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대 다 vs. 일대 일의 지식 은폐 효혜성 (Reciprocity) : 작업팀 내 나의 지식 은폐가 나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김현지(Hyunjee Hannah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지식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필수 자원인 만큼 조직들은 지식 공유를 장려하고 지식 은폐를 의도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지식 은폐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지식 은폐의 선행 요인을 정의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지식 은폐가 지식 은폐자의 창의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확실하다면, 지식 은폐자는 능동적으로 지식 은폐 행위를 절제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식 은폐가 타인의 효혜성 지식 은폐로 인해 개인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팀 내 갈등 관계가 이 매개 관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는 지식 은폐 효혜성을 일대일 대등 관계에서만 설명하였는데, 실제 작업팀에서 발생하는 지식 은폐 효혜성은 일대 다의 복잡한 관계에서 이루어지기에 재조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인 미국 내 1,002명의 온라인 실험자를 대상으로 일대 다의 관계에 있는 작업팀에서 개인의 지식 은폐가 일대 일의 관계보다 더 약한 지식 은폐 효혜성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두 번째 연구인 국내 47명의 팀 리더와 156명의 팀 멤버를 대상으로한 현장 설문조사에서는 지식 은폐 효혜성은 일대 다에서도 개인의 지식은폐와 창의성간 관계에 핵심적인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는데, 이는 기존에 존재하는 팀 내 상호작용 관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팀 구성원이 상호연결 되어있을 경우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과업 및 관계 갈등이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 은폐와 창의성 문헌에 이론적 기여를 어떻게 하는지, 또한 팀 리더들에 대해 실무적 기여를 어떻게 하는 지를 논의하였다. As knowledge is an essential resource for creativity, organizations are keen to reduce intentional knowledge hiding among team members.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defining the antecedents of knowledge hiding in order to reduce knowledge hiding. However, if a focal member’s knowledge hiding significantly impedes his/her creativity, then that member could proactively restrain him/herself from hiding knowledge.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a focal member’s knowledge hiding on creativity via other team member knowledge hiding reciprocation and examines how task/relationship conflicts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While previous research examined reciprocity in dyadic relationships, this study examines reciprocity in work teams with one-to-many relationships, which we call generalized reciprocity. Two studies were conducted. Study 1 was an online experiment with 1,002 participants in the US and Study 2 was a field survey with 156 members from 47 team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reciprocity in one-to-many relationships reveals much more complexity. In a controlled environment (Study 1), knowledge hiding had a less significant effect on generalized reciprocation than in dyadic reciprocation because the target of the knowledge hiding and the effect of the violation were less clear. However, in actual intact work teams (Study 2), reciproc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nowledge hiding because of the influence of ongoing, previous interactions.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a common experience where team members are interconnected,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knowledge hiding and creativity literature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m lead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작업팀의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 부여가 효과적 혁신실행에 미치는 영향 : 자원 활용의 매개효과 및 팀 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지(Hyunjee Hannah Kim) 한국인사관리학회 202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4 No.4

        To succeed in innovation in organizations, work teams are becoming a critical unit for innovation implementation. Since innovation goes beyond the daily, routinized tasks and produces new products, services, or processes, team motivation that could lead a handful of efforts is essential for teams to implement innovation effectively. Team motivation has been studied much as an antecedent for innovative idea generation but has been limitedly studied for innovative idea implementation. Given that different stages in the innovation process have varying characteristics and require different capabilities, it is not clear whether an antecedent that was effective at the idea generation phase will also hold at the implementation phase.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nnovation implementation phase and examines how the team’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re associated with successful innovation implementation via resource utilization behavior. Besides, it examines how team contexts such as innovation incentives and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 for team innovation could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ith surveying 84 teams of 16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found that similar to previous research on the idea generation, teams with intrinsic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innova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while extrinsic motivation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all mediated by resource utilization behavior. However,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on idea generation where innovation incentives moderated intrinsic motivation-idea generation relationship, this study on idea implementation showed that innovation incentives did not interact with intrinsic motivation, but only with exter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 for team innovation only interac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expands team innovation implementation research by adding the importance of team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ther than team organization, team context, and team leadership. Besid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innovation while breaking down innovation into sub-phases. 작업팀은 조직 혁신 실행의 중요한 단위로서 작업팀 수준에서 효과적 혁신 실행을 이루는 것은 조직 혁신 달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혁신은 기존에 해오던 일상 업무에서 벗어나 새로운 제품,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프로세스로 업무를 실행하여야 하기에 팀원들의 상당한 수준의 공동의 노력이 요구 되므로, 이러한 행위를 이끌기 위한 동기부여가 중요하다. 그런데 팀의 동기부여는 주로 혁신 아이디어 개발 단계에서만 선행 요인으로 연구되어졌고, 혁신 실행 단계는 실증 분석 된 것이 제한적이다. 혁신 은 세부 단계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갖고 요구되는 역량이 다르기에, 개발 단계에 영향을 준 팀의 동기 부여가 팀의 실행 단계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줄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의 세부 단계 중 혁신 실행 단계에 초점을 갖고 팀의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부여가 효과적 혁신 실행에 어떠한 관계 를 갖는지를 자원 활용이란 행위를 메커니즘으로 규명하였다. 또 더 나아가, 내재적 혁신 지원 팀 기후 와 외재적 혁신 관련 보상과 같은 팀의 환경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국내 16개 회사 84개 팀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혁신 아이디어 개발 단계처럼 내재적인 동기부여를 가진 팀이 외재적인 동기부여를 가진 팀보다 효과적 혁신 실행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자원 활용이 이러 한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외재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부여와 상호작용하며 혁신 아이디어 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과 달리, 혁신 실행 단계에서는 팀이 내재적인 동기부여를 갖고 있을 경우 내재적 혁신 지원 팀 기후만이 혁신 실행 효과성과의 긍정적 관계를 강화하고, 외재적 동기부여를 가진 팀은 외재적 혁신 관련 보상만이 혁신 실행 효과성과의 부정적 관계를 약화시켰다. 본 연구는 팀의 구조적, 환경적 측면 및 리더십 중심의 기존 팀 수준 혁신연구를 확장하여, 팀의 심리 학적 특성이 효과적 혁신 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혁신 연구 시 혁신의 세부 단계로 구분하여 선행 요인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고취 시킨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의 국가 간 비교

        송인한(In Han Song),권세원(Se Won Kwon),김정수(Jung-Soo Kim),유정원(Jung-Won You),박장호(Jang Ho Park),김리자(Lija Kim),김우식(Woosik Kim),김현지(Hyunjee Kim),김현진(Jeniffer Hyunjin Kim),김지은(Ji Eun Kim),안상민(Sangmin A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자살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은 국가적 자살예방대책의 핵심사업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살예방 국가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되는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스코틀랜드·호주의 5개국과 우리나라의 캠페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미국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보건커뮤니케이션 캠페인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각국의 캠페인을 (1) 목표의 명확성, (2) 표적화 전략의 적절성, (3) 메시지 전략의 적합성, (4) 이행의 효율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외 캠페인들의 공통적 요소로 (1) 분명한 목표가 포함된 캠페인 명칭, (2) 사회 맥락을 고려한 캠페인 대상의 표적화, (3)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포함한 슬로건, (4)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 협력이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캠페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 체계를 갖추고, 구체적인 대상에게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대중적인 매체를 활용하고, 민간 및 지방조직과의 유기적 협력을 강화하며, 체계적인 효과성 평가를 병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Public awareness campaign is the core factor of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Korea’s current campaign needs to be more systematically developed.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level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of New Zealand, USA, Ireland, Scotland, and Australia whose campaigns were known to be successful,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Korea. With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Guideline for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by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e examined the campaigns from the dimensions of (1) clarity of goals, (2) appropriacy of targeting strategies, (3) suitability of messaging strategies, and (4) efficiency of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effective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have the following common factors: (1) campaign appellations which include clear goals, (2) targeting at risk groups considering social contexts, (3) slogans which contains specific action guidelines, and (4) close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On this basis, future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media campaigns in Korea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안개 D형 저지원을 갖는 MLS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의 분포와 내성 기전

        윤은정(Eun-Jeong Yoon),김현지(Hyunjee Kim),권애란(Ae-Ran Kwon),최성숙(Sung-Sook Choi),심미자(Mi-Ja Shim),최응칠(Eung-Chil Choi) 대한약학회 2006 약학회지 Vol.50 No.3

        A new type of macrolides, lincosamides and streptogramin B antibiotics (MLS) resistance, showing the characteristic phenotype growing within the inhibition zone area around the clindamycin disk, was identified among clinically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We named the phenotype as MLS resistance with foggy-D shape (fMLS). The average frequency of fMLS isolates was 9%. All of fMLS isolates have only erm(A) for the resistance determinant. The growth pat- tern of the challenged fMLS isolate looks intermediate phase between the patterns of inducible MLS resistance and constitutive MLS resistance.

      • KCI등재

        Human Rights Management through AI-Powered Digital Accessibility : Case Study of Microsoft Utilizing the ser-M Model

        김정현(Jung Hyun Kim),Sandro Saitta,김현지(Hyunjee Hannah Kim)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4 창조와 혁신 Vol.17 No.1

        이 연구는 디지털 접근성을 통해 인권의 발전에 AI가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마이크로소프트가 AI기술을 디지털 접근성에 전략적으로 적용한 인권경영의 사례를 다루고 있다. 인간의 다양한 생활반경에서 디지털플랫폼이 필수 불가결한 현시대에 디지털플랫폼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는 것은 인간의 접근권과 인권에 있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ser-M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의 AI기반의 디지털 접근성을 채택한 샤티아나델라의 리더쉽에 따른 인권경영의 효과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기업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복잡한 규제위험을 완화하고 투자자 관심을 확보하는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며, 특히 CEO 사티아나델라의 공감적이고 포용적인 리더쉽이 Covid-19 이후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기업사회적 책임과 경쟁우위를 이끌어내는 매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마이크로소프트의 AI기반의 디지털 접근성과 접근권에 따른 인권에 대한 이론 실무적인 통찰을 제공하며, 디지털환경에서 인권경영을 더 넓은 의미를 확장하면서, 기업, 정부의 정책입안자, 다양한 사회구성원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w AI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human rights through digital accessibility, focusing on Microsoft's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in human rights management with a strategic approach to digital accessibility. In an era where digital platforms are indispensable in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ensuring equitable access to these platforms is essential for the protection of access rights and human rights. Applying the ser-M analytic model,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Microsoft's AI-based digital accessibility under the leadership of Satya Nadella. It identifies a strategic direction that mitigates complex regulatory risks in the global market and secures investor interest. The study emphasizes the vital role of effective leadership, particularly highlighting CEO Satya Nadella's empathetic and inclusive leadership in bridging the digital divide post-Covid-19, and driv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petitive advantage. This paper provid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nsights into Microsoft's AI-based digital accessibility and its impact on human rights and access rights, extending the broader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management in the digital environment. It offers new perspectives for businesses, policymakers, and various stakeholders in society.

      • 살아있는 기억 : 뉴미디어

        김현지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2 陶藝硏究 Vol.- No.31

        본 연구는 뉴미디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은 우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작업을 서술한 논고이다. 정보의 전달을 중시했던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뉴미디어는 매개의 시스템과 연결성 그 자체를 중시한다. 이에 따라 뉴미디어를 통한 무한한 정보의 공유 및 확산과 연결이 가능해지면서, 뉴미디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재배열된 정보 즉, 우리의 기억은 살아 있는 것과 같이 느껴진다. 이때, 우리는 뉴미디어의 광범위한 영향력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압도되고 때로는 저항감을 느낀다. 연구자 또한 뉴미디어에 대한 불안감과 기대와 같은 양가적 감정을 느꼈고, 우리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뉴미디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뉴미디어 시대에 가상 시스템들이 주목 받음에 따라 모든 것이 비 물질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면서 물질적 작업의 당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뉴미디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것을 넘어서서 우리가 스스로 사회의 구성원임을 확인하고, 우리의 사회화를 돕는 사회적 장치이다. 한편, 뉴미디어는 우리 삶의 유동적이고 연속적인 정보들을 수적 재현과 모듈성이라는 뉴미디어의 원리에 따라 디지털 단위로 환원시킨다. 이때, 우리의 실제적 삶과 사고 또한 단순화되고 유형화될 위험이 있다. 단순화되고 유형화된 사고는 다시 수동이고 무비판적인 미디어 사용을 초래하는데, 이는 우리 삶의 가능성을 축소시킬 위험이 있다. 뉴미디어를 통해 우리 삶의 모든 정보들이 유형화되고 디지털화될 때, 예술 또한 그 입지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동시대에는 시각적으로 존재하지 않아도 어떠한 가상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예술의 형태로 인정되기도 한다. 또한, 매체의 물성을 활용하여 감각에 충격을 줌으로써 우리의 감각을 재구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감각과 관련된 데이터를 물리적 흔적으로 남김으로써 감각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감각 경험을 보존하고 공유하는 뉴미디어 시대 예술의 역할에 따라, 연구자는 점토를 활용하여 뉴미디어에 대한 연구자의 감정을 시각화하였다. 점토는 작업 단계에 따라 그 물성이 변화하고, 이는 타 매체에 비해 풍부한 감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작용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점토의 특성을 활용하여 연구 초반에는 경계심, 우려, 기대와 같은 뉴미디어에 대한 양가적 감정을 표현하였고,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뉴미디어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뉴미디어에 대한 부정적 관점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뉴미디어를 바라보게 되었다. 결국 본 논고는 새로운 미디어에 적합한 시각과 감각을 얻는 과정이다. This study is a thesis that describes work based on research on what new media is and how it affects us. Unlike former media that emphasized the delivery of information, new media values the connection itself of the media system.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and connect infinit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rearrange information through new media. That is, our memories feels as if they are alive. Therefore, we are overwhelmed by the wide influence of new media and vast amounts of data and sometimes feel resistant. The researcher also felt ambivalent feelings such as anxiety and expectations towards new media. And thought that we need a new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new media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In addition, in the new media era, as virtual systems got evolved, everything can be de-materialized. So the justification for material work should be justified. New media not only delivers and stores information, but also confirms that we are a member of society and helps us socialize. Meanwhile, new media transforms continuous information in our lives to digital uni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ew media which is numerical and modularized. At this time, there is a risk that our actual lives and thoughts will also be simplified and categorized. However, simplified and categorized thinking leads us to passive and uncritical use of media. When all the information in our lives is categorized and digitized through new media, art also needs to reorganize its position. In this time, artworks that don’t exist visually recognized as a new form of art just by presenting the virtual system. Also, we can induce reconstruction of our senses by using the physical material to impact the senses. And it can also evoke nostalgia for the senses by leaving physical traces on the surface of the artwork.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role of art in the new media era in preserving and sharing sensory experiences, this thesis contains visualized feelings about new media using clay. The property of matter in clay changes according to the working stage, which acts a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bundant sensory experience than other media. Through these features of clay, at first, researcher expressed ambivalent feelings about new media such as vigilance, concern, and expectation, and as the study progressed, expressed an objective view of new media. As a result, researcher came to look at new media objectively, away from the negative perspective on new media. In the end, this paper is the process of obtaining a view and sense suitable for new media.

      • 남자 대학생의 응급 피임약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사용의도와 안전한 성행위 의도간의 상관관계

        김승지,김현지,문서영,박지수,신예라,이원정,이하진,정새림,정유진,최현지,강숙정,길민지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7 이화간호학회지 Vol.- No.51

        Purpose: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toward emergency contraceptive pills and their intention of safer sexual behavior. Method: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between October 4th to October 9th, 2016.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6 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aged 19 to 29 years old. The descriptive and correlation statistic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Result: The study has established that only 31.9% of the participants have received the emergency contraceptive pill education. The sexual experience, usage of E (Emergency Contraceptives), use of contraception in the future, intentions of using EC, EC education experience and monthly allowance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Furthermore, relationship status, EC recommendation and EC education experience were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EC.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reinforce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E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