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경호·경비원의 갈등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박영민,고병현,Kim, Eunjung,Park, Youngman,Ko, Byunghyu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는 민간 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라 민간 경호 경비원들이 인식하는 갈등 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민간경비 종사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서울 경찰청에 등록된 민간경비회사에 다니는 경호 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 설문한 총250명 중 234명의 표본을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10 명이다. 입력된 자료는 SPSS WIN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설문지의 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0.838~0.85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첫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는 리더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의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 지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셋째 리더신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 for an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to private security worker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omplicit management that recognized by private security, guard on trust for leader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mplicit management type of private security, guard. The subjects was sampl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after selecting security, guard who work in private guard company registered in the Police Department in Seoul in 2010. Respondents of this study was sampled a total of 250 people and collected the sample of 234 people, and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10 people. The entered data was processed by using SPSSWIN 17.0 Version to appl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lpha}$ value of 0.838~0.859. First, combination, compromise, and grace the sub factors of the conflic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affect on trust for leader. Second, compromise, grace, and rule the sub factors of the conflic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trust to leader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전시기획활동 사례연구

        김은정(Kim Eun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전시기획활동이 학생들의 미술 비평역량 및 정의적 영역에 준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ㅂ공립중학교 교내 미술동아리 및 토요 미술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생들은 전시를 위한 작품제작 및 작품 선정, 전시주제 선정, 전시장 구성 • 홍보 • 운영의 전체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2개월의 연구기간 동안 전시를 위한 작품을 제작하면서 1차 교내 전시기획을 18차시 실시하고, 2차 교외 전시기획(국내 ㅎ 대학교 건물 내에 위치한 사설 갤러리)을 27차시 진행하면서 연구자의 참여관찰 및 수업 일지, 학습자의 작업결과물과 개별 포트폴리오,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하고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서 학습자의 주도성 발현, 민주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작품에 대한 애착강화, 미적 대상에 대한 향수의 태도가 생겼고 미 술 비평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기준에 맞는 작품선정 및 분류, 재구성 능력의 향상, 머릿속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능력향상, 작품에 의미를 부여하고 타인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역량의 강화, 작업의 전체과정을 반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전시기획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사고과정을 통해서 길러지는 비평능력 향상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전시기획활동이 전시를 통한 타인과의 소통매체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었다. 더불어 일반 교과시간에 다수의 학생 들에게 적용하여 다양한 교육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a educational means of the leaner centered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from the analyzing and observation the change of students' art criticism and affective domain from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For the observation. 8 students who participate to Saturday art class or campus art club at public middle school were selected. The stu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e to overall process of work producing for exhibition. works selection. them of the exhibition selection, and composition • publicity • management of the exhibition center. As producing the work during twelve months of the study. they did 18times primary campus exhibition planning and 27times secondary outside school exhibition planning(private gallery in local ㅎuniversity). Resear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class curriculum. and leaner's works, personal portfolio, and inter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s learner's initiative, increasement of democratic communication ability, strong attachment to the works, and the attitude of nostalgic for the aesthetic object in affective domain. In regard to the ability of art criticism, increasement the ability of selection or classification of works by a standard. recornposition, visualization a idea in mind, meaning, explanation and impress to the works, and the ability of perspective that could help to see the whole processes and have reflective thinking were observed. We could observed the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affect to the increasement of art criticism that could be comes from a process of thinking and change In affective domain from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is exhibition planning activity can be the communication methods with others. Also. this can be applied to many students in general curriculum time and brings variety educational outcom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에 관한 탐색

        김은정(Kim, EunJung),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어떤 이유로 교직을 선택하였고 그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었는지 교직 선택 동기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4년제 H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 67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 터 8월까지 교직 선택 동기를 자유롭게 기술하고 심층 개별면담을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 선택 동기는 ‘직업으로서 교직의 매력’, ‘유아들과 함께 하는 기쁨’, ‘의미있는 타인의 영향’, ‘나의 적성과 능력’, ‘상황에 의한 것’ 5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양성과정을 거치면서 가르치는 직업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유지하고 유아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 할 수 있는 현장중심 프로그램 운영이 모색되어져야 하겠다. 또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유아교사로서의 사명감, 책임감, 교직관을 고찰해보는 과정을 제공하고, 학습 호기심 및 창의성 개발 기회를 제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능동적 동기를 높이고 교직특성을 이해하여 전공 만족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investigate the reason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 Sixty-seven freshman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city were selected to describe their motivations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were then interviewed in dep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were categorized into five: “attraction of teaching profession as a job,” “joy and happiness with young children,” “meaningful influence form others,” “personal aptitudes and abilities,” and “choices according to situation.” Taking into account these motivation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guided to recognize the value of teaching profession. They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field-oriented program that enables them to keep their love and concern for young children and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potential students. An opportunity to ponder the mission, responsibility, and vision of teaching profession can become a foundation for reflective thinking. Moreover,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offered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curiosity and creativity so that they remain interested in their major. Programs that allow pre-service teachers to experience satisfaction toward their major can serve as basis for active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고대 일본 庭園의 관리와 그 官司에 관한 연구

        김은정(Kim, Eunjung)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77

        본 논고는 고대 일본 도성에 조영된 황실 정원이 어떻게 관리되었는가를 해명하는 데 초점을 두고 논지를 전개해 나갔다. 기존 연구에서는 원지사가 도성에 조영된 정원을 관리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이것은 원지사의 직무 가운데 하나인 苑池의 관리를 다름 아닌 정원을 관리하는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養老 職員令 園池司條를 검토한 결과 원지사의 주요 직무는 ‘園’에 천황의 식자재로 사용되는 蔬菜와 樹菓를 심고 재배하는 것이었다. 다만 원지사가 ‘苑’ 즉, 정원과 관련이 있는 경우는 그곳에 천황의 식자재로 사용되는 어떠한 것이 생육하고 있을 때 한정되었다. 이러한 원지사의 성격은 寬平 8년(896) 원지사가 천황의 食膳을 담당하는 內膳司로 병합된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결국 원지사는 苑池 즉, 정원을 관리했던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정원을 이용했던 것이다. 고대 일본에서 천황의 감상과 유락의 場이었을 뿐만 아니라 의식과 향연의 場이었던 정원의 관리는 평성궁은 兵士, 衛門府와 左右衛士府의 衛士, 또는 花苑司와 같은 전문 관사가 담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평안경의 신천원은 외부는 左京職, 내부는 神泉苑監, 左右衛門府와 近衛府 관계자, 藏人과 같은 令外官이나 황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관사 또는 천황의 측근이 관리하였다. 이와 같은 정원 관리의 실태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수·당의 금원이 관제를 통해 관리되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것이었다. 이것은 통치자에 따라 공간 자체의 의미가 변하는 고대 일본 도성에 조영된 정원의 특징에 따른 것이었다. This study focused on study on the management of garden and its governing office in Ancient Japan"s royal palace. As a result, the following things were clarified. At the earlier study, there was a general view that Garden in royal palace was managed by Enchishi (園池司, Gardens and Ponds Office). The task of Enchishi was recognized to manage the Eenchi(苑池, gardens and ponds) but I doubted that Enchishi managed the garden, because the garden was included in a palace, ponds, ornamental plants, tree etc and vegetable and grains for food of the Emperor at the same time because these tasks were very different. To solve this doubt I examined thoroughly the task of Enchishi seen in Enchishijo(園池司條) of the Yoro Syokuinryo(養老 職員令). As a result, the task of Enchishi was to propagate these species of vegetable and fruit with ‘the En(園, field)’ for Kugo(供御, Emperor"s food) and to manage something related with ‘the En(苑, garden)’ just in case of growing something for Kugo(供御). These characters of Enchishi were supported by the fact that Enchishi was united with Naizenshi (內膳司, Imperial Table Office) which managed meals of the Emperor in 896 for Kanpyo(寬平) era 8 years. The task of Enchishi was no relevant of the management of Garden. In other words, it meaned that the Ryo sentence had no article of management of Garden from the beginning. Meanwhile, the garden was not only the place of an appreciation of the Emperor and the play comfort, but also the place of a ceremony and the festival. the Heijo-kyu(平城宮) was managed by soldiers, Eji(衛士) of Ejifu(衛士府) and Sayu Eshifu(左右衛士府) or government office such as Kaenshi(花苑司). And the Shinsen-en(神泉苑) of Heian-kyo(平安京) was managed by people related Sayu Emonfu(左右衛門府) and Konoefu(近衛府) and Kurodo(藏人) close to the Emperor. The actual condition of Garden management in Ancient japan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management of neighboring countries which were managed by the control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was resulted from the feature of Garden in the palace of Ancient Japan which was changed the meaning of space itself by the ruler.

      • KCI등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 부모-자녀 관계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은정(Kim Eunj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 그리고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의 2차년도 자료(중학교 3학년 학생 3,449명)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부모-자녀 관계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받으면서 자녀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자녀관계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만 매개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사교육비 수준은 높아지지만,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사교육비의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influences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through extra tutoring fe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Subjects were 3,449 middle school seniors participating in the 2004 panel of Korea Youth Panel Study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child relationship partly played a filter through which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was transmitted to increase the level of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mainta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Third, extra tutoring fe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educa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영화 <세레니티>의 다층적 세계의 관계성 분석

        김은정(Eunjung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1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을 영화의 중심 소재로 삼아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형태로 스토리텔링 되는 영화 <세레니티>가갖는 독특한 이야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게임이 한 인간의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 그리고 가능세계와 어떻게 상호관계를 맺으며 개인을 변화시키는지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영화는 우리 사회의 게임포비아 담론을 본격적으로 다루며, 현실과 가상의 중첩된 세계를 배경으로 소년의 살인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영화 속 주요 공간인 플리머스 섬은 가상현실 게임 속 세상이다. 반면 게임의 개발자이자 게임플레이어인 소년 패트릭이 등장하는 장면은 현실 세계의 이야기이다. 현실 세계에서 소년은 폭력의 피해자로 고립되어있으며 인간의 기본 욕구인 안전을 위협받는다. 그러나 소년이 만든 게임 속 가상세계는 안전, 사회적 관계, 인정, 자아실현의 욕구를 채워주는 세계이다. 소년에게는 현실 세계보다 가상세계에서 살아가는 것이 실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에 가상세계에서의 생존을 위협하는 계부를 살해하고 새로운 가능 세계를 꿈꾼다. 어린 소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제역할을 해야 할 어른의 부재와 전인적 성장을 방해하는 폭력적 환경이 폭력적 게임 경험보다 더 근원적 문제임을 영화는이야기한다. 관객들은 영화라는 허구의 현실에서 게임 세계인 가상으로, 그리고 다시 현실로 교차하는 이야기 세계를경험하며 게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movie <Serenity> which is storytelling in the form of a mixture of virtual world and reality world using digital games as the central material of movies. This study analyzed how digital games interact with a person's real-world, virtual world, and the possible world to change individuals. This film deals with the discourse of game phobia in our society and reveals the murder process of a boy in a world that overlaps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he main space in the movie, Plymouth Island, is a world in a virtual reality game. On the other hand, the scene in which the boy Patrick, the developer and player of the game, appears is a story from the real world. In the real world, the boy is isolated as a victim of violence, and he lives in an unsafe environment. However, the virtual world in the game Patrick created is a world that satisfies the needs of safety, social relationships, recognition, and self-actualization. The boy kills his stepfather who threatens his survival in the virtual world and dreams of a new possible world because living in the virtual world rather than the real world is the only way to be real. The film talks that the absence of an adult who should play a role in the process of a young boy's growth and a violent environment that hinders his holistic growth is a more fundamental problem than a violent game experience. The audience will have a new perception of the game after experiencing the story world that intersects from the fictional reality of a movie to the virtual world of the game and back to reality.

      • KCI등재

        1935-1945년 코호트 전문직 여성노인들의 일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은정(Eunj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5

        지금까지 여성 노인에 대한 연구들은 노인 연구에서 성 변수를 부각시킴으로써 성인지적 시각을 함양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으나, 여성 노인을 단지 "여성"이라고 하는 전제 하에 가족 중심적인 삶을 살아온 동질적인 집단으로만 분석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인 영역에서 전문직을 갖고 활동했던 여성들을 연구함으로써 이와 같은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을 받고, 사회진출을 하여 평생 전문직종에 종사한 1935-1945년생 코호트 여성 노인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출생에서부터 현재까지 어떠한 삶을 살아왔는가에 대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삶은 "가족"에 관련한 이야기보다는 자신의 일과 직업 활동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서 이들이 강한 일 정체성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정체화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의 일 정체성은 "유사" 남성으로서의 일 정체성이라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이들이 속한 세대, 그리고 계층적 요소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들은 모성 이데올로기를 토대로 한 젠더 의식과의 갈등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일하는 전문직 여성 1세대의 특권 및 혜택, 그리고 기회 등의 세대 효과를 통해, 그리고, 자신들이 소속된 계층의식을 통해 ?유사/명예남성으로서의 일 정체성?을 형성, 유지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여성 노인들은 가족을 중심으로만 자신들의 삶을 구축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동 시대를 산 여성들이라고 하더라도,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 인적자본 등에 따라 삶의 구조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여성 노인?들의 삶에 대한 연구는 ?여성?이라고 하는 성 변수와 함께 다양한 사회적 위치와 구성요소를 담지한 개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lives of 12 elderly women who were highly educated and worked as profession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among Korean elderly women who have been exclusively regarded as ?house wives?. The subjects identified themselves as workers, and their life stories were highly based on their work/career. Their life stories focusing on the ?work/career? were highly ?self?-focused, contrasting to the earlier research results considering elderly Korean women?s lives to be ?family?-centered. They had obtained a chance to find themselves in the public sector, and developed the self identity relating to their work, not their family. Earlier studies on Korean elderly women tended to be highly gender sensitive and didn?t pay much attention to other social factors such as class, education level, or cohort; they exclusively focused on explaining how women?s experiences were different from men?s. It is, of course, very important to explore women?s experiences and voices, since they had not been long discussed and heard. However, it is also significant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ir social status, education level, cohorts, or types of occupation, which were known to result in a variety of life trajectory of elderly women.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differences among Korean elderly women, noting elderly professional women who had been rarely discussed in earlier studies discussing Korean elderly women in general.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은정(Kim,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조절변인들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7년 사이 발표된 국내 관련 연구 46편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정 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인성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1.41으로, Cohen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범주형조절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속변수 유형, 참여자 배경, 활동 유형, 활동 방법에 따라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에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유아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양한 종속, 조절변인들에 따라 이질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를 이분법적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다양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관련 변인, 교육 환경 등을 고려한 심도 있는 해석이 필요하며, 앞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effect on young children in general by a way of meta analysis and, by extension, to examine a correlation with moderator variables. First, the researchers performed Test of Homogeneity for 46 domestic researches done between 2008 and 2017, then introduced Random Effect Model, to reveal the result of each of the effect sizes. Eventually, overall effect size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effect on young children was 1.41, proven to be at the large level in light of Cohen s Interpretation Standard for effect size. After analyzing gaps of effect sizes with different categorical moderator variables, the study also present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oderator variable, participants background, activity type, activity method. To sum it up, character education program effect on young children had a positive influence overall, judging from the fact that it had large effect sizes, but the influence can be divergent depending on features of various independent, dependent, and moderator variables. However,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result of study with a dichotomous view, in-depth analysis for the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ade with an additional study on it.

      • KCI등재

        성인모색기 20대 여성의 이성교제 및 성행동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일 연구

        김은정(Eunjung Kim)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20대 여성들은 결혼 및 가족 형성이라는 성인기 과업을 이루기 어려워진 위험사회에서 결혼과 분리된 연애를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의 이성 교제 및 성 행동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성인모색기 자아정체성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첫째, ‘썸’이라는 유사 연애를 하거나, 연애 과정을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진행함으로써, 연애를 관리 및 통제 가능한 것으로 만든다. 이를 통해 연애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자 하는데, 이러한 개인화되고, 이기적인 연애는 위험 사회를 살아가는 자기 보호 전략일 수 있다. 둘째, 과거와는 달리 이들은 성행동(순결)이나 연애를 결혼과 밀접히 연결시키지 않으면서 능동적인 성행동을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20대 여성들이 과거의 순결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는 성 각본(sexual script)과는 다른 새로운 성 각본을 내면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능동적인 성 행동을 하고 있기는 했지만, 재생산영역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 이유는 순결이데올로기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20대 여성에게 자기 삶의 기획의 차원에서 성공적인 결혼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개인화된 위험 사회에서 통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애를 하고, 변화된 성의식에 따라 능동적인 성 행동을 하는 한편, 자신의 삶을 위한 스펙 관리의 차원에서 성적 욕망의 한계를 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애 과정을 통해 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성인이 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emerging female adults in Korea behaves and clarifies their identities in close/sexual relationship. The main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the depth-interview of twelve Korean young females in their 20s with the experience of romance/courtship. First, they do not get deeply involved in the romantic relationship using the tactic of ‘some(pseudo romance)’ or online dating, which can let them to save on their psychological and/or economical expenses. This seemingly egoistic romance might be their self-protecting strategy dealing with the risk society. Second, unlike unmarried women in the past, young Korean women willingly take on dating, courtship or sexual relationship without the prospects of future marriage. It is found that they have internalized the new sex script far from the female chastity domineering until the 1990s in Korean society. Third, in spite of their comparatively liberating sexual behaviors, they still believe they should present their chastity in certain arenas, including pregnancy, childbirth, and cohabitation in order to meet a prospective spouse and marry into a good family. In neoliberal society in which family’s responsibility for its members’ social mobility has become strongly important, good marriage is an indispensible life option for the unmarried young women. They need to make their sexual behaviors less open and visible to heighten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marriage securing the life stability in the risk society. While they willingly take on sexual relationship, they also strive hard to manage their sexual behaviors to be less open and visible. They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for their lives in an area of love/sexuality, and explore the multiple aspects of identity during their emerging adulthood, facing the neoliberal society.

      • KCI등재

        무명(無名)한 자에서 유명(有名)한 여성으로: 초기 개신교 여성의 이름과 선교적 의의

        김은정(Eunju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8 No.-

        한국 선교의 초기 역사에서 많은 토착 여성들이 복음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사회 변화를 이끌어냈다. 초기 개신교 여성 신자의 이름은 다른 집단의 여성들과 구별된 특징을 보였는데 이를 둘러싼 여러 가지 현상에서 근대이행기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함께 종교적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 이름 없는 여성들에게 세례를 통해 이름을 부여하는 선교 전략은 미국 여선교사들에 의해 시행되었다. ‘거시기’나 ‘계집’이라고 불리면서 남편에게 멸시를 받고 하대받는 한국 여성들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였다. 선교사들은 한국 여성이 아름답고 ‘여성적인’ 이름으로 불리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존중받기를 원했다. 기독교 이름의 초기 형태는 성경 인물의 이름, 꽃 이름 혹은 흔한 서양 여성 이름을 포함한 서양식 이름이었다. 이러한 이름 짓기는 한국 기독교인들이 수용해서 다양한 방법의 작명법이 나타났다. 선교사들은 기독교 가정을 세우기 위해 남편과 아내의 동등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한국 여성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천국에 관련된 성경 구절과 자신을 연결해서 생각했다. 여성의 새 이름은 교회 모임에서 출석을 부를 때 사용되었으며, 몇몇 역사적 교회에서 “생명록”이라고 부르는 세례교인명부에 기록되었다. 여성의 기독교식 이름은 이 세상을 다른 세상, 즉 천국과 연결하는 매개였다. 세례명은 남성과 동등한 하나님의 자녀로서 여성에게 새로운 정체성을 주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사회, 종교적 자의식을 심어주었다. 새로운 이름을 가진 교회 여성들은 목회적 돌봄을 받으면서 하나님 앞에 단독자로서 고유한 개별성을 인식했다. 더 나아가 유교적 이상에 의해 규정된 수동적인 삶에서 벗어나 비루한 현실에 굴하지 않는 내세의 소망을 갖고 선교적 삶을 살아가는 기독교 지도자들로 변모했다. In the early history of mission in Korea as other Asian countries, many native wom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the Gospel and became a great force of social change. One of the mission strategies for empowering women was to give a new ‘Christian’name at the baptism. The intent of missionaries was to attribute social respect to Korean women by calling them a proper ‘womanly’name, for Korean women seemed despised by their husbands calling them “nothing”or just “female.”The early form of Christian names was western style, including Biblical ones, names of flowers and just plain female names like Bessie, Dora. This practice was first initiated by American missionary women, adopted by Korean Christians and there appeared various ways of naming of women. The new names of women were related with idea of roll call at the church meetings. It was recorded in the list of church members, called “the Book of Life”in many churches. Christian names of women began to connect this world with the other world, the kingdom of heaven. A baptismal name created not only a new identity as children of God equal as male partners but also a new socioreligious self-consciousness for women. With the new names they were able to step beyond the boundary of women defined by traditional Confucian ide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