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 이해 교육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편견에 미치는 효과

        김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bia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ttain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 First, what influence will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have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nfluence will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have on the bia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xperimental group, 22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22 students participated as control group students. A questionnaire intended to measur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bias was distributed to the group before and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was offered. Through this questionnaire, the effect of the program could be quantitatively analyzed.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works, and t-test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was applied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multi-cultural awaren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was applied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i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와 편견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M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4명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문화 인식 및 태도 검사지는 문화 상대주의, 문화 수용성, 세계 지향성, 자국 문화 이해, 자국 문화 만족도, 국제 관계 이해 등 6개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편견 검사 문항은 성, 능력(장애), 인종, 계층, 새터민, 외모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 다양성의 이해’ 영역, ‘하위문화 다양성의 이해’ 영역, ‘다문화 가정의 형성과 이해’ 영역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편견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혁신학교의 운영 성과 및 과제

        김희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8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혁신학교의 운영 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지역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혁신학교 교사 188명과 일반학교 교사 128명에게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316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F)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혁신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교육과정 및 수업개선(혁신: M=3.72, 일반: M=3.53) (t=2.617, p<.05), 학교운영체제(혁신: M=3.98, 일반: M=3.64) (t=4.498, p<.01), 협력적 학교문화(혁신: M=4.02, 일반: M=3.74) (t=4.188, p<.01), 교사집단 효능감(혁신: M=4.08, 일반: M=3.91) (t=2.857, p<.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혁신학교(M=3.97)는 일반학교(M=3.91)에 비해 생활지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거의 유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의미없는 것은 나타났다. 향후 과제는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민주적 학교운영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토론 문화 정착과 구성원 간 학교 비전 및 철학의 공유·확산, 입시위주의 교육과정 한계 극복, 교육적 거버넌스 구축 등이 요구된다.

      • 「학교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행정체계의 구축」에 관한 토론

        김희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본 세미나는 5.31 교육개혁의 공과를 재조명하여 학교교육의 혁신에 요구되는 정책적 아이디어를 탐색할 수 있는 소중한 장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곧 학교교육의 질 향상과 교원의 전문적 권위를 확 보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껏 역대 정부의 크고 작은 교육정책들은 학교 안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학교 현장은 화합과 협력적 분위기로, 때로는 갈등과 반목으로 분란을 초래하기도 한다.학교교육 변화와 혁신은 이벤트 행사처럼 단숨에 치르고 끝나는 것도 아니며, 가시적인 결과를 전부라고 볼 수 없다. 교원들 은 성공한 교육정책보다는 실패한 교육정책을 오래 기억하곤 한다. 순간 성공한 교육정책에 도취하 기 보다는 실패의 원인을 반추하여 곰곰이 되새기는 일은 유익한 사고가 될 것이다. 학교교육의 혁신은 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의 외적 요인과 학교, 교장 등 학교구성원의 내적 요인과의 공유된 이해와 협력적 이행이 이루어질 때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즉 개발자와 실천자의 조화와 일치가 필요하다. 이렇듯 발표자께서 균형과 합리의 논의 과정 속에서 학교교육 혁 신을 위한 조건, 전략, 교육행정체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교교육의 혁신 준 거를 방향, 대상, 방법으로 구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와 실증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분류 하고, 그에 기초한 합리적 대안 모색을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담고 있기에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genetic variations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receptor type III and asthma in a Korean population

        김희규,Jong-Eun Lee,Eun-Soon Shin,김유영,장태원,정만홍,Heung-Woo Park,조상헌,민경업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0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2 No.6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and its receptors have been suggested to play key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enetic variations in the TGF-βreceptor type III (TGFBR3) on asthma and on its related phenotype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cohort of 2,118subjects aged from 10 to 18 yea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concerning asthma symptoms and risk factors. Methacholine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skin test responses to common aeroallergens,and serum total IgE levels were evaluated in the cohort. A total of 19 SNPs for TGFBR3 were found using direct re-sequencing in 24 healthy adults. Of these, informative SNPs [+44T>C (S15F) and +2753G>A at 3'UTR] were selected and scored using the high throughput single base extension method. Atopy was identified in subjects with 44T>C allele [P = 0.04, OR (95% CI) = 0.79 (0.62-0.99)] and in subjects with Ht1(CG) more frequently than in subjects with other haplotypes [P = 0.04, OR (95% CI) = 1.27 (1.01-1.59)]. The A allele in 2753G>A was more common in subjects with non-atopic asthma [OR (95% CI) = 1.76 (1.01-3.05)].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non-atopic asthma and 44T_2753A [OR (95% CI) = 2.16 (1.22-3.82)]. Genetic variations in TGFBR3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a genetic predisposition to development of asthma and to phenotypes of asthma. Also, the minor allele 2753G and the haplotype TA in the TGFBR3 gene were associated with a pathogenesis of non-atopic asthma.

      • KCI등재후보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이 전문가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김희규,류춘근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이 전문가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홀리스틱적 관점에서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지역 중등학교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및 회귀분석을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과 전문가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 수준은 각각 높게 나타났다.(M=4.38, M=4.29) 둘째,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과 전문가학습공동체의 두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780, p<.01).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지도자 확대가 교사협력문화에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은 전문가학습공동체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64.5%).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변인 중 상황을 제외한 지 도자 확대, 조직 문화, 조직 학습은 전문가학습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그중 지도자 확대가 전문가학습공동체에 가장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학교장은 분산적 리더십을 개발 및 촉진하여 자발적인 교사들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여 학생의 학습력을 높일 수 있는 리더십 전략을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on learning community perceived by teachers.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is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distributed leadership,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The study also analyzed correlation with the two variables and influences of distributed leadership upon sub-variables of learning community.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in school size for the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career of teacher for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distributed leadership g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learning community. And school change and innovation s increased wh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learning community were input at the same time. In the end, it was kn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community, to use ability to recognize oneself among variables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variables of devoted behavior, friendly behavior, and indifferent behavior among variables of learning community can improve quality of educational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