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돈 후안 혹은 기하학 사랑』의 희극적 의미 고찰

        김형식 ( Hyeong Shik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막스 프리쉬의 코미디 『돈 후안 혹은 기하학 사랑』의 제목은 이율배반적이다. ‘돈 후안’은 탕자로 알려져 있는데, ‘기하학 사랑’이라는 표현은이 인물에 대한 이미지 연상을 방해한다. ‘기하학 사랑’의 개념은 관능과성애에 중독된 탕자의 체험 심상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전설의 돈 후안은 숱한 여성들을 사랑의 노예로 삼지만 성애와는 무관한 기하학에 심취한 것은 아니다. 프리쉬의 『돈 후안』은 ‘지성인’이며 “기하학적 장소의 순수함, 냉철함, 정확함”을 동경한다. 1953년에 쓰인 프리쉬의 『돈 후안』은 전설적 인물의 현대적 변용이다. 돈 후안에 대한 프리쉬의 관심은 탕자의 화신인 이 인물을 단순히 조롱하거나 풍자하는 데에 있지 않다. 그의 관심은 희극 장르를 매개로 하여 이 인물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해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유의하여 돈 후안을 비롯한 작품 인물들의 표명들을 구체적으로 추적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작품 텍스트의 내용을 가능한 한 자세히 살펴서 작품의 희극적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네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1장에서는 ‘5막 코미디’의 부제를 가진 본 작품의 중요한 희극적 수단이 무엇인지 밝힌다. 2장에서는 작품의 두 가지 중요한 모티브인 ‘관능과성애의 유혹자’와 ‘범법자의 지옥행’에 관한 작가의 변용 의도를 살핀다. 3장에서는 5막으로 구성된 작품 줄거리를 주인공 돈 후안을 중심으로 하여 ‘막(Akt)’으로 나누어서 고찰한다. 4장은 앞의 1, 2, 3 장에서의 작품분석을 근거로 하여 작품의 희극적 의미를 개진한다. The title of Max Frisch’s comedy, Don Juan or the Love of Geometry (Don Juan oder Die Liebe zur Geometrie) is antinomic. As Don Juan is widely knwon as a libertine, the expression - ‘‘the love of geometry” - prevents us from drawing up the real image of the figure. The concept of ‘‘the love of geometry” does not match the image of the womanizer who is addicted to sensual pleasures and sexual love. Legendary Don Juan enslaves a lot of women, but is not fascinated by geometry that is irrelevant to sexual love. Frisch’s Don Juan is “an intellectual” and yearns for “purity, cold-headedness and preciseness” in the geometric field. Written in 1953, or the Love of Geometry seeks for the 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the legendary figure. Frisch is not only interested in merely making a sarcastic comment on or satirizing the libertine incarnate. Rather, he is more interested in seriously examining the figure through the medium of a play. This study, therefore, is aimed at figuring out the comic meaning of the drama by tracing the remarks of major figures in the drama including Don Juan and, based on that, closel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play.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four parts. Chapter One attempted to examine the most conspicuous comic apparatuses of the drama that is sub-titled “A Five Act Comedy.” Chapter Two figured out the author’s real intention of metamorphosing the two major motifs of the drama: “a seducer of sensual pleasure and sexual love” and “an outlaw going to hell.” Chapter Three, by examining each act, made close research of the main story of the five-act drama with much focus on Don Juan. Chapter Four explained the comic meaning of the drama based on discussions made in the previous three chapters.

      • KCI등재
      • KCI등재

        근력 보조가 가능한 말단 장치 형태의 보행 재활 로봇의 개발

        정준(Jung-Joon Kim),명주(Myeong-Ju Kim),곽노식(No-Sik Kwak),창휘(Chang-Hwi Kim),김형식(Hyeongsic Kim),정엽(Jung-Yup Kim)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2 No.8

        본 논문은 보행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하지 근력 보조가 가능한 보행 재활 로봇의 개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최근 상용화된 대표적인 보행 재활 로봇들의 경우 비싼 가격, 큰 부피, 고 중량, 불편한 착용 등의 단점들로부터 대중화 및 시장성에 한계를 보여왔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로부터 세 가지 전략이 적용된 새로운 보행 재활 로봇을 개발하였다. 첫째, 말단 장치의 위치 및 각도 궤적이 정상인의 발 보행 궤적과 일치하는 5절 링크 메커니즘 및 발 착지면을 최적화 설계하였다. 둘째, 두 개의 링크 메커니즘의 크랭크축을 단 하나의 기어드 모터 구동축으로 결합하여 전체 기구부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용,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였다. 셋째, 환자의 장애 정도에 따른 세 가지 보행 재활 모드를 제안하였으며, 특히, 기구부에 장착된 센서들로부터 보행 의도를 인식하고 이로부터 하지 근력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EMG센서를 통해 각 보행 재활 모드에 따른 근력 보조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lower body power assistance. Recently commercialized walking rehabilitation robots have several drawbacks such as high price, large volume, heavy weight, and uncomfortable fit; hence, they still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popularity and marketability. To resolve these issues, we developed a novel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with three strategies. First, a five-link mechanism and curved foot landing surface were optimally designed so that the position and angle trajectories of the end-effector can coincide with the foot walking trajectory of a normal person. Second, the price, weight, and volume were minimized by connecting the two link mechanisms with a shaft and driving it using a single-gear motor. Third, we proposed three walking rehabilitation modes bas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walking intention. Finally, the power assist performance of each mode was experimentally verified through EMG measurement.

      • KCI등재

        전기자동차용 OBC 일체형 1.5kW급 LDC 컨버터에 대한 연구

        김형식,전준혁,희준,안준선,Kim, Hyung-Sik,Jeon, Joon-Hyeok,Kim, Hee-Jun,Ahn, Joon-Seon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4

        PHEV(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와 BEV(Battery Electric Vehicle)는 모터 및 차량 전장 시스템의 구동을 위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를 충전시켜주는 OBC(On-Board Charger)와 고전압에서 저전압으로 전력변환을 해주는 LDC(Low DC/DC Converter)가 반드시 필요하다. OBC와 LDC는 차량에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동작 하며 개별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합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무게 및 사용 공간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논문은 LDC 트랜스포머의 설계를 단순화하여 절연형 전류원 컨버터를 사용한 OBC에 통합이 가능한 1.5kW급 LDC컨버터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LDC는 양방향 벅-부스트 컨버터의 고정된 임의의 출력 전압을 사용하여 LDC의 최종 출력 전압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OBC-LDC 통합 시스템과 비교하여 배터리 전압 사용 범위, 컨버터의 Duty Ratio 및 OBC의 출력 턴 비를 고려한 트랜스포머 설계에 대한 부분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LDC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200V ~ 400V의 입력 전압에서 정상 동작을 확인 하였으며 정격 부하 조건에서 최대 효율 91.885%를 달성 하였다. 또한 OBC-LDC통합 시스템 구축을 통해 약 6.51L의 부피를 달성 하였으며 기존 독립적인 시스템에 비해 15.6% 저감되어 공간 확보에 대한 이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HEV(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BEV(Battery Electric Vehicle) equip high voltage batteries to drive motor and vehicle electric system. Those vehicle require OBC(On-Board Charger) for charging batteries and LDC(Low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from high voltage to low voltage. Since the charger and the converter actually separate each other in electrical vehicles, there is a margin to reduce the vehicle weight and area of installation by integration two systems. This paper studies a 1.5kW LDC converter that can be integrated into an OBC using an isolated current-fed converter by simplifying the design of LDC transformers. The proposed LDC can control the final output voltage of the LDC by using a fixed arbitrary output voltage of the bidirectional buck-boost converter, so that Compared to the existing OBC-LDC integrated system, it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transformer design considering the battery voltage range, converter duty ratio and OBC output turn ratio. Prototype of the proposed LDC was made to confirm normal operation at 200V ~ 400V input voltage and maximum efficiency of 91.885% was achieved at rated load condition. In addition, the OBC-LDC integrated system achieved a volume of about 6.51L and reduced the space by 15.6% compared to the existing independent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