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구강위생상태의 개선을 위한 자가검사법의 효과

        김종엽,박준봉,이만섭,권영혁,허익,Kim, Jong-Yup,Park, Joon-Bong,Lee, Man-Sup,Kwon, Young-Hyuk,Herr, Yeek 대한치주과학회 1999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rove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selftesting technique to confirm the cleanness status of the tooth surface after mechanical toothbrushing. Thirty-two periodontal patients who did not compromise any other systemic dise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only the Bass method for toothbrushing, and then experimental group was demonstrated the Bass method and self-testing technique respectively for plaque control during this experiment. Selftesting technique is composed the comparison of roughness of the labial surfac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ther toothsurface with touch sense using the tip of tongue. Plaque score and Gingival index were measured as clinical parameters at baseline and 1, 2 and 4 weeks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laque scores and gingival index of 1, 2, and 4 weeks of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baseline value (p<0.05). 2. Plaque scores and gingival index of baseline and 1 week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3. Plaque scores and gingival index of 2 and 4 weeks of test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From the above results, self-testing technique which decides necessity of additional toothbrushing when tongue tip of subjects touch the maxillary molar buccal surfaces and mandibular molar lingual surfaces nd compares with maxillary anterior labial surfaces after toothbrushing appeared to effect the motivation of subj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testing technique for cleanness after toothbrushing should be effect on the maintenance of oral hygiene when it is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 KCI우수등재
      • 제1분과 : 국립공원 ; 오대산 선재길 회사거리~상원사 구간 식물군집구조

        김종엽 ( Jong Yup Kim ),이경재 ( Kyong Jae Lee ),이승한 ( Seung Han Lee ),피재황 ( Jan Hwang P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오대산국립공원은 1975년 2월 제1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 2007년 5월 IUCN 카테고리 Ⅴ에서 Ⅱ로 변경 등록되는 등 우수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으며, 오대성지가 위치하여 불교문화의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다. 오대산 선재(善財)길은 불교 화엄종 입법계품(入法界品)에 나오는 구도자인 선재동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선재길을 걷는 탐방객들도 선재동자처럼 지혜를 얻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오대산 선재길에는 화전민 역사, 섶다리, 전나무와 궁합이 잘 맞는 조릿대, 오대산의 협궤철도 등 해설판이 설치되어있으나, 식물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때 목재제재소 기능의 회사거리에서부터 상원사 입구에 이르는 8.1km 구간의 오대산 선재길 주변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여 특화된 탐방프로그램 개발, 탐방객 만족도 제고, 생태윤리 실현 동기 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군집구조 방형구는 20m×20m 또는 10m×40m(400㎡) 크기로 52개소를 설정하였으며, 11명의 연구자가 2013년 8월 15~17일에 조사하였다. 해발고는 회사거리 680m~상원사 900m, 경사는 2~30。로 인공림은 평지, 거제수나무, 일부 전나무와 낙엽활엽수는 전석지대 경사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식물군집 분류는 DCA에 의한 ordination 분석(Orloci, 1978)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일본잎갈나무-잣나무림(Ⅰ), 박달나무-거제수나무군집(Ⅱ), 소나무군집(Ⅲ),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Ⅳ),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 전나무군집(Ⅵ), 물황철나무군집(Ⅶ) 등 7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일본잎갈나무-잣나무림(Ⅰ)은 19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일본잎갈나무(I.P.: 47.8%)와 잣나무(I.P.: 36.4%)가 우점종이었다. 박달나무-거제수나무군집(Ⅱ)은 3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박달나무(I.P.: 39.6%), 거제수나무(I.P.: 25.2%), 아교목층에는 박달나무(I.P.: 21.36%), 물푸레나무(I.P.: 21.6%), 관목층에는 조릿대(I.P.: 34.65%)가 우점종이었다. 소나무군집(Ⅲ)은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소나무(I.P.: 58.2%), 아교목층에는 당단풍나무(I.P.: 23.1%), 서어나무(I.P.: 18.5%), 피나무(I.P.: 12.2%), 관목층에는 조릿대(I.P.: 30.8%)가 우점종이었다.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Ⅳ)은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신갈나무(I.P.: 37.8%)가 우점하고, 야광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는 당단풍나무(I.P.: 23.6%), 까치박달 (I.P.: 18.4%), 관목층에는 조릿대(I.P.: 42.1%)가 우점종이었다.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은 16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전나무(I.P.: 18.5%), 신갈나무(I.P.: 10.4%), 거제수나무(I.P.: 6.5%) 등이 종간경쟁하고 있었고, 아교목층에는 까치박달(I.P.: 28.26%)이 우점하는 가운데, 전나무치수가 아교목층(I.P.: 12.5%), 관목층(I.P.: 6.5%)에 출현하고 있었고, 관목층에는 조릿대(I.P.: 42.4%)가 우점종이었다. 전나무군집(Ⅵ)은 4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상원사 입구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교목층에는 전나무(I.P.: 46.1%)가 우점종이었고, 아교목층에도 전나무(I.P.: 35.0%)가 우점종이었고, 관목층에는 조릿대(I.P.: 50.4%)가 우점종이었다. 물황철나무군집(Ⅶ)은 2개 조사구가 포함되었으며, 교목층에는 물황철나무(I.P.: 45.1%)가 우점하고, 거제수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는 까치박달(I.P.: 22.7%)과 전나무(I.P.: 14.8%)가 주요 출현수종이었고, 관목층에는 조릿대(I.P.: 36.5%)가 우점종이었다. 유사도지수는 전반적으로 21~45%로 이절적인 편이었으며, 소나무군집(Ⅲ)과 전나무군집(Ⅵ) 간 유사도지수가 14.89%로 가장 이질적이었고,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과 물황철나무군집(Ⅶ) 간 유사도지수가 61.35%로 상대적으로 동질적이었다. 단위면적 400㎡ 당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일본잎갈나무-잣나무림(Ⅰ)은 0.9517~1.3965, 박달나무-거제수나무군집(Ⅱ)은 0.9347~1.2653, 소나무군집(Ⅲ)은 0.9752~1.1624,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Ⅳ)은 0.9817~1.2031, 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Ⅴ)은 0.9451~1.3645, 전나무군집(Ⅵ)은 1.0820~1.1813, 물황철나무군집 (Ⅶ)은 1.1584~1.2397이었다.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및 훼손 영향

        김종엽(Jong-Yup Kim),윤주웅(Ju-Ung Yun),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삭도 정류장 시점과 종점 일대의 훼손 현황, 시각 경관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악산 삭도 이용객 95%가 권금성을 방문함에 따라 종점에서 주 탐방로까지의 집중적인 훼손의 요인이 되었다. 삭도 운영 구간은 정류장, 상업시설, 편의시설, 주차장 조성 등으로 1차적인 훼손이 발생하였다. 삭도 이용 탐방객의 일시적이고 집중적인 이용으로 정류장 주변, 탐방로, 우수 조망점에서 2차적인 훼손이 발생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삭도 시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3등급이 9,848㎡, 4등급이 8,407㎡이었다. 내장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3~6등급이 984.4㎡이었다.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5등급이 5,017㎡이었다. 삭도 시각 경관 영향 분석결과, 주요 동선에서 보이는 직접가시권, 삭도를 타면서 보이는 간접가시권 등 불량경관 면적은 설악산 3,022,752㎡, 내장산 1,747,424㎡, 덕유산 6,937,782㎡ 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 use of the ropeway operation section in National Park, the status of damage around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and the impact of the visual landscape. 95% of the ropeway users of Seoraksan National Park visited Gwongeumseong. Therefore, damage occurred from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to the main viewing point. When the ropeway was operated, primary damage to the ropeway stop, commercial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parking lot, etc. occurred. Secondary damage occurred around destination point, trails, and viewpoints because of the temporary and intensive use of the ropeway. As a result of the condition rating class analysi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3rd grade was 9,848㎡ and the 4th grade was 8,407㎡. The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was 984.4㎡ for grades from 3 to 6. The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was 5,017㎡.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landscape effect of the ropeway, the direct line of sight seen from the main movement trail and the indirect line of sight seen while riding the ropeway were analyzed. The area of these poor landscapes is as follows: Seoraksan National Park was 3,022,752㎡, Naejangsan National Park was 1,747,424㎡, and Deogyusan National Park was 6,937,782㎡.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김종엽(Kim, Jong Yup)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세월호 참사”는 우리의 관습적 이해를 넘어서는 하나의 사건이다. 이런 경우 우리는 새로운 이해를 향한 강한 욕구를 느낀다. 하지만 이해의 과정은 사건성을 부인하려는 이데올로기적 개입에 직면할 수 있다. “세월호 참사”에서도 그것의 사건성을 억압하려는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부인이 작동했다. 이 논문은 이런 부인 기제를 사익스와 마차의 논의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세월호 참사”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엄청나게 트라우마적이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뜻하는 바는 사건의 의미를 추구하는 주체가 피해자, 가해자, 관찰자로 분화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찰자가 피해자와 동일시하는지 아니면 거리를 두는지가 매우 중요한 이데올로기적인 계기가 된다. 현재적 혹은 잠재적 가해자에 의한 이데올로기적 개입은 관찰자가 피해자에 대해 느끼는 공감과 책임을 분리하고 피해자 집단을 사물화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된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점점더 공공연해져간 “막말”은 이런 “분리”와 “사물화”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막말과 그것에 입각한 퍼포먼스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과 공통 의미의 생성을 가로막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Sewol disaster is an event that exceeds our conventional frame of understanding. In that case, we come to have a strong need of new understanding. But the pursuits for it can be confronted with the ideological interventions which try to deny eventuality as such. Actually, there have been various ideological denials to suppress the eventuality of Sewol disaster. This paper tries to analyses these mechanisms of denial according to the model proposed by Sykes and Matza’s famous article, “Techniques of Neutralizatio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Sewol disaster is the fact that it is tremendously traumatic. It means that the subjects seeking meanings of the event are likely to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victims, wrongdoers, and observers. And it comes to be a very important ideological moment if the observers identify themselves with or keep their distance from victims. There are two modes of ideological interventions by manifest or latent wrongdoers. The one is to split observers from the com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victims, the other is to induce them to reify victims. “Hate speeches” toward the victims of Sewol disaster have been more and more openly and vulgarly expressed. That can be interpreted as a symptom for ideological interventions to considerably succeed in leading observers to “splitting” and “reification.” Hate speeches and some “hate performances” have another ideological effect to prevent people from construction new understandings and common-sense about Sewol disaster.

      • KCI등재

        교육에서의 87년체제

        김종엽(Kim Jong-Yup)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4

        이 글은 민주화 이후 교육정책 영역에서 일어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87년체제론과 97년체제론 사이의 논쟁을 좀 더 경험적인 연구의 국면으로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한다. 87년체제론에 대해 비판적인 97년체제론은 우리 사회가 외환위기를 계기로 신자유주의체제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87년체제론은 민주화 이행 이후 우리 사회의 발전방향을 둘러싸고 민주화 프로젝트와 신자유주의 프로젝트가 경합해왔고, 이 두 가지 프로젝트의 역사적 대립이 아직 종결되지 않았다고 본다. 또한 이 두 가지 프로젝트를 모두 수용한 자유주의 개혁 세력이 87년체제의 헤게모니 세력으로 부상했다고 파악한다. 민주화 이후 교육체제의 변동은 두 체제론 가운데 87년체제론에 더 부합한다. 우선 교육에서의 헤게모니 또한 민주화와 신자유주의화를 모두 수용한 「5ㆍ31 교육개혁안」이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다음으로 교육민주화 운동은 외환위기 이전이 아니라 이후에 전교조의 합법화를 계기로 실효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사립학교법 개정과 같은 중대한 성과를 이끌어낸 데 비해, 신자유주의적 교육 프로젝트는 외환위기 이전에 만들어진 「5ㆍ31 교육개혁안」에 내장되었지만, 민주정부 시기를 통해서 상당 정도 억제되었다. 이런 교육영역에서의 변동은 민주화 이후 우리 사회의 발전 경로가 97년체제론이 주장하는 단계론과 달리 민주파와 보수파 간의 매우 복잡한 진지전의 형태로 전개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redirecting the debate between ’87regime theory and ’97regime theory to the new stage founded by empirical researche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olicy changes in the educational sector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97regime theory argues that South Korea was transformed into neo-liberal society since the 1997 currency financial crisis. Contrary to it, ’87regime theory maintains that the democratic project initiated by democratic bloc and neo-liberal project initiated by conservative bloc have continuously competed on the reconstitution of South Korea until now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And it argues that the hegemonic position of ’87regime has been occupied by the liberal-reformist bloc, who has adopted the two projects as its own. The changes of educational policies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are well corresponded with ’87regime theory. The hegemonic position in educational policies was occupied by 〈5ㆍ31 educational reform bill〉 of Education Reform Deliberation Commission which combined the two projects. Educational democratic movement was also effectively propelled not before but after 1997 currency crisis in the moment of the legalization of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and gave birth to the revision of private school law. And neo-liberalistic elements of 〈5ㆍ31 educational reform bill〉 were rather controlled than fully developed in the period of democratic governments. This facts show that the developmental route of South Korea could be better described as the complex form of position war between democratic and conservative bloc than the simple form of phase change asserted by ’97regime theory.

      • 사회적 기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종엽 ( Jong Yup Kim ),성도경 ( Do Kyung Sung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3 한국균형발전연구 Vol.4 No.3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의 영업활동을 동시에 수행한다. 사회적 기업의 공공성에 근거하여 사회적 기업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지만, 아직 사회적 기업의 대부분은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실을 고려하여 시회적 기업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대구광역시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된 근로자 중 취약계층 근로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더 많은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둘째,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이 사회적 기업들의 정책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시설비 지원이나 모태펀드에 대한 정책적 개선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사전 시장조사, 상품의 우수성, 수요처 확보, 홍보, 사후관리 등 일반기업의 전략적 요인도 사회적 기업의 성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영리적 성과를 위해서는 경영을 전략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지원하는 차원에서 일반기업, 사회단체, 개인 등이 자유롭게 사회적 기업을 도울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Social enterprise provides jobs and public services to low-income brackets as well as performing business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 and sale of goods and services.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s on social enterprise based on the publicness of social enterprise, it is true that social enterprise still has a lot of problems. Based o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tries to propose some improvement plans for social enterprise by analyzing the Taegu city`s social enterprise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more social enterprise is needed since there are more employed low-income workers in social enterprises. Second, government`s assistance to social enterprise does not fully reflect the social enterprise`s policy needs. Third, there needs more strategic management for the profitable performance since strategic factors such as market survey, excellency of goods, assurance of demands, public relations, and post-management have tremendous effect on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 Finally, there needs to provide institutional devices which business enterprises, social groups, and individuals could help social enterprises without any 1in1itation from a view-point of protection of the social weak.

      • KCI등재

        한상진의 중민 이론과 도덕 발달

        김종엽(Kim, Jong Yup)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7 No.-

        이 논문은 한상진의 중민 이론의 핵심 논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며, 중민이론을 발전시켜나가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살핀다. 중민이론은 실천적 의도를 가진 경험적 사회 이론을 지향한다. 사회 모순을 해결할 합리적 잠재력을 발달 동학의 수준에서 분석하려는 중민 이론의 시도는 국제적 사회이론의 수준에 비추어볼때도 매우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룩했으며, 경험적 분석의 치밀함과 타당성도 매우 높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천적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담론적지형을 고려한 개입전략을 구상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약점을 보인다. 중민 이론은 도덕적 자원이 가진 사회변동의 중요한 잠재력과, 특히 탈인습적 도덕 발달의 중요성에 착목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학 이론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탈인습적 사회상황이 도덕발달과 더불어 아노미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는 못했다. 이 논문은 그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어떤 이론적 논의가 필요한지를 다룬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main themes of Sangjin Han’s Middling Grassroots Theory and tries to develop some theoretical elements for its improvement. Middling Grassroots Theory is oriented to the empirical theory of society with practical intents. Its attempts, which explore the locus accumulating the rational potentials to solve the social contradictions in the level of developmental dynamics, can be estimated as one of the highest achievements in the view of international terrain of social theories. But it reveals some relative weaknesses in terms of discursive strategies for the realization of its own practical intents. For it is not easy to say that Middling Grassroots Theory pays enough attention to how and which discursive space is open to its theoretical intervention. Another important contribution of Middling Grassroots Theory is the restoration of the morality having been disregarded under the influences of Marxian theories to the one of main themes of social theories.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empirically verified tendency of moral development to post-conventional stage among Korean young people across the generations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uch a tendency for the soci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But Middling Grassroots Theory seems to underestimate the fact that post-conventional situations can cause moral anomie to grow as much as moral develo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make up for this weak point in Han’s Middling Grassroots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