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전연소합성법에 의한 ZrB<sub>2</sub> 세라믹분말합성 및 NaCl의 영향

        김진성,원창환,Kim, Jinsung,Nersisyan, Hayk,Won, Changwhan 한국재료학회 2014 한국재료학회지 Vol.24 No.5

        Zirconium boride is an artificial or which is rarely found in the nature. $ZrB_2$ is popular in the hard material industry because it has a high melting poin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stability. There are two known methods to synthesize $ZrB_2$. The first involves direct reaction between Zr and B, and the second is by reduction of the metal halogen. However, these two methods are known to be unsuitable for mass production. SHS(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is an efficient and economic method for synthesizing hard materials because it uses exothermic reactions. In this study, $ZrB_2$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by subjecting $ZrO_2$, Mg and $B_2O_3$ to SHS. Because of the high combustion temperature and rapid combus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toichiometric ratio of $ZrO_2$, Mg and $B_2O_3$; single phase $ZrB_2$ was not synthesized. In order to solve the temperature problem, Mg and NaCl additives were investigated as diluents. From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both diluents effectively stabilized the reaction and combustion regime. The final product, made under optimum conditions, was single-phase $ZrB_2$ of $0.1-0.9{\mu}m$ particle size.

      • KCI등재
      • KCI등재
      • 비대칭 모자형 사각관의 정적 및 동적 압궤실험을 통한 충돌성능 평가

        김진성(Jinsung Kim),임지호(Jiho Lim),허훈(Hoon Huh),김종섭(Jongseub Kim),정태현(Taehyun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axial crush of channeled members is important in estimation of the energy absorption during the car frontal crash. In order to improve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the velocity deceleration factor of an auto-body, the front-side members are mounted at the side of the engine room and made undergo the axial crush at the beginning of the car crash. There have been so many studies about square or rectangular boxes and hat-type specimens for the axial crush both experimentally and analytically while there are few studies about asymmetric hat¬type specimens that are used for designated deformation. The axial crush of asymmetric hat-type specimens is, however, difficult to describe analytically with the kinematic crush mechanism. In this paper, asymmetric hat-type specimens are fabricated by spot welding or laser welding with different spacing between two welded spots. The specimens are then deformed for the axial crush at the various crush velocity.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specimens are not deformed in a consistent manner, but arbitrarily. In this type of axial crush, the length of the flange region is an important parameter as well as the spacing between welded spots. Experimental results also show the difference in the crush mode between the spot-welded specimens and the laser-welded ones. The difference in the first peak and average load is also demonstrated as well as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 하중 조건의 미세한 변화에 따른 비대칭 모자형 사각관의 붕괴 거동

        김진성(Jinsung Kim),임지호(Jiho Lim),허훈(Hoon Huh),김종섭(Jongseub Kim),정태현(Taehyun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Hat-type rectangular tube is a common structural member of an auto body, usually a front side member. The front side member is an important part in absorbing the crash energy of frontal car crash. In frontal car crash the front side member should absorb the crash energy as much a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passenger room. The front side member usually has a so-called hat shaped cross-section which is known to show better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than the square tube with same cross sectional area. Crash worthiness of the front side member is studied with hat-type specimens that are idealized shape of the front side member. In this research, asymmetric hat-type specimens were studied. Static and dynamic crush tests were performed with five types' of asymmetric hat-type specimen. The collapse modes show very arbitrary collapse profile even if the final energy absorptions are not so much dispersed.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analysis of asymmetric hat-type specimen was performed with the small error of loading condition, describing errors in specimen specification, loading angle and experimental process. Slight error in the loading angle was considered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asymmetric hat-type specimen. The result of finite element analysis shows arbitrary collapse mode also. And this result is suggestive in estimating the efficiency of crash energy absorption during the car crash.

      • KCI등재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한 체험 학습 개발과 3D 프린팅 활용 연구

        김진성 ( Kim Jin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되는 7~11세 아동의 인지 발달을 돕는 만들기 체험 학습의 기획과 그 운영을 위한 3D 프린팅의 활용이다. 이를 위해 피아제의 구성주의 학습, 인지발달 단계에 대해 고찰하여 프로그램 기획에 반영했고, 실제 체험 학습에 운영될 교육용 완구를 유연하게 소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적인 3D 프린팅 방법을 도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디지털 체험, 만들기 체험, 융합체험을 핵심 요소로 구성되었고,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만들기 교구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AR과 더불어 세 영역을 견인할 수 있는 교육 매체로서 기획되었다. 개발 중인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아동을 대상으로 모의 체험 학습을 실시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고 프로그램을 보완하였으며, 2017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시기간동안 정규 체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고, 교원 체험스쿨 프로그램으로 도입되었으며, 여러 지역에서 정규 체험학습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체험학습과 이의 운영을 위한 3D 프린팅 활용의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이 체험 학습 현장에서 3D 프린터로 제작된 교구를 통한 새로운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developing a program of a learning by doing to enhance cognitive development of 7 to 11 years old children, who are belong to concrete operational stage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and applying 3D printing for running the program. The study of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Piaget was applied to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the effective method of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educational toy by 3D printing. There were three key factors, which were digital experience, making experience, blended experience and it was planned 3D printed teaching material for making, mobile application and augmented reality as driving educational methods in those three area.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test group of children to verify and modify in the middle of development and then it was executed at the 2017 Gwangju Design Biennale and Kyo-won school in 2018 for the formal experience program, and now there are regular programs in various a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 possibility of the program and application of 3D printing on teaching material for making and that it has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value as a new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n the domain of learning by doing programs.

      • 2015년 가뭄에 따른 강화도 지하수위 변동 특성 분석

        김진성 ( Jinsung Kim ),안중기 ( Junggi An ),송성호 ( Sung-h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의 해안지역에서는 지하수 개발이 증가하면서 담수고갈과 해수침투 현상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도서·해안지역 농어촌 지하수에 대한 해수침투 관측망을 설치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농작물의 염해 피해 예방 및 합리적인 지하수 개발·이용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해수침투 관측망은 1998년부터 시작하여 2014년 12월 현재 육지부에 145개소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며, 2021년까지 총 388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각 관측소에서는 관정 내에 센서를 설치하여 지하수 수위, 수온, 전기전도도를 1회/시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관측자료 중 금년에 가뭄이 극심하였던 강화군 숭뇌지구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강화도의 총 면적 411㎢ 중 간척지 면적은 총 면적의 약 32%인 약 130 ㎢이고, 농경지 면적은 164㎢이며, 이 중 논 면적은 76%이다. 강화지역은 2014년 강수량이 605.4 mm로 30년 평균값(1981~2010)의 45%에 지나지 않아 2014년에 극심한 가뭄을 경험하였으며, 2015년에도 8월까지 월별 강수량이 30년 평균값 대비 2.0~275.6 mm가 적어 가뭄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풍수기인 8월에도 강수량이 51.0 mm로 30년 평균 강수량인 326.6 mm에 비해 275.6 mm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숭뇌지구에 위치한 3공의 관측공은 1998~2004년 기간 중에 해안선을 기준으로 550 m(숭뇌2), 830 m(숭뇌1), 1,180 m(숭뇌3)의 거리를 두고 개발되었다. 2015년도에 관측된 지하수위 자료 분석 결과, 지하수위는 예년 월평균 관측자료 대비 약 3.2~7.2 m가 하강되었다. 특히 예년대비 강수량이 적은 3월부터 지하수위가 상대적으로 더욱 낮아져 지하수를 이용한 농업용수 공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과적으로 가뭄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은 가용할 수 있는 용수량의 감소를 의미하므로, 강화도와 같은 섬 지역의 경우 향후 지하수위 변화를 분석하여 가뭄을 대비한 추가 용수량 확보에 대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