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초등학교 전이시기 학업수행능력의 종단적 발달경로: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김윤희 ( Kim Yunhee ),구자연 ( Koo Ja Yeun ),김현경 ( Kim Hyoun 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만 7세 때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과 만 6세 때 학교준비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아동 2,128명(여아 1,046명)과 아동의 어머니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중 어머니 및 교사에 의해 평정된 만 0세부터 만 7세까지의 1-8차년도(2008-2015년) 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모형은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과 만 6세 때 학교준비도는 만 7세 때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은 만 6세 때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으로 각각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만 7세 때 아동의 학업수행능력간의 관계에서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과 만 6세 때 아동의 학교준비도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긍정적인 초등학교 전이를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mothers’ parenting stress in early childhood (age 4) influenc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ge 7) through home environment (age 5) and school readiness (age 6).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taken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across Waves 1 through 8 (from 2008 to 2015).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others’ reports on parenting stress and home environment and teachers’ reports on 2,128 children’s (girls, n=1,046)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used. Results from the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rect effects of children’s positive home environment at age 5 and school readiness at age 6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t age 7 were significant, although mothers’ parenting stress at age 4 did not show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mothers’ parenting stress at age 4 was negatively and home environment at age 5 wa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t age 6. Additionally, mothers’ parenting stress negatively influenced home environment. Further, mothers’ parenting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positive home environment and high levels of school readiness. Thes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zed dual mediation model,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positive home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for children’s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 that targeting to reduc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ly to promote positive home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via intervention programs can be an effective way to facilitat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is transitional period.

      • KCI등재

        과도기적 간병인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연구 - 이해관계자 중심의 접근 -

        김진형 ( Kim¸ Jin Hyoung ),조진실 ( Jo¸ Jinsil ),정다빈 ( Jeong¸ Dabin ),김현경 ( Kim¸ Hyoun K ),백준상 ( Baek¸ Joon Sang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6

        한국 사회의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간병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지만 현재의 간병 서비스는 환자와 간병인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환자-간병인 사이의 이해 관계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온라인 매칭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온라인 매칭 서비스는 환자와 간병인의 상호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간병인을 중심으로 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디자인 콘셉트 평가, 본 연구의 온라인 매칭 서비스는 환자와 보호자, 간병인 간의 상호 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추후 개선 과제로 간병인 정보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애플리케이션 사용 편리성 증대가 언급되었다. 본 연구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사회문제를 다루는 디자인 문제 해결적 사례로써 고령 환자 간병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Korean society is increasing rapidly, the current nursing service has failed to satisfy all stakeholders, including patients, guardians and caregiver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patient-care online matching servi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Online matching services meet the needs of stakeholders centered on caregivers by ensuring mutual options for patients and caregivers. The assessment of the design concept through stakeholder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online matching service contributed to create a culture of mutual respect among patients, guardians, caregivers and nurses. However noted that the reliability of caregiver information should be ensured and the ease of use of the application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to highlighting institutional blind spots and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stakeholders surrounding nursing care for elderly patients as a design case dealing with social issues with complex interests of caregiving system.

      • KCI우수등재

        아버지 양육행동이 학령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김재희(Jaehee Kim),김현경(Hyoun K. Kim),이희선(Heesun Lee)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3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fathering on school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ould be moderated by fathers’ and mothers’ own effortful control. Methods: The sample included 371 fourth grade children (47% boys) and their parents. Father’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parents’ own effortful control an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 SPSS 18.0. Results: Parents’ effortful control appeared to moderate the effect of fathering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More specifically, parents’ high levels of effortful control increased the effects of positive fathering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Conclusion: Findings indicated that parents’ effortful control tended to increase the effects of positive fathering (and lower the effects of negative fathering). This supports the importance of parents’ effortful control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children’s effortful control.

      • KCI등재

        부모의 놀이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수예(Sooye Kim),김현경(Hyoun K.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 s playfulness on children s ego-resiliency.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36 young children aged 3 to 5,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 19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bivariate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level of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children s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tended to be high in the present sample. Second,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 s active participation in play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ego-resiliency. Third,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no moder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children s playfulness on their ego-resili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 s playfulnes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 s ego-resiliency.

      • KCI우수등재

        초기 청소년의 의도적 통제가 학업성적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김재희(Jae hee Kim),김현경(Hyoun K. Kim)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5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early adolescents’ effortful control influenced academic competence and behavioral problems 2 years lat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kills. Additionally, gender differences in thes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Methods: A community sample of 397 fourth graders (213 girls, M = 10.43 year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followed for 2 years (M = 12.38 years). Effortful control, social skills, academic performance, and problem behaviors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EM using Mplus 7.4. Results: Findings indicated that effortful 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positive social skills, which in turn led to positive adjustment outcomes 2 years later.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Boys’ effortful control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externalizing symptoms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positive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enhanced social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s of effortful control on academic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for girls. Instead, their effortful control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of lower level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mediated via high levels of social skills.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inform future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gender-specific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facilitate healthy development among Korean youth.

      • KCI등재

        유아의 초등학교 준비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구자연(Koo, Ja Yeun),김현경(Kim, Hyoun. 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이시기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관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논문 40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내용 및 연구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학교준비도 관련 연구는 2010년을 기점으로 양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2017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은 일반 유아에 집중되었으며, 부모와 유아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은 양적연구 중 조사연구가 많았으며, 실험연구, 질적연구 및 문헌연구는 부족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은 학교준비도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준비도에 대한 연구변인은 가족 관련 변인이 많았으며, 유아의 내적 특성 중 인지 영역 관련 변인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전이시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 to examine Korean research trends in children’s school readiness during their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Forty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o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2000 to 2017 were selected for analysis on the trends of research time period,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gradually since 2000 and reached its peak in 2017.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mostly included children. Third, studies mostly used quantitative approaches using questionnaires while lacking in experimental, qualitative, and literature research. Fourth, the common focus of the studies was on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personal/social contexts while there was less focus 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Fifth, most studies focused on within-family variables (e.g., parenting and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while there was less focus on variable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perspective for further research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during their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 KCI등재

        근거기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국내·외 사례 고찰과 발달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지원 ( Lee Jiwon ),우현경 ( Woo Hyun-Kyung ),김현경 ( Kim Hyoun 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초등 전이 시기는 아동이 발달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학교준비가 학교적응과 성취에 종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학교준비가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지 못하고, 근거기반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의 근거기반실천(evidence-based practice)과 발달적 관점을 소개한 뒤, 이와 관련해 국내 근거기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을 위한 제언을 연구의 주요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공공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2개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과 학술지에 게재된 3개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하고, 3개의 국외 근거기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Head Start Research-based, Developmentally Informed[Head Start REDI], Kids in Transition to School[KITS], 그리고 Home Instruction for Parents of Preschool Youngsters[HIPPY]을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1) 학교준비도 개념의 확장 2) 이론에 근거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및 운영, 보급 단계를 고려한 중개연구의 필요성, 3) 발달적 관점을 적용한 효과적 개입 대상, 방식, 시기에 대한 논의 등 3가지 제언점을 도출, 논의하였다. The transition-to-school period is when the children experience a great deal of development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t is well established that school readiness in this perio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chool adjustment concurrently and longitudinally. However, research on school readiness in Korea failed to recognize its multidimensional components, including early literacy and numeracy,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vidence-based programs in interventions for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vidence-based school readiness programs in Korea. First, we introduced several notions of evidence-based practices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translational research. Next, we reviewed two school readiness programs implemented in public institutions and three program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in Korea. Last, we discussed three evidence-based school readiness programs that were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Head Start Research-based, Developmentally Informed (REDI), Kids in Transition to Schools (KITS), and HIPPY (Home Instruction for Parents of Schools). In conclusion, ths study offered three suggestions that could help promote the evidence-based practices in the field of school readiness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모바일 상담 서비스 디자인 연구

        이동미(Dongmee Lee),이지혜(Ji Hye Lee),김현경(Hyoun K. Kim),백준상(Joon 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를 돕고 심리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모바일 상담 서비스를 제안한다. 성인 초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급격한 심리사회적 변화를 겪고 학업과 대인관계, 진로 등에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는 불안과 우울 등 정서적 어려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개입방안이 요구된다. 기존의 학생상담센터는 시공간적 제약이 있고 임상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부터 시급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점에서 대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다루는 데에 접근성의 어려움이 존재하는데, 높은 접근성을 지닌 모바일 상담서비스가 기존 상담센터의 제한점을 보완할 대안적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사를 통해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담 서비스와 관련한 니즈(needs)를 분석하여, 대학생을 위한 맞춤형 모바일 상담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당 서비스 디자인은 대학 내 자원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스트레스관리를 도모하고 심리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센터 중심 접근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