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건강한 치은과 조기 치은염 환자 부착치은폭경에 관한 연구

        김정숙,문익상,채중규,조규성,Kim, Jeong-Suk,Moon, Ik-Sang,Chai, Jung-Kiu,Cho, Kyoo-Sung 대한치주과학회 199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of 414 subjects with healthy gingiva, or early stage of gingiviti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ooth location, age (Yonger group : $14{\sim}30$, Older group : $31{\sim}67$) and gender. In addition, we compared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the subjects with less than 2 sites of gingival recession($Re{\leq}2$) and the subjects with more than 3 sites of gingival recession($Re{\geq}3$)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ingival recession and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was widest in maxillary incisors($5.3{\pm}1.4mm$) and narrowest in mandibular right 1st bicuspid and mandibular right and left 2nd molars($3.5{\pm}1.1mm$). 2.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was widest in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3.8{\pm}1.5mm$) and narrowest in mandibular right 2nd molar($1.2{\pm}1.0mm$). 3.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age groups, the width of keratinized in older group was significantly (p<0.05) wider than that in younger group in maxillary right and left 1st bicuspids, mandibular right and left 1st and 2nd molars, maxillary right and left cuspids and mandibular right 1st bicuspi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maxillary right and left 1st molars and maxillary left 2nd molar. 4. In the comparison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in maxillary right and and left lateral incisors and cuspids, mandibular right and left cuspids and 1st bicuspids,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female was significantly(p<0.05) wider than that in male group. 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 3 group and Re 2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maxillary right and left 2nd molars and maxillary left 1st molar. 6. The frequency of gingival recession was m the order of mandibular right 1st bicuspid(16.6%), maxillary right 1st bicuspid(13.7%), maxillary and mandibular left 1st bicuspids (13.4%), mandibular left cuspid (10.5%), maxillary left and mandibular right cuspids(10.1%) and maxillary right cuspid(7.9%).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재가장기요양기관 여성기관장의 기관운영 경험에 대한 연구

        김정숙(Jung Suk Kim),전미애(Chun, Miae),양혜원(Yang, Hae Won)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기관장의 재가장기요양기관 운영 경험의 실제적 양상을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파악하였다. 10명의 재가장기요양기관 여성기관장들을 심층면접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8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10개의 주제와 22개의 의미통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재가장기요양기관의 여성기관장들은 어르신에 대한 애틋한 마음에서 기관을 시작하게 되었고, 기관운영 초기에는 혼자서 막막한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운영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이런 저런 이유에서의 서비스 기피, 과도한 영업 경쟁, 보호자들의 부당한 요양보호사 대우에 소극적으로 대처, 심신의 피로, 제도적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기관운영에 있어서 내면적 성과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것은 어르신을 도우면서 갖게 되는 보람과 행복, 그리고 자부심이었고 또한 자신의 일을 통해 가족으로부터 얻게 된 인정이었다. 여성기관장만이 가질 수 있는 강점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기관장들의 재가장기요양기관 운영경험을 통해 재가장기요양기관 운영매뉴얼과 표준운영지침 수립의 필요성과 장기요양 수급자 가족을 위한 사전교육 의무화 등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 해결방안들과 기관장들을 위한 자조집단 형성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al aspect of the field experience of female directors of long-term home care service centers appl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For this study, 10 female directors of such service cente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Giorgi. Sixty-eight meaningful units resulted, comprised of 10 components and 22 sub component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directors of long-term home care service centers started their services because of great sympathy for the elderly, and experienced great hardship in the beginnings of the development of the center. Difficulties during the operational process included service avoidance due to various reasons, excessive business competition, rough treatment of care workers by the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physical and psychological tiredness, systematic problems, and more. The study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self-satisfaction including: sense of worthwhileness, happiness by helping the elderly, self-esteem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centers, and also acknowledgement by family members for their work.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included the various strengths that only female directors can show. Through these field experiences of female directors, this study recommends: systematic measures of improvement, includ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operational manuals and standard operational guidelines, and a requirement for education of the clients and families of clients before their make use of the services, as well as formation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s for the directors.

      • CNN 기반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분류시 신뢰도 및 계산 효율을 고려한 이미지 증강 규모 최적화 연구

        장현준(Hyeon-June Jang),이호현(Ho-Hyun Lee),홍성택(Sung-Taek Hong),최영돈(Young-Don Choi),김성훈(Sung-Hoon K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6 No.1

        노후화된 구조물의 균열 검사는 검사원이 직접 현장에서 측량 도구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검사를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문 작업 인력의 주관성에 크게 의존하게 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일관성과 신뢰성 있는 판단을 하기 위해 인공지능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이미지 전처리 단계에서 이미지 증강 기법이 높은 성능 향상을 이끌고 있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증강 기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관한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증강 비율에 따른 정확도와 속도를 비교 측정하여 최적화를 하였다. 그 결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감안했을 경우 8배에서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rack inspection of aged structures is mostly conducted by inspectors using surveying tools on site and visually inspecting them. This method greatly depends on professional worker, and consumes a lot of time and money. An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is used to make reliable and objective judgments. Since 2018, image augmentation techniques have been used in the image pre-processing stage as they lead to high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is study, an analysis algorithm for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was developed using image augmentation techniques, in which the accuracy and speed according to the augmentation ratio were compared and measured for optimiz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8 times of image augmentation was appropriate when the accuracy was improved and economic feasibility was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약사여래 신앙의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 고찰

        김정숙(Jung-S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6

        본 연구는 약사여래 신앙의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약사여래에 관한 대표적 문헌인 『약사경』을 비롯해 여러 문헌 자료에 기초해 약사여래 신앙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을 하였고, 뒤이어 약사여래 신앙의 2가지 핵심 지향점인 질병의 치유와 횡사의 구제를 종류 및 유형, 방법으로 구분해 분석 틀을 설정한 뒤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약사여래 신앙이 갖는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약사여래 신앙이 갖는 현대적 의미이다. 약사여래 신앙은 첫째, 질병이 치료가 아닌 치유의 대상이라는 관점 전환을 촉진한다. 둘째, 약사여래 신앙은 질병을 의학적 질환뿐만 아니라 장애로까지 확대하여 치유의 대상으로 삼는다. 셋째, 약사여래 신앙은 마음의 긍정성을 강화하는 수행을 통해 치유를 도모한다. 다음 약사여래 신앙이 갖는 신앙적 가치이다. 약사여래 신앙은 첫째, 신앙적 수용성이 강력하다. 둘째, 약사여래 신앙은 종교와 종파를 뛰어넘어 현대인에게 수용되고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질병과 횡사 등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n implication and religious value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According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edicine Buddha faith was reviewed based on various literature, including Bhaisajyaguru Sutra, a representative literature on Medicine Buddha, and the two key goals of Medicine Buddha faith were set up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dern implication and religious value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modern implication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First, the Medicine Buddha faith promotes a shift in the perspective that disease is the subject of healing, not treatment. Second, the Medicine Buddha faith expands diseases not only to medical diseases but also to disabilities and makes them an object of healing. Third, the Medicine Buddha faith promotes healing through performance that strengthens the positivity of the mind. Next is the religious value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First of all, the Medicine Buddha faith has strong religious acceptance. Second, the Medicine Buddha faith is characterized by being accepted by modern people beyond religion and s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ma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pain in their daily lives due to diseases and unnatural death.

      • KCI등재후보

        유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내놀이 공간 현황분석 연구 : 경기도 S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김정숙(Kim, Jung Suk)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9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내놀이 공간분석 연구로 유아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인 공동 놀이실 및 강당의 현황분석을 통해 신체활동공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경기도 S시에 국공립, 법인 외, 직장, 민간어린이집 중 무작위로 153곳을 선정하여 공동놀이시설과 강당 등 실내 신체활동 공간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세먼지 또는 황사 발생 시 유아 신체건강 증진을 위한 실내 대근육 활동 공간 또는 강당 공간이 부족하다. 둘째, 49인 이하 민간어린이집의 강당 설치 현황은 22곳 중 0곳으로 0.00%이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이 실내에서도 활동적인 놀이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내놀이 공간의 확대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유아의 신체 건강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인가설치기준에 영유아 15명 이상이 실내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공동 놀이실 및 강당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joint play room and auditorium, which are physical environments that influence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In this regard, 153 randomly selected national, non-corporate, workplace, and private nursery schools in S City, Gyeonggi-do, surveyed the current state of indoor physical activity spaces such as joint play facilities and auditorium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indoor large muscle activity space or auditorium space for improving infant physical health when fine dust or yellow dust could occur. Second, the installation status of the auditorium for private nurseries with 49 people or less is none, which is 0.00%.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door play area so that the children can be fully active in the room,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hysical health of the child. In addi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a joint play room and auditorium, which can be used for indoor physical activity by more than 15 infants, will be installed in the child-care foundation criteria.

      • KCI등재

        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김정숙(Jung-Suk, Kim),이준용(Jun-Yong,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를 활용한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이 가지는 의의와 효과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학문의 공통분모를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보다 실질적인 융복합을 시도했다. 그것을 근거로, 두려움에 의존한 기존 근대적이고 일방향적인 교육 패러다임을 대체할, 성장으로 이끄는 양방향적인 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며 융복합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구성했다. 그리고 고전 예술 내러티브를 활용한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이라는 방법론적 대안을 제안했다. 이어서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의 형식으로 설계된 체험 학습을 열어 실제 경험 사례를 얻고, Giorgi(1985)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청소년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안적 교육 패러다임의 가치에 해당되는 3개의 중심의미(문화예술의장, 이론과 실제의 적용, 경험에 대한 도전)와 10개의 주제 구조(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내가 할 수 있다는 설레임, 문화예술로 향한 접근성, 문화예술과 교육, 지식의 습득, 실제의 흥미 있는 경험, 지식과 실제의 동시성, 창의적 놀이와 상상력의 발현, 긍정심리 유발, 협동을 통한 타인의 이해)가 발견되었고, 청소년들은 긍정적 심리현상들을 경험했고 자발적으로 몰입했으며 상호작용 과정에서 보다 협력적으로 대처했다. 결론적으로 내러티브적으로 구축된 교육적 틀은 참여자들의 융합적 사고와 사회적 감성적 역량의 발달을 유도하였으며, 그 긍정적 효과와 현장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effects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narrativ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study was sought, and more practical convergence was attempted based on i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was formed by discussing the interactive education paradigm that leads to growth, which can replace the existing modern and one-way education paradigm that relies on fear. And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to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classical art narrative was proposed. In addition, by opening experiential learning designed in the form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 actual case was obtain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200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s of youth participants, three central meanings(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pplication of theory and practice, challenge to experience) and ten thematic structures(understanding of cultural arts, excitement that I can do, access to cultural arts, cultural arts and education, knowledge acquisition, real interesting experiences, knowledge and real simultaneity, creative play and imagination, triggering positive psychological phenomena,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co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al paradigm were found. They experienced positive psychological phenomena, voluntarily immersed them, and responded more cooperatively in the interaction proces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such a narratively appropriately constructed educational framework induced participants convergent thinking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that the positive effects and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are sufficient.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긍정적 언어교육심리 증진을 위한 심리변인 분석 및 적용연구

        김정숙(Kim, Jung-Suk),권연진(Kwon, Yeon-Jin) 새한영어영문학회 2015 새한영어영문학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of language education psycholo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psychology factor for college students.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963 college students. For a correct analysis, the following methods a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rrelation results for all of the validation significantly multiple intelligences and flow factors, Intelligenc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howed a high correlation. Also, multiple intelligences’ subordinat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flow factor and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flow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multiple intelligences are the predictor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learning procedure such as flow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s result can help us to make a positive English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 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김정숙(kim, Jung Suk) 한독교육학회 2019 한독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인간의 풍부한 경험으로 발생되는 심리적, 과학적 산물의 본질이 교육적 양성으로 옮겨지길 바라는 필요성 아래 융복합 문화예술이 산출하는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예술과 물리, 수학의 학문 간 융복합은 예술이 갖고 있는 미적능력을 보다 강화시키고 지적능력을 높일 수 있다.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자신의 경험이 흥미, 재미, 상상력, 행복감과 같은 심리현상과 또래의 생각을 이해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어 만족스러움을 표현했다. 여기서 융합적 사고는 융복합 교육의 틀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예술교육의 체험은 문화를 이해하고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게 하여 긍정적인 인성형성으로 거듭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통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론은 융복합 연구방법에서 그 적용이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예술적 체험이 우선시 되어 개인의 감성을 풍부하게 이끌어 내어 자아실현을 획득하고 타인을 이해하는 긍정적 상호관계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체험의 결과는 교육적 측면에서 심도 있게 다루어져 연구의 질이 발전적으로 보강되는 인간의 삶을 위한 문화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mprehensive culture and art education under the needs of psychological and scientific experience to be translated to education. Fusion between different areas, such as fusion between physics and art, or math and art can enhance the aesthetic ability of the learner. The actual teenager participants who attended the fusion cultural art education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on finding themselves understanding their age groups’ feelings such as interest, excitement, creativity and happiness. This proves that integrated mind comes from integrated educational frame. The experience of art education helps a person to understand culture and help them achieve the goal of the education, thus it can help to shape a positive characteristic. It can be sta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an be utilized in integrated research methodology. In addition, future researches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to be primarily focused on artistic experience so that it can provide positive mutual relationship to understand others. The result from the educational experience should be studied deeply in educational aspect so that it can lead to cultural education which enhances the quality of lives of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