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경재전집』의 변辨·발跋·필기류筆記類를 통해 본 한국고대사의 신자료 발굴

        김희만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2

        In this article, new data related to Korean ancient history were organiz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 (硏經齋全集) of works by Seong, Hae-eung (1760-1839),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could be revealed. First, by examining the form in which the contents, which can be said to be new materials of Korean ancient history, were recorded in the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硏經齋全集),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as a whole was laid. Next, in order to analyze these new materials, I looked at their composition and contents in detail, and also analyzed and searched for meaning in particularly noteworthy items among them. In particular, contents such as ‘Korea monument (⾼麗碑)’, ‘Jinheung monument of commemoration (眞興北巡碑)’, and ‘Kija descendant (箕⼦後裔)’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nd they can be newly illuminated through Seong, Hae-eung. Next, several points could be derived from Seong, Hae-eung’s recogni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materials. First, he paid attention to the origin of the nation or the origin of ancient countries, second, he mentioned changes in territory related to national territorial issues, and third, The fact that he paid attention to ancient historical figures, the fourth, deep interest in Chinese historical books, and the fifth, the focus on epigraphs as a material of ancient hist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new materials related to ancient Korean history were contained in various ways in the The Complex Works of Yeongyeongjae (硏經齋全集). Through this, it helped to understand Seong, Hae-eung’s percep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간경변증 환자에서 복수와 정맥류의 상관 관계

        김희만,전재윤,윤영준,안상훈,박영수,백용한,이관식,한광협,문영명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경변증 환자에서 식도 또는 위 정맥류의 진단을 위해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이은 출혈의 과거력이 없었던 정맥류의 일차 예방을 위한 베타 차단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고, 급성 상부위장관 출혈 시 출혈부위를 예측하여 치료의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식도 또는 위 정맥류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 추적 검사의 필요성, 시기, 횟수 등에 관련된 구체적인 원칙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복수는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신체검사나 비침습적인 복부 초음파 검사로 쉽게 진단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자들은 이와같은 복수 진단의 용이함을 이용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지 않고도 위 또는 식도정맥류의 유무 및 중등도를 예측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복부 초음파 검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같은 시기에 실시한 총 23명의 간경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수의 중등도는 복부 초음파를 통해 small, moderate, large 세 군으로 분류하였고, 위 또는 식도 정맥류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형태, 색조, 위치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정맥류의 분류는 1991년 일본 문맥압 항진증 연구회의 식도 위 정맥류 내시경 소견을 따랐다. 결과: 대상 환자 나이의 중앙값은 53 (39-70)세였으며 성별은 남녀가 각각 15명, 8명이었다. 간경변증의 원인으로 B형 간염이 13명(56.5%),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9명(39.1%),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이 1명(4.3%)이었다. 대상 환자의 간경변증 이환기간은 24 ?5.2개월이었고 복수의 양은 small 군, moderate 군, large 군이 각각 4명(20%), 7명(35%), 9명(45%)이었다. 내시경 소견에서 식도 정맥류는 18명, 위 정맥류는 6명, 식도와 위정맥류가 동시에 있는 경우는 6명이며, 5명은 복수가 있더라도 정맥류가 없었다. 형태에 따른 분류로 볼 때 F0, F1, F2, F3 가 각각 5명, 5명, 12명, 1명이었다. 위치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식도가 각각 4명, 11명, 3명이었다. 복부 초음파로 측정한 비장의 크기는 식도정맥류의 형태에 따른 네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순서대로 평균 11.7 cm, 13.6 cm, 14.4 cm, 15 cm로 비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네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백혈구, 혈소판, 총단백, 알부민 등 혈청학적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복수의 백혈구, 알부민, 전해질 등과 24시간 소변의 나트륨 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도정맥류의 형태, 정도 및 위치와 복수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복수의 정도는 식도 정맥류의 존재나 중등도를 예측할 수 없었으나 비장의 크기와는 비례하는 경향을 보여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중이다.

      • KCI등재

        R을 이용한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습참여 유형과 학습성과 분석

        김희란(金喜蘭)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를 유형화함으로써 대학생 학습활동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국 4년제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K-NSSE(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178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학습참여 유형이 추출되었으며, 잠재집단들은 표본 수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유사한 축을 가지는 타원형 분포를 띄는 모형(VEE, Ellipsoidal,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Equal orientation)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유형은 특징에 따라 ‘적극형’, ‘보통형’, ‘소극형’으로 명명되었다. ‘교수와 상호작용’ 변인이 유형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적극형’ , ‘보통형’, ‘소극형’ 순으로 대학생활을 통한 역량 함양 정도, 교육만족도, 대학몰입도를 높게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이 학습참여에 적극적일수록 학습성과가 높다는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였으며 인지적 학습성과뿐만 아니라 정의적 학습성과 또한 학습참여의 적극성 정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대학생의 학습지원과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earning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by applying the 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lassifying the typology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1,178 data were collected from 4-year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responded to the K-NSSE assessment via onlin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ree types of learning engagement were developed. The fittest model of latent groups was the ellipsoidal model with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orientation among groups. The learning engagement was classified into active, ordinary, and passive types. The participants of active type showed higher scores on GPA, perceived competenc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mmersed level in college activities than other types. The results supported previous study outcomes that the more undergraduate students are active in their learning engagement, the higher their achievements are, and that the level of active engagement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cognitive outcomes. Implications of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regarding supports for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異斯夫의 新羅領土擴張과 于山國

        김희만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5 No.-

        이 글에서는 이사부의 신라영토확장과 우산국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 를 기반으로 몇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우선, 이사부 관련자료를 그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보다 치밀하게 검토한 바, 그 출생년대는 이를 전하는 기사가 찾아지지 않으므로 추정하기 어렵지만, 그 사망년대에 대해서는 관련자료 를 적극 검토하여, 이사부는 562년 가야 정벌과 관련된 기사 이후 그 추적이 어 려우며, 당시의 나이(대략 77세)를 고려할 때 자연사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다음으로, 『國史』의 편찬과 연관하여 그 편찬 목적과 의의에 대하여 검토해 보 았다. 그 결과 국가와 왕실의 위엄을 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뿐만 아니라, 그 자 체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건설의 문화적 기념탑이라는 논의에 동의하면서, 더 나아 가 지증왕․법흥왕․진흥왕대의 국가발전과 관련하여 중국문화의 수용과 그 변화 내 용을 담지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관련자료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증좌로 지 증왕대 이후 중국과 밀접한 정치․사회적 변화가 『國史』의 편찬과 연관이 있었으 며, 그 결과가 『三國史記』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고 추론해 보았다. 그 다음으로, 신라의 영토확장과정과 우산국에서는 기왕에 신라에서 소국을 어 떻게 편제하였으며, 특히, 실직과 우산국의 편제 방식이 다른 점을 중심으로 검토 해 보았다. 그 결과 실직은 소국으로서 신라사회와 다양한 접촉을 보여주고 있으 며, 그에 반해 하슬라는 실직을 거점으로 편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반해 우산국은 朝貢을 통한 편제 방식이 보이고 있으므로 그러한 사례를 분 석하여 이에 의미를 부여해 보았다. 끝으로, 우산국 정복 관련자료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지금까지 『三 國史記』관련자료만을 신뢰하여 그에 근거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으나, 『三國遺事』에 보이는 기사를 중심으로 다른 의미를 부여해보았다. 그 결과 『三國史記』에 보 이는 우산국 기사는 導論的 성격이 강한 의미로 해석하여, 『三國遺事』의 우산국 정복 결과 하슬라주 군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의견으로 제시 해 보았다. The thesis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Shilla by Isabu and the State of Usan. The thorough research on Isabu s life and activities was dependent on the relevant document on Isabu and as for the birth year, it was difficult to be estim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relevant document was not found and as for the death year, there was few document after the document on Isabu s conquest of Gaya in 562 and considering his age at that time (about 77 years old), it was assumed that he died of natural causes. Next, the thesis reviews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publication of the 『Kuksa-national history』. The review results that the publication intended to show off the dignity of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and it was the cultural monument representing the building of the centralized aristocratic state. Further more,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tateduring the eras of King of Jijeung, King of Bupheungand King of Jinhung,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he Chinese culture and holding its changes was reviewed through the relevant documents. The corroborative evidence is that after King Jijeung,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at had a close relation with China were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the 『Kuksa-National History』 and it was estimated that its result was reflected in 『Samguk sagi』. Next, in the course of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Shilla and the State of Usan, it was reviewed how Shilla organized small states and especially how Siljik and the State of Usan were organized differently. The result shows that Siljik had various contacts with the society of Shilla as a small state but Hasulla was organized centered around Siljik. The State of Usan was controlled with the system of tribute. Each case was analyzed and the applicable meaning was assigned. Lastly, the necessity to re-visit the documents on the conquest of the State of Usan was raised. So far, the materials in relation to 『Samguk sagi』have received the sole trust for the analysis but the thesis assigned different meanings to the articles from 『Samguk yusa』. The result shows that the article on the State of Usan was interpreted as the introductive discourse and the possibility of the appointment as the king of the state of Hasulla as a result of the conquest of the State of Usan from 『Samguk yusa』 was reviewed and raised as a new opinion.

      • KCI등재

        『삼국유사』의 편목과 일연(一然)의 신라 불교 인식

        김희만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 and meaning of the compilation of 『Samgukyusa』 and to consider the recognition of Buddhism in Silla by Ilyeon, who wrote i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first analyzes the contents of 『Seungjeon』 and 『Goseungjeon』 recorded in 『Samgukyusa』 were analyzed, and second, the high priests recorded in 『Haedonggoseungjeon』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s of 『Samguksagi』 and 『Samgukyusa』. And third, the Ancient Korean high priests recorded in China’s 『Goseungjeon』 were compared with those recorded in 『Samgukyusa』.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Ilyeon’s recognition of Silla Buddhism in the contents of 『Samgukyusa』,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Silla Buddhism included in 『Samgukyusa』 were analyzed. second, comparing the contents of Silla Buddhism in the 『Haedonggoseungjeon』 with the details of the 『Samgukyusa』, Third,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Buddhism in Silla included in China’s 『Goseungjeon』, it was compared with the items included in 『Samgukyusa』. As a result, Ilyeon referred to the contents of 『Haedonggoseungjeon』 and China’s 『Goseungjeon』, but only used 「Euihae」 and 「Gamtong」 as it was while composing the section of 『Samgukyusa』. It was able to reveal that the contents of and were originally created by Ilyeon. The compilation of 『Samgukyusa』 created by Ilyeon is mainly related to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Buddhism, and the Buddhism that Ilyeon wanted to convey through 『Samgukyusa』 was ‘Silla Buddhism’, which was developed in various ways by Silla mon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ection was also written with a focus on Silla Buddhism. It was because the high monks who were listed as Silla in China’s 『Goseungjeon』, but not described in 『Samgukyusa』, did not return to Silla. Ilyeon showed an attitude of not describing them as long as they had nothing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Silla Buddhism, even if they left behind achievements as high monks. In other words, through the compilation and contents of 『Samgukyusa』, it was revealed that Ilyeon recognized Buddhism at the time as ‘Silla Buddhism’, which was settled by the Silla people and developed in Silla. 이 글의 목적은 『삼국유사』 편목의 구성과 의미를 파악하여 그 찬술자인 일연의 신라 불교 인식을 고찰해 보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삼국유사』에 수록된 『승전』과 『고승전』의 고승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로 『해동고승전』에 저록된 고승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소개된 고승과 비교하고, 셋째로 중국 『고승전』에 수록된 한국 고대의 고승 가운데 『삼국유사』에 서술된 고승과 대비해 보았다. 또한 『삼국유사』 편목의 내용에 보이는 일연의 신라 불교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첫째로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불교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로 『해동고승전』에 저록된 신라 불교 관련 내용을 『삼국유사』에 서술된 사항과 비교하고, 셋째로 중국 『고승전』에 수록된 신라 불교 관련 내용을 『삼국유사』에 기록된 사항과 대비해 보았다. 그 결과 일연은 『삼국유사』의 편목을 구성하면서 『해동고승전』과 중국 『고승전』에 수록된 편목과 해당 내용을 참고하였으나, 그 중 「의해」와 「감통」 편목만을 그대로 사용하였을 뿐, 그 외의 편목 구성과 내용은 일연이 독창적으로 창안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일연에 의해 창작된 『삼국유사』의 편목은 주로 불교의 전래 및 정착과 관련된 내용이며, 또한 일연이 『삼국유사』를 통해 전하고자 하였던 불교는 신라 승려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발전한 ‘신라 불교’였다. 그리고 각 편목에 수록된 내용도 신라 불교 중심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고승전』에 신라인으로 수록되었으나, 『삼국유사』에 서술하지 않았던 고승은 신라로 귀환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일연은 이들이 비록 고승으로서의 업적을 남겼더라도 신라 불교 발전과 무관하였다면 서술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 것이다. 즉, 『삼국유사』의 편목 구성과 그 내용을 통하여 일연이 당시의 불교를 신라인에 의해서 정착하여 신라에서 발전한 ‘신라 불교’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浦項 中城里新羅碑와 新羅의 官等制

        김희만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9 동국사학 Vol.47 No.-

        이번에 새로이 발견된 浦項中城里新羅? (Pohang joonsung-ri sillabi)는 迎日 ?水里新羅?(Yeongil naengsu-ri sillabi) ? 蔚珍鳳坪新羅?(Uljin Bongpyeon sillabi)와 더불어 6세기 신라사회를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인정된다. 특히 중성리신라비는 영일냉수리비(Yeongil naengsu-ri sillabi)와 더불어 지중왕(Jijeungwang)대의 사회상뿐만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 이에 학계에서는 두 차례의 학술회의를 통해 본 비가 지닌 의의를 해명 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기왕의 연구자들이 제기한 견해를 바탕으로, 먼저 비문(memorial inscription)의 문단구성과 석독(explanatory reading oral formulas)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비문에 보이는 관직(Official Position)과 관등(gwandeung : Official Ranks), 인명표기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특히 干支(Ganji)-壹金知(Ilgeumji)를 11등급의 외위체계(Oewije: Local Government Grade)가 정비되기 이전 단계의 것으로 추정하고, 경위체계(Gyeongwije : Official Rank Held by Residents of the Capital)로서 千支(Ganji)- 壹伐(Ilbeol)의 체계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본 비에서 그 소속부로서 탁부(Takbu)와 탁(Tak) 등이 함께 기술된 것은 그 소속 인물의 정치적 지위에 따론 때문이 아닐까 추측하고 당시에는 관등의 분화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관직과 관등은 아직 세분화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신라의 ‘水旱之災’와 국가의 대응 전략

        김희만 신라사학회 2022 新羅史學報 Vol.- No.56

        이 글에서는 신라의 ‘水旱之災’ 발생 양상과 이에 대한 국가의 대응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신라인들의 재해관과 대민정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신라의 ‘水旱之災’ 중 수재 즉 홍수의 경우 大水, 大雨, 久雨, 한재 즉 가뭄의 경우 大旱, 旱, 不雨 등의 사례를 통해서 발생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신라의 수재 발생 기사는 모두 28개였으며, 이는 大水가 21개, 大雨가 6개, 久雨가 1개이다. 수재 발생 양상은 시기적으로 상대가 중대 이후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신라의 한재 발생 기사는 모두 67개였으며, 이는 大旱이 10개, 旱이 47개, 不雨가 1개이다. 한재 발생 양상은 시기적으로 상대에서 많이 발생했으며, 중대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국가의 대응 전략에서는 자연재해에 관한 대민정책의 실제를 여러 재해 기사와 비교하면서 ‘水旱之災’에 대한 대응 전략의 비중이 컸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발생된 재해에 대한 대응뿐만 아니라, 재해 예방 전략도 추진되어 수리 시설의 확충과 권농 정책, 그리고 재해 관리기구의 정비 등이 실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신라 사회의 재해 극복 과정, 즉 국가의 대응 전략은 신라 사회의 성장과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신라의 ‘水旱之災’ 에 대한 국가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集權體制를 강화하고 국가에 의한 對民支配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