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기간 소음제거를 위한 IGC Algorithm의 LabVIEW FPGA 구현

        김춘식,이채욱,Kim, Chun-Sik,Lee, Chae-Wook 한국통신학회 201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6 No.3C

        LMS알고리즘은 강인성, 높은 추성, 구현의 단순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비균일적 수렴과 EMSE사이에 trade-off를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변 스텝 사이즈 알고리즘 방식이 사용되는데,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IGC 알고리즘은 원 신호와 잡음신호의 순시이득값을 사용함으로서, 계산량을 줄이고, 주위 환경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IGC 알고리즘에서 log함수를 제거하여, 실제로 자동차 소음제거기에 적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Labview FPGA 구현을 하여, 기존의 다른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효율적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The LMS(Least Mean Square) algorithm is generally used because of tenacity, high mating spots and simplicity of realization. But the LMS algorithm has trade-off between nonuniform collect and EMSE(Excess Mean Square Error). To overcome this weakness, variable step size is used widely but it needs a lot of calculation load. In this paper we consider new algorithm, which can reduce calculations and adapt in case of environment changes, uses original signal and noise signal of IGC(Instantaneous Gain Control). For the real time processing of IGC algorithm, we remove the logarithmic function.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to adaptive noise canceller in automobile. We show implemented LabVIEW FPGA system of IGC algorithm is more efficient than others.

      • KCI등재

        Annual Variation of Soil CO<sub>2</sub> Efflux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the Geumsan (M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김춘식,이임균,임종환,박병배,천정화,Kim, Choonsig,Lee, Im Kyun,Lim, Jong Hwan,Park, Byung Bae,Chun, Jung Hwa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3

        산림생태계 토양 호흡량은 지구탄소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금산 장기생태 연구 조사지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4년 동안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 변동을 조사하였다. 금산 장기생태 연구 조사지 월별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토양온도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토양수분함량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P > 0.05). 동절기(1월과 2월, 2007년의 경우 1월부터 3월)를 제외한 평균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2008년 0.32 g $CO_2\;m^{-2}h^{-1}$, 2009년 0.40g $CO_2\;m^{-2}h^{-1}$, 2007년 0.41g $CO_2\;m^{-2}h^{-1}$, 2010년 0.54 g $CO_2\;m^{-2}h^{-1}$ 순이었으며, 2008년의 연 평균토양온도는 $12.0^{\circ}C$로 다른 연도의 토양 온도 $13.0-13.5^{\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토양 20cm 깊이의 토양온도는 지수함수 관계가 있었으며 ($R^2$ = 0.31-0.75, P < 0.05), 토양수분함량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유의적인 관계가 없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금산장기생태연구 조사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 변동은 토양수분보다는 토양온도 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Soil respiration in forest ecosystems play an important role in global carbon cyc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nnual variation of soil $CO_2$ efflux for 4 years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the Geumsan (M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GLTER) site in Southern Korea. The soil $CO_2$ efflux in the GLTER site showed annual variations with the fluctuations of annual mean soil temperature, but not with those of soil water content. The annual mean soil $CO_2$ efflux except for winter season was 0.32 g $CO_2\;m^{-2}h^{-1}$ for 2008, 0.40 g $CO_2\;m^{-2}h^{-1}$ for 2009, 0.41 g $CO_2\;m^{-2}h^{-1}$ for 2007, and 0.54 g $CO_2\;m^{-2}h^{-1}$ for 2010. The lowest soil $CO_2$ effluxin 2008 was associated with the lowest soil temperature ($2.0^{\circ}C$)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ther years ($13.0-13.5^{\circ}C$). The exponential relationships between monthly soil $CO_2$ efflux and the corresponding soil temperature at the soil depth of 20 cm were significant ($R^2$ = 0.31-0.75, P < 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nual variation of soil $CO_2$ efflux was attributed to the variations of soil temperature rather than soil water content in the GLTER sit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시 혹은 근대시와 조선시의 정체성 ― 황석우ㆍ현철 사이의 논쟁을 중심으로

        김춘식 ( Kim Chun-sik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5 한국문학연구 Vol.0 No.28

        1920년 『개벽』에 황석우가 월평을 쓰면서 시작된 황석우ㆍ현철 사이의 논쟁은, 현진건의 「희생화」에 대한 황석우의 혹평이 현철을 자극하여, 종국에는 논의의 초점이 두 사람 사이의 감정싸움으로 심하게 변질된 것으로 당시 문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야기되었다. 그러나 현철과 친척 관계에 있는 현진건에 대한 황석우의 비판은 실제로 이 논쟁의 과정 중에서 전혀 중요한 논점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다는 점에서 항간의 이러한 구설(口舌)은 실제로 현철과 현진건의 관계에서 유추된 루머에 불과한 것이다. 오히려, 이 두 사람의 논쟁에는 1920년대 초반에 있었던 어떤 논쟁보다도 근대시의 개념과 장르적 특징, 민족시 등의 다양한 논점을 비교적 심도 있게 이론적으로 모색한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문학사 연구에서 현철과 황석우의 논쟁은 그 이론적 논의나 비평사적 의의가 거의 간과된 채 일종의 문학사적 초기 현상에 해당되는 인신공격과 초점이 빗나간 인상비판, 현학적, 의도적 오독 등이 난무한 수준 미달의 초기 문단적 해프닝으로 여겨져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지금까지의 평가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논쟁 중에 드러난 황석우, 현철의 비평적 수사가 지나치게 사적이고 정제되지 않은 어법, 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그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의식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논쟁의 형태는 미숙함을 넘어서 실제로 수준 미달의 비평적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비평적 글쓰기의 미숙함은 근대문학 초기 비평의 한계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롭게 제기될수 있는 비평적 과제에 대한 문제의식이 자연스럽게 돌출된 결과이다. 따라서 이 논쟁은 표면적으로는 현철과 황석우 간의 감정싸움으로 보이지만, 그 내막에는 민족시의 개념과 신시의 정체성 문제가 중요한 논점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논쟁은 상징주의자인 황석우의 서구 지향적 데카당 취향과 현철의 문화론적 민족주의의 상반된 시각이 충돌하면서 빚어진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현철이 쓴 장문의 글 『批評을 알고 批評을 하라』는 이 점에서 신시의 정의에 대해 당시로서는 보기 드물게 치밀하고 이론적인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1920~1921년 사이에 이루어진 이러한 논의는 이후 최남선의 ‘시조부흥론’, 김억의 ‘민요 중심의 조선시 구상’, 주요한의 ‘조선시 주장’ 등으로 이어지면서 국민문학파를 중심으로 한 ‘조선시, 국민문학’ 개념의 정립으로 발전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요한다. 황석우, 현철 간의 논쟁에서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이러한 신시에 대한 초기의 이론적 모색과 현철의 글에 나타난 신시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서양시와 신시의 차이를 묻는 현철의 질문은 새롭게 건설해야할 민족시의 정체성과 장르적 특성, 그리고 전통적인 시가와 현대시의 연속성 문제 등이 포괄적으로 담겨 있다는 점에서 초기 시단의 문제적 지점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This treatise treat on argument between Whang Seokwoo and Hyeon Cheol from 1920 to 1921. In that time, many people who was in literary society said This argument was changed to something like a struggle caused of uneasy feeling of them. However, this argument has more important meaning at the point of that the idea of modern poetry and the particular of genre, national poetry etc. were groped theoretically through the argument than any other arguments in that time. Though, until now, it is supposed something like a happening in early literary society, in which wrong impressive critic, intended misreading were full with passing over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meaning of critical history in that argument. Even though in that estimate are some reasons, the biggest reason is private discourse which they showed through the argument. They suggest some important issues but their critical writing showed a kind of immature critical skill in their writing. However, in other side, this argument has very important issue such as the idea of national poetry and the identity of new Korean poetry in 1920s. At the result, This argument broke out from conflicting Whang's decadence, which is declined to the west culture, with Hyeon's Cultural nationalism. Especially, The point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is the suggesting issue, by Hyeon Cheol, about the identity of new poetry. The issue of Hyeon asking about difference of new Korean poetry(Korean modern poetry) from west poetry have pointed exactly to problematic spot in this meaning that have been including generally some problems as identity and particular of genre on national poetry, sequence of traditional poetry and modern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