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김환희(Hwan Hee Kim)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반쪽이> 이야기의 전승과정을 192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발굴된 <반쪽이> 이야기의 최초 판본은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1926)에 수록된 「반쪽 사람」이다. 심의린 동화본에 이어서 RR生의 동화 「외쪼기 이야기」가 1929년 11월에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다. 두 편의 동화 가운데서 1930년대에 채록된 구전민담의 보편적인 서사내용--신이 한 탄생, 형들의 핍박, 호랑이 퇴치, 보쌈과 결혼--을 대폭 수용한 것은 ‘외다리 반쪽이’가 등장하는 RR生 본이다. ‘두 다리 반쪽이’가 등장하는 심의린 본은 개작의 흔적이 뚜렷하지만 거의 70년 동안 옛이야기 전승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김상덕과 이원수를 비롯한 많은 동화작가와 국문학자가 표준 텍스트로 삼은 것이 심의린 동화의 영향을 받은 ‘두 다리 반쪽이’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에 그림책이 옛이야기 전승의 주요매체로 부상하면서 물고기와 고양이가 등장하는 평북민담이 표준텍스트로 새롭게 활용되었다. 하지만 채록 자료를 통틀어 살펴볼 때 물고기와 고양이는 보편적인 화소라고 보기는 힘들다. 구전 자료에서는 수태 음식이 주로 오이와 같은 식물이고, 기형의 원인 제공자로 아버지가 가장 많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1996년 이후 오늘날까지 제작된 그림책이 거의 대부분 획일적으로 잉어(물고기)와 고양이 화소를 택하고 있는 것은 문제점이 적지 않다. The present study is a diachronic study on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half-man`` fairy tale for children ha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s oral and literary transmission. The first two versions of the half-man tale are "The Half-man" in Sim Eui-rin`s Korean Fairy Tales(1926) and RR-Saeng`s fairy tale for children entitled "The Story of the One-sided"(1929). Of these two versions, the second one is much more faithful to the oral tradition than the first one, when compared with its oral versions which Yim Suk-jay collected in the 1920s-30s but published at the end of 1980s. Most of the oral versions consist of the four major common motifs: (1) miraculous birth from vegetable or fruit, (2) conflicts between siblings, (3) tiger hunting, and (4) marriage by bride-theft. Sim Eui-rin`s story is a very peculiar version because it does not contain the motifs of miraculous birth and tiger hunting and his half-man has two legs. Sim`s ‘two-legged`` half-man story had made a great impact on such children`s book writers as Kim Sang-duk and Lee Won-su until the end of the 1980s. From the 1990s on, the picture book began to emerge as a main vehicle to transmit the folk and fairy tales of the half-man. This literary phenomenon has the following two sides: (1)the picture books of the half-man tale have enabled the read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oral versions collected in the 1930s (2) most of the picture books have indiscriminately copied the two ``half-man`` books of Jeong Seung-gak and Lee Uk-bae for more than 15 years.

      • KCI등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김환희 ( Kim Hwan-hee ),훈순 ( Kim Hoon-soon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오늘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장르적 혼종성과 텍스트의 사실성 추구라는 두 가지 상황적 맥락에서, 보다 정교한 리얼리티를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서사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이때 `사실성`이란, 실재하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 이상으로 텍스트 내외부의 여러 전략을 통해 인위적으로 구축된 것이라는 점에서 `환상적 사실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것이 프로그램 내에서 어떠한 기제를 통해 구체화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tvN의 <삼시세끼 정선편>의 서사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삼시세끼>는 텍스트의 사실성과 제작진의 의도를 강화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반에서 다양한 전략을 시도하고 있었다. 계절의 순환이라는 원초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사건은 현장감과 사실성을 강조하고, 장소의 일상성을 부각하는 출연진들의 행위 및 생활-연출공간의 경계 허물기는 다소 낯설 수 있는 촬영지를 `현실적인 전원`으로 이미지화 한다. 더불어 실제 인물과 연출된 허구인물 사이를 오가는 등장인물들은 자연인으로 포장되어, 과정의 사실성이 강조된 일상적 행위들을 이어가는 등 장면의 리얼리티를 강화하는 바, 결과적으로 `강원도 정선`은 실현 가능한 이상향으로 치환된다. 그러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생산한 환상적 사실성에는 단순히 서사적 즐거움 이상으로 낭만적 현실로 은폐된 문제들이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질문을 지속할 때 비로소 `리얼리티` 끝에 실재하는 `무언가`를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reality program uses a variety of narrative strategies to produce a lot more sophisticated `reality`, in the context of situational aspects, including genre hybridity and in pursuit of text reality. In this regard, `reality` refers to a kind of `illusion`, in that it is artificially establish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with and within the text, more than just displaying the objective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illusion of reality`, and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of tvN`s Three meals a day - Jeongseon se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that is used to actualize `illusion of reality` withi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ree meals a day tried various strategies throughout the program, in order to reinforce the text reality and the purpose of producers. Every event occurred over the primitive time flow, as the circle of the seasons, emphasized the sense of reality. Also, the casts` behaviors and breaking up the boundary between real - fictional space, visualizes `realistic rural areas` that can be regarded as somewhat exotic. Furthermore, `Jeongseon, Gangwon- do` is eventually transferred to the feasible utopia by characters who act both real person and a fictional person, forming pseudo-family, and by strengthening scene reality such as carrying on daily routine behaviors which reinforced the reality of procedure. However, since `illusion of reality` created by reality program does certainly embrace problems camouflaged with romantic reality, more than just showing narrative enjoyment, thus, continuing to pose such questions enables us to confront `something` that lies behind `reality.`

      • KCI등재

        한국과 켈트의 < AT 706 손 없는 색시 > 설화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서사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환희 ( Hwan Hee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과 켈트 지역에서 전승되어온 < AT 706 손 없는 색시 >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설화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을 파악하고, 켈트 설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에 있다. 한국과 켈트 설화의 공통된 서사 내용은 (1) 악녀의 영입 (2) 유아(태아)의 살해 누명(3) 손 절단과 축출 (4) 나무에서 만난 남자와의 결혼 (5) 아이 출산 (6) 손재생 (7) 악녀의 징치로 간추릴 수 있다. 공통 모티프 가운데 `아이의 출산`은 가장 중요한 모티프로서, 서사 내용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뿐 아니라 여성의 보편적인 심층 심리에 존재하는 대극의 융합 및 전일성을 표현한 모티프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 설화에만 나타나는 특수 모티프로는 `손의 승천`과 `베 짜는 여인`을 꼽을 수 있다. 두 모티프에서 한국 여성의 집단무의식과 지역적인 특성을 엿볼 수 있다. 한국 민요에서 `베 짜는 여인`을 적강 선녀에 비유하고, 세오녀와 선도 성모가 직조신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손이 하늘로 간다는 발상은 한국인 고유의 상상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켈트 설화가 보여주는 특수 모티프로는 `가시` `개의 조력` `세례받지 않은 아이`를 들 수 있다. 손을 절단한 아버지(또는 오빠)의 발에 박힌 `가시` 모티프와 `개의 조력` 모티프는 브르타뉴,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지역에 널리 전승됐다. 하지만 주인공이 낳은 `세례받지 않은 아이` 모티프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설화에만 나타난다. 이러한 세 모티프는 켈트족의 신화 및 민간 신앙과 깊은 관련이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alities and particularities of 13 Korean versions of “AT 706 The Maiden without Hands” by comparing with its 17 celtic versions from Ireland, Scotland, and Brittany. The common contents between the Korean and Celtic vers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heroine`s father (brother) marries a wicked woman; (2) The wicked woman accuses the girl of having an abortion or killing her baby brother; (3) Her father (brother) multilates her hands; (4) A man finds her in the tree or in the woods and marries her; (5) She gives birth to a baby (babies); (6) By a miracle she gets her hands back again in the fountain; (7) The wicked woman is severly punished. Among these narrative contents, the child motif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the child motif integrates the other major motifs into a storyline and the child,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 which unites the opposites, a mediator, bringer of healing, that is, one who makes whole,” to borrow Jung`s remarks. The particular motifs of the Korean versions are “the ascension of the mutilated hands” and “weaver.” These two motifs can be considered to derive from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the Korean wom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ulture. In Korean folk ballads, Korean weavers have often imagined themselves as heavenly maidens and such Korean goddesses as Seonyo and the Great Mother of the Sacred Peach Mountain are cosmic weavers who can cross between earth and heaven. The particular motifs of the Celtic versions are oath, infanticide, breast mutilation, thorn, dog as helpful animal, and unchristened child. These motifs seem to derive from the Celtic culture, religion, and customs.

      • KCI등재

        옛이야기 전승과 언어 제국주의 : 강제된 일본어 교육이 〈나무꾼과 선녀〉 전승에 미친 영향

        김환희(Kim Hwan-He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Japanese linguistic imperialis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as influenced the historical transmission of the Korean swan-maiden folktale called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and by so doing I will try to find out the way to reduce the detrimental effects that the ‘wild geese’ phenomenon and english immersion education may have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impending future. Korean Tales and Proverbs collected by Takahasi Toru is a collection of Korean folktales which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folktales and fairy tales from 1910 up to the present time. Takahashi Toru was a Japanese scholar whom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commissioned to study Korean folk religions and customs just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He was a power-hungry elite and ardent imperialist who had racial prejudices toward the Korean people. He was a professor with political power to the extent that he exerted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major universitie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rule. The folktales collected by him have been for long considered as authoritative texts by Japanese elites or Korean elites who had assimilated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The detrimental influence of his collection on the Korean folktale can be clearly seen in the historical transmission of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There have been more than 100 variants of the tale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types: (1) the heavenly maiden’s flight, (2) the woodcutter’s flight, (3) the woodcutter’s fulfillment of heavenly tasks, (4) the legend of the rooster. Of those four subtypes, the oral variants of the third subtype, ‘the woodcutter’s fulfillment of heavenly tasks,’ had been the most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until 1980. However, the second subtype first introduced by Takahashi in 1910 has been widely known up to the present. For, when south korea established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textbook editors who had been educated in Japanese language under Japanese rule preferred the second subtype collected by Takahashi (and his followers) to the third or fourth subtypes. The inclusion of the second subtype into national textbooks for 17 years (1955-1972) has been very detrimental to the oral transmission of the third type. Consequently, the latter has almost vanished from oral transmission and children’s picture books. This decline of the third subtype is a great loss to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because it surpasses the other subtypes in narrative values and artistic excellence. Moreover, it enables us to comprehend the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folktale and Japanese myth. Such motifs as ‘mouse as a helper,’ ‘son-in-low tasks,’ and ‘arrow search’ are found in both the third subtype of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and the Japanese myth of Okuninushi. It can be assumed from this that in ancient times, the Korean folktale exerted influence on the making of the Japanese myth of Okuninushi.

      • KCI등재

        애니메이션 팬 활동으로 재 정의되는 여성의 ‘관계’와 의미

        김환희(Hwan Hee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3

        여성에게 ‘관계’의 키워드는 여성 고유의 정체성 혹은 사회적으로 학습된 덕목이라는 상반된 주장 속에서 그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해왔다. 더불어 ‘젠더화 된 팬덤’에 대한 다수의 연구들은 여성들에게 팬덤 경험이 상대적으로 유의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대 후반 이상의 여성들이 ‘애니메이션 팬 활동’을 통해 캐릭터 및 (비)참여자들과 맺는 ‘관계’의 의미를 심층인터뷰와 자기민속지학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참여자들과 애니메이션 캐릭터 간 관계의 중심에는 현실과 상반되는 ‘완전성’이 존재했으며, 이러한 현실인식의 지속적 개입과 모순적 욕망은 남성 캐릭터 간 애정을 다루는 ‘BL(Boys Love)’장르에서 두드러졌다. 참여자들에게 ‘BL’창작은 개인의 성적 욕망과 가부장적 위계질서의 의심을 실천하는 기회로 작동했으며, 이때 ‘남성’ 및 ‘동성’의 필요성과 BL에 대한 의미부여의 견제는, 팬 활동에 반영되고 있는 참여자들의 젠더 정체성과 이에서 비롯되는 고민의 존재를 보여준다. 한편, 팬덤 구성원들 간 소통은 현실에서의 관계 이상의 중요성을 획득하며, 사회적 불이익과 여성성 훼손의 두려움에서 비롯된 팬덤 ‘밖’ 타인과의 구별 짓기는, 이들의 일상에서 애니메이션 팬 활동의 의미를 깊이 있게 드러낸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기존의 ‘관계’ 개념의 재 정의를 요구하며, 현실의 한계 및 사회적 담론의 인식과 젠더 정체성의 고민을 가능하게 하는 상징적 경험으로서 애니메이션 팬 활동을 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The term ‘relationship’ has penetrated women’s lives amid two opposing arguments: a woman’s own identity versus a virtue which is socially learned. Moreover, many studies on ‘gendered fandom’ suggest that any experience of fandom could be relatively significant for women.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relationship’ which the women over their late 20s made with the characters and bo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rough ‘fandom activity of animation’, by interview and autoethnograph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kind of ‘completeness’, which does totally not correspond to the reality in the center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animation characters. Consistent intervention of this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contradictory desires have stuck out a mile in BL(Boys Love) genre, which is about the love between male characters. For the participants, creating the pieces of ‘BL’ genre worked as an opportunity to practice a person’s sexual desire and a doubt about the patriarchal hierarchy. What’s more, holding the necessity of ‘male’ and ‘the homosexual’, and the ascription of meaning to BL in check implies a gender identity of the participant mirrored to fan activities and concerns from it. Meanwhile, 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bers of a fandom acquires a sort of consequence more than common relationship in the reality, which means that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nes ‘outside’ their own fandom resulted from a fear of any social disadvantage or damage to their femininity represents in-depth meaning of fan activities in their daily lives. As a result, it requires re-defining existing concept of ‘relationship’, suggesting a interpretation of the fan activity for animation as a symbolic experience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a realistic limit and a social discourse, and thoughtfully contemplate one’s own gender identity.

      • KCI등재

        2020년 호서지역 마한· 백제 고고학 조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김환희 ( Kim¸ Hwan-hee ),서현주 ( Seo¸ Hyun-ju ) 백제학회 2021 백제학보 Vol.- No.37

        이 글에서는 2020년 호서지역에서 진행된 마한~백제시대 관련 고고학 조사·연구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2020년의 발굴조사 건수는 감소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지만 2019년에 비해 소폭 증가한 수치였으며, 다양한 연구 활동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었다. 다만 마한 관련 조사와 연구는 백제에 비해 상당히 적은 편이어서, 향후 해당 문화권의 조사·연구에 있어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2020년 호서지역 발굴조사는 마한~백제문화권의 양상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뒀다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공주와 부여지역 내 백제왕도 핵심유적의 지속적인 조사와 확대는 백제 웅진~사비기 왕도의 모습을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였다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성의 외곽지역에서도 활발한 학술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향후 백제시대 지역 방어체계와 관련된 연구도 기대된다. 이와 함께 학술회의, 특별전시, 학술논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백제 고분과 도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집중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최근 몇 년간 활발하게 추진되었던 백제왕도 핵심유적의 조사 건수의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어서 향후 조사 성과가 반영된 연구가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achievements of archeological survey and research on the Mahan and Baekje period in the 2020 Hoseo region. It wa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excavation surveys would have decreas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year, but it made a small increase from 2019 with various research activities done on an ongoing basis. The surveys and researches on Mahan have been considerably smaller in amounts than those on Baekje, which raises a need to take interest in Mahan in future survey and research on the cultural area. In 2020, the excavation surveys conducted in the Hoseo region made important achievements in that they established basic data to figure out the patterns of the Mahan and Baekje cultural area. Of them, the ongoing survey and expansion of the core sites in the old capitals of Baekje within the areas of Gongju and Buyeo holds special significance by securing critical data to restore the capitals of Baekje during the Woongjin~Sabi period. There were also active investigations in the area of the outer wall, which raises expectation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gional defense system of Baekje. In addition to them, research were conducted across various fields including academic conferences, special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with an intense concentration of research on Baekje's ancient tombs and capital cities. As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years to come, more research will come out reflecting survey results.

      •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한 Feature 선정

        김환희 ( Hwan-hee Kim ),함효식 ( Hyo-sik Ham ),최미정 ( Mi-jung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타 모바일 플랫폼보다 보안에 있어서 더 많은 취약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의 모바일 악성코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발생하고 있다. 현재 악성코드 탐지 기법 중 기계학습을 도입한 방법은 변종 악성코드의 대처에 유연하다. 하지만 기계 학습기법은 불필요한 Feature 를 학습데이터로 사용할 경우, 오버피팅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리소스를 모니터링하여 Feature vector 를 생성하고, Feature-selection 알고리즘을 통하여 Feature 의 수에 따라 기계학습 Classifier 를 통한 악성코드 탐지의 성능지표를 보인다. 이를 통하여, 기계학습을 통한 악성코드 탐지에서 Featureselection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한다.

      • KCI등재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구조화된 시간 사용과 웰빙(well-being)의 상관관계

        김환희,장문영,Kim, Hwan-Hee,Chang, Moon-Young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시간 사용과 웰빙(well-being)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33명의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233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기록이 미비한 설문지 10부를 제외하고, 총 223부가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구조화된 시간사용 설문지와 웰빙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삶의 기대척도, 삶의 만족척도, 주관적 행복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 시간은 평균 20분정도 소요되었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특정과 설문지의 평균값을 알아보았고, 구조화된 시간 사용과 웰빙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구조화된 시간 사용과 웰빙은 전체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구조화된 시간사용 설문지의 하부항목 중 효과적인 조직화는 삶의 만족척도와 삶의 기대척도에서, 미래방향은 삶의 질, 삶의 만족척도, 주관적 행복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그 외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결론: 구조화된 시간사용과 웰빙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우리는 시간 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작업치료는 수행요소를 중재하는 치료에서 나아가 고객의 시간을 관리해줌으로써 개인의 삶을 웰빙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구조화된 시간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SQ(Time structure questionnaire) and Well-being were examined. Methods : TSQ and questionnaire about Well-being were executed for 223 university students from April 26th to May 7th, 2010. The questionnaire adapted the item of the TSQ and Korean WHOQOL-BREF, SWLS(Satisfaction with Life Scale), LSES(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SHS(Subjective Happiness Scal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irectly to the participants. Relativity between the TSQ and questionnaire about Well-being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SQ and questionnaire about Well-being, overal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SQ(sense of purpose, structured routine, persistence, past orientation) and questionnaire about Well-be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5). Conclusion : A structured time use and well-bei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e were able to see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Currentl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focused on performance components, in future, intervention of personal time management to help make ones live well-being.

      • KCI등재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김환희(Hwan-Hee Kim),고병진(Byoung-Jin Goh)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 담론이 TV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한다. 정상가족 신화가 한계를 드러내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분석대상으로 한부모가족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싱글대디와 미혼모 이야기를 동시에 다룬 KBS1의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 (2015)의 서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싱글대디와 미혼모는 공통적으로 ‘결핍된 상황’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싱글대디는 어머니의 역할까지 모두 수행하는 반면, 미혼모는 어머니의 역할조차 완수하지 못하는 비대칭적 묘사가 두드러졌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서사는 결손가족과 정상가족을 대비시키고 고정된 성역할을 재생산하며, 해당 사안을 개인의 영역으로 소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묘사는 한부모가족을 변형된 정상가족신화로 편입시키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새로운 담론의 부재에서 오는 근본적인 문제인바, 중요한 것은 충돌하는 가족 담론을 재현하고 확장하는 미디어의 역할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single-parent family discourse in the TV document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ormal family myth shows limitations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ngle-parent family research based on various analysis subje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of KBS1s documentary ‘Gong-gam’ 〈Child is Happiness〉 (2015), which deals with single daddy and single moms stories at the same time. Single daddy and single mom are commonly described as overcoming the deprived situation. However, asymmetric description was outstanding in that single daddy is depicted as performing the role of mother as well whereas the single mom appears to be unable to perform even the mothers role. Also, the narrative in the documentary compares broken family with normal family and reproduces the fixed sex role, which considers the problem an individual area. Such description can be seen as a process of persuading them into a “modified normal family myth”. However, as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e absence of new discourse, the role of the media to reproduce and expand the conflicting family discourses will be important.

      • KCI등재

        한국 <반쪽이> 설화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에 관한 비교연구

        김환희 ( Hwan Hee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반쪽이> 설화를 외국의 유사 설화와 비교함으로써 한국 <반쪽이> 설화가 지니는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을 파악하는 데있다. 한국 <반쪽이> 설화의 구전민담 각편 16편을 분석하고 기존의 선행 연구를 참조해서 본 연구가 추출한 네 가지 핵심 서사 내용은 (1) 수태 과일(물고기)을 매개로 한 반쪽이의 신이한 탄생, (2) 반쪽이 형들의 괴롭힘, (3) 호랑이 퇴치, (3)부잣집 딸 보쌈과 결혼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러한 서사 내용을 지닌 한국 반쪽이 설화는 아르네-톰슨의 어느 특정 설화유형에는 부합되지 않았지만, 세 가지 설화 유형--AT327B, AT675, AT1525--과 부분적으로 비슷하였다. 특히 AT327B 유형에 속하는 세계 설화 텍스트를 다양하게 수집해서 분석해보니 한국 <반쪽이> 설화가 인도 펀자브, 이란, 팔레스타인, 북부아프리카 등에서 수집된 AT327B 유형 설화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유형의 이슬람 문화권의 설화와 한국 <반쪽이> 설화가 지니는 공통점은 수태 과일(물고기) 모티프, 악형 모티프, 식인귀(호랑이) 모티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한국 <반쪽이>설화가 보이는 특수성은 반쪽이가 괴력의 소유자로 묘사된점, 반쪽이가 색시를 훔쳐올 때 벌이는 난장판이 탈춤 또는 꼭두각시놀이의 그로테스크한 놀이 공간과 유사한 점, 그리고 반쪽이와 색시의 결혼이 중요 모티프로 부각된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rehe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Korean Halfling (half-man) tale by comparing it with its foreign counterparts.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16 orally transmitted versions of it and discovered four major common motifs inherent in them: (1) miraculous birth from vegetable or fruit, (2) conflicts between siblings, (3) killing human-eating monsters, (4) marriage by bride-theft. Focusing on these four major motifs, I have tried to put the Korean halfling tale into a global context of folk-narrative literature. The Aarne-Thompson tale typology does not correspond properly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Korean halfling tale. However, the Korean halfling tale shows some elements of AT327B (The Dwarf and the Giant), AT675 (The Lazy Boy), and AT1525 (The Master Thief). In particular, the Korean halfling tale is very similar to the AT327B tales collected from such areas as Punjab, Iran, Palestine, and North Africa. The 11 versions which have be passed down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ose Islamic areas have much in common with the oral versions of the Korean halfling tale in that they contain the motif of miraculous birth from fruit, the motif of the wicked brothers, and the motif of killing human-eating monsters. However, in its foreign counterparts, the motif of marriage by bride-theft is not common and the halfling does not kill the cannibal monster(s) by his superhuman strength but by his clever conceit. As a result of the present comparative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global universality of the Korean halfling tale can be seen in the three motifs: (1) miraculous birth from fruit, (2) the persecution of the wicked brothers (3) killing human-eating monster (ogre or tiger). The particularities of the Korean halfling tale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1) superhuman power of the Korean halfling, (2) resemblance between the Korean folk drama and the grotesque act of the halfling`s bride-theft (3) its special emphasis on the marriage of the halfling (the harmony of Yin and Y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