 과정에서 개별학교가 교과교실제를 도입할 가능성인 경향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2009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설문 및 성적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 수학, 영어 모든 교과에서 교과교실 운영 여부가 학생의 학업성취도, 교과에 대한 태도, 사교육 참여 정도 및 교사풍토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on academic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ubject,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and teacher climate by using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data.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selection-bias and 2009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data were used to produce propensity score which is a probability for adapting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As a result, the mean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ubject, time spend for private tutoring, and teacher climat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whether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is implemented or not.

      • KCI등재

        경향점수를 이용한 결합표집 방법에 의한 사교육 효과 분석

        상경아(Sang,Kyong-Ah)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3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자료를 이용해 고3시절 수학 과목의 사교육 수강 여부에 따라 수능 수리영역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일반적으로 사교육을 받는 집단과 사교육을 받지 않는 집단 간에는 사교육 수강여부뿐만 아니라 가정배경,학습동기 등 여러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따라서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단순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사교육의 효과성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를 이용한 결합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즉,경향점수를 이용해 사교육 수강 여부 외의 다른 관련 변인들에서 동등한 특성을 갖도록 사교육 수강 집단과 사교육 비수강 집단을 결합표집하고,이렇게 표집된 집단 간에 수리영역 점수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그 결과 ‘수리(가)’에서는 두 집단 간 수능점수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수리(나)’에서는 두 집단 간 수능 점수에 차이가 있으며,사교육을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us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data. KEEP is are presentative sample of Korea students and it includes measures of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school students(scholastic achievement test score). However Private Tutoring students(PT) and Non Private Tutoring students(NPT) are different not only i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but also in many relevant variables such as SES, motivation. andpre-achievement. Therefore I decided to use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explore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This research showed contrary results in two different test types. There are two types of test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Mathematics Test: Mathematics A and B. Mathematics A is a test for students who wants to study science and Mathematics B is a test for students who wants to study liberal arts. In Type Ⅰ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in Type Ⅱ test,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private tutoring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ven'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수학 과외가 학업성취도, 태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경아(Sang Kyong-Ah),백순근(Baek Sun-Geu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과외가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에 대한 과외가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에 대한 태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1개 고등학교의 2004년 신입생 전체를 대상으로 2003년 1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3차례에 걸쳐 수학 과외 경험,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자기조절학습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학업성취도는 수학 과외 경험 정도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과외 경험이 많은 집단일수록 학생들의 사전성취도가 높았으며(지속적 과외 집단 > 간헐적 과외집단 > 비과외 집단), 이러한 차이는 연구를 수행한 전 기간 동안(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초부터 2학기 중반까지) 큰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수학 과외를 받는 학생들(지속적 과외 집단 및 간헐적 과외 집단)이 수학 과외를 받지 않는 학생들(비과외 집단)에 비해 교과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자기조절학습 수준도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high schoo. student's learning, especially on their achievement in machematic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 grad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Seoul (N=350). Their achievement in mathematic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March, June, and October, 2004. For data analysi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for mathematics : the continuous privatd totoring group (138 students, 39.5%), the intermittent private tutoring group (151 students, 43.1%), and the none-experience group(61 students, 17.4%)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highschool students' learing.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engaged in private tutoring for mathematics, the better they achieved in mathematics. Also the more students engaged in private tutoring for mathematics, the more afformativ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y got. In addition, the more students engaged in private tutoring for mathematics, th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they did.

      • KCI등재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현정(Hyun-Jeong Park),상경아(Kyong-Ah Sang),강주연(Joo You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사용하여 학생의 배경특성과 학습심리적 특성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경험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3년간에 걸친 사교육 참여 패턴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을 3년 동안의 사교육 참여 패턴에 따라 ‘지속적 사교육’ 집단과 ‘간헐적 사교육’ 집단, ‘비사교육’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에 이들 집단 간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 중에서 지속적 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고, 간헐적 사교육 집단이 그 다음이며, 비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도 격차는 학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아서 사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은 집단이라고 해서 다른 집단들보다 성취도가 더 많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어도 성취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는 사교육 참여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he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when the students'demographics (gender, prior achievement, parents' monthly income) and psychological traits (intern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controlled for, us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ing technique. Also, the effect of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was examined. We found that students who received more private tutoring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received it less in mathematics.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during three years and examined trajectories of the students' achievement. These groups represent 1)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2)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3) students who never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ny measur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mathematics were the highest when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The next highest group was students who had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points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s were students who never had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group difference through the trajectories of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consistent at all times. That is, the change scores of students who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hange scores of other groups. Thus, we concluded that in terms of growth, there was no longitudinal effect of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 KCI등재

        ICILS 2018 상위 5개국의 컴퓨터·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 수준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도출 및 영향요인 비교

        김경희(Kyunghee Kim),노언경(Unkyung No),상경아(Kyong-Ah S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컴퓨터·정보 소양과 컴퓨팅 사고력에 의해 구분된 학생들의 잠재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낮은 수준 학생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학교교육 맥락변수들을 탐색하여 학교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CILS 2018 상위 5개국(우리나라,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의 잠재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잠재 집단(하, 중, 상)이 도출되었고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하’ 집단 학생들이 많고 점수도 낮았다. 각국 공통으로 집단 구분에 유의한 변수는 ICT 일반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효능감으로 나타났고,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ICT를 많이 사용할수록 학생들의 능력이 낮아졌다. 학교 학습을 위해 ICT를 활용하거나 학교 수업에서 ICT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력을 보이는 국가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udent latent classes by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eir characteristic and to explor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ow-level students. To this end, the latent profiles of the top five ICILS 2018 countries (Korea, Denmark, Finland, France, and Germany) were analyzed. As a result, three latent groups (low-level group, middle-level group, and high-level group) were deriv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 had more students at the low-level group and their scores were lower. In all countries, the student s efficacy in ICT general application programs was significant in group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students used ICT for information exchange, the lower their ability was. In the case of using ICT for school learning or using ICT tools in school classes, there are some countries with negative influence.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