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케베리아 라우이(Echeveria laui)와 엘레강스(Echeveria elegans)의 대량증식을 위한 조직배양 및 순화 조건 확립

        김윤희,이지영,김혜형,이재홍,정재홍,이상덕,Kim, Youn Hee,Lee, Gee Young,Kim, Hye Hyeong,Lee, Jae Hong,Jung, Jae Hong,Lee, Sang Deo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9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itable parts for callus induction and optimal concentrations of growth regulators contained in the medium affecting shooting and rooting Echeveria laui and Echeveria elegans for in vitro mass production. To determine the suitable plant parts for callus induction, the leaves were divided into upper, medium and bottom parts and cultured on MS medium at different concentrations with $0{\sim}2mgL^{-1}\;NAA$ and $0{\sim}4 mgL^{-1}BA$. The upper and middle parts of leaves both showed 100% callus formation rate with $NAA\;1\;mgL^{-1}$ and $BA\;1\;mgL^{-1}$ treatment in E. laui. The middle parts of leaves showed 83.3% callus formation rate at $NAA\;2\;mgL^{-1}$ and BA 4 mgL-1 treatment in E. elegans. The shoot induction rate from callus was highest at $NAA\;0.1\;mgL^{-1}$ and $BA\;3\;mgL^{-1}$ treatment in E. laui and $NAA\;0.3\;mgL^{-1}$ in E. elegans. In addition, the number of shoots formation was 10.4 shoots high in $NAA\;1\;mgL^{-1}$ and $BA\;1\;mgL^{-1}$ treatment in E. laui and 12.0 shoots in most effective $NAA\;1\;mgL^{-1}$ and $BA\;0.1\;mgL^{-1}$ treatment in E. elegans. In the case of acclimatization of regenerate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35 ~ 55%) shading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ratio of substrate mixture, and it was determined that would be appropriate considered plant height and appearance preference of E. laui and E. elegan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was responsible for the mass propagation in vitro cultures of E. laui and E. elegans. 에케베리아 라우이(Echeveria laui)와 엘레강스(Echeveria elegans)의 기내 식물체 대량생산을 위하여 캘러스와 신초 유도, 신초생장과 발근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조정제 종류 및 농도를 구명하고 형성된 식물체의 기외 순화조건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부위를 구명하기 위해 잎을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 NAA와 BA의 농도별로 치상한 결과, E. laui는 엽상중부를 이용 하였을 때 $NAA\;1\;mgL^{-1}+BA\;1\;mgL^{-1}$의 혼용처리에서 캘러스가 100% 형성되었으며, E. elegans는 엽중부에서 $NAA\;2\;mgL^{-1}+BA\;4\;mgL^{-1}$ 혼용배지가 83.3%로 가장 높은 캘러스 형성을 보여 캘러스 형성에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캘러스로부터 신초 형성율은 E. laui에서는 $NAA\;0.1\;mgL^{-1}+BA\;3\;mgL^{-1}$ 혼용배지, E. elegans는 $NAA\;0.3\;mgL^{-1}$ 단용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신초의 증식에 적합한 배지는 E. laui는 $NAA\;1\;mgL^{-1}+BA\;1\;mgL^{-1}$ 혼용배지에서 신초가 10.4개, E. elegans는 $NAA\;1\;mgL^{-1}+BA\;0.1\;mgL^{-1}$ 혼용배지에서 12.0개로 신초가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형성된 재분화체는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기외 순화조건의 경우, 용토에 따라 생육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상가치를 고려하여 차광막 35 ~ 55%에서 순화 처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최적의 기내 배양 조건 및 재분화 식물체 순화조건 체계확립을 통해 고부가 다육식물인 E. laui와 E. elegans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생장조절제가 하월시아 만상(Haworthia maughanii)의 기내 대량증식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김혜형,이지영,이재홍,정재홍,이상덕,Kim, Youn Hee,Kim, Hye Hyeong,Lee, Gee Young,Lee, Jae Hong,Jung, Jae Hong,Delgado-Sanchez, Pablo,Lee, Sang Deo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8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itable parts for callus induction and optimal concentrations of growth regulators contained in the medium affecting shoot and rooting for the in vitro mass production of Haworthia maughanii. To determine suitable parts of the plant for callus induction, the leaves, flower bloom and flower stalks were cultured in MS medium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0{\sim}2mgL^{-1}$ NAA and $0{\sim}2mgL^{-1}$ TDZ, respectively. All of the parts showed 100% callus formation rate at $NAA\;1mgL^{-1}$ and $TDZ\;1mgL^{-1}$ treatment, $NAA\;2mgL^{-1}$ and $TDZ\;2mgL^{-1}$ treatment and NAA 1 to $2mgL^{-1}$, respectively. While the rate of callus formation was high in all parts, the leaves were the most efficient to obtain most culture parts. $NAA\;0.1mg\;L^{-1}$ and $BA\;0.1mg\;L^{-1}$ treatments were the most effective in shoot formation with 22.0 shoots. In addition, multiple shoot propagation showed 16.3 shoots, the highest, with $NAA\;0.1mg\;L^{-1}$ and $BA\;0.1mg\;L^{-1}$ treatments. These results led us to speculate that the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was responsible for the mass propagation for in vitro cultures of Haworthia maughanii. 하월시아(Haworthia maughanii)의 기내 식물체 대량생산을 위하여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부위와 신초 및 발근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조절제 종류 및 농도를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식물 부위를 구명 하기 위해 잎, 화뢰, 화경을 이용하여 NAA와 TDZ의 농도를 달리하여 MS배지에 치상한 결과, 잎은 $NAA\;1mgL^{-1}$와 $TDZ\;1mgL^{-1}$, 화뢰는 $NAA\;2mgL^{-1}$와 $TDZ\;2mgL^{-1}$, 화경는 $NAA\;1mgL^{-1}$이상의 단용처리에서 100% 캘러스 형성율을 보였고, 모든 부위에서 캘러스 형성율은 높았으나 가장 많은 배양절편 확보가 가능한 잎이 가장 효율적으로 판단되었다. $NAA\;0.1mgL^{-1}$와 $BA\;0.1mgL^{-1}$ 혼용처리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서 신초가 22.0개로 신초 발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신초의 대량증식은 $NAA\;0.1mgL^{-1}$와 $BA\;0.1mgL^{-1}$처리구에서 신초가 16.3개로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적의 기내 배양 조건을 통해 하월시아 만상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하월시아 옥선(Haworthia truncata)의 기내 대량 증식 및 순화 조건 구명

        김윤희,이지영,김혜형,이재홍,정재홍,이상덕,Kim, Youn Hee,Lee, Gee Young,Kim, Hye Hyeong,Lee, Jae Hong,Jung, Jae Hong,Lee, Sang Deo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9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6 No.2

        하월시아 옥선(Haworthia truncata)의 기내 대량생산을 위하여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부위와 기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 형성된 식물체의 기외 순화조건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캘러스를 유도에 적합한 식물 부위를 구명하기 위해 잎, 화뢰, 화경을 이용하여 NAA와 TDZ의 농도를 달리하여 MS배지에 배양한 결과, 잎은 NAA $1{\sim}2mgL^{-1}$ 단용 배지, 화뢰 NAA $1mgL^{-1}$ + TDZ $2mgL^{-1}$혼용처리에서 100% 캘러스 형성율을 보였으며, 화경 NAA $2mgL^{-1}$ + TDZ $2mgL^{-1}$혼용처리에서 75% 캘러스 형성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가장 많은 배양 절편체 확보가 가능한 잎이 옥선(H. truncata)의 대량 증식에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Shoot 유도 배지로는 NAA $0.1mgL^{-1}$의 단용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서 shoot가 24.2개로 shoot 발생이 가장 많았으며, shoot 증식(multiple shoot)은 NAA $1mgL^{-1}$ + BA $0.1mgL^{-1}$ 혼용 처리구에서 multiple shoot가 66.3개로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재분화 식물체의 기외 순화조건은 용토에 따라 생육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식물체의 고유 엽색 유지, 엽장, 생존율을 고려하여 차광막 95%에서 순화 처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적의 기내 배양 조건 및 재분화 식물체 순화 조건 구명을 통해 번식이 어려운 옥선(H. truncata)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itable parts for callus induction and optimal concentrations of growth regulators, contained in the medium affecting shoot and rooting for in vitro mass production of Haworthia truncata. Leaves and flower bud showed 100% callus formation rate at NAA $1{\sim}2mgL^{-1}$ treatment, and NAA $1mgL^{-1}$ + TDZ $2mgL^{-1}$ treatment. The flower stalk showed 75% callus formation rate, at NAA $2mgL^{-1}$ + TDZ $2mgL^{-1}$ treatment in H. truncata. While the rate of callus formation was high in leaves and flower bud, leaves were the most efficient in obtaining most culture parts. Shoot induction rate from callus was highest, at NAA $0.1mgL^{-1}$ treatment in H. truncata. Additionally, the number of shoots formation was 66.3 shoots high, in NAA $1mgL^{-1}$ + BA $0.1mgL^{-1}$ treatment in H. truncata. In the case of acclimatization of regenerate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95%) shading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ratio of substrate mixture, and it was determined that would be appropriate, considering plant height and appearance preference of H. truncata. It was established that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was responsible for mass propagation in vitro cultures of H. truncata.

      • KCI등재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윤희 ( Youn Hee Kim ),김동준 ( Dong Jun Kim ),김은진 ( Eun Jin Kim ),연평식 ( Pyung Sik Yeoun ),최병진 ( Byung Jin Choi ),김재근 ( Jea Kean Kim ),김윤수 ( Youn So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위해, 참가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 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에 기초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선호지표, 심리기질유형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 사이의 관련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일반 성인 남·여 245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검사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통해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본 바,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외향(E)-내향(I)은 호흡법·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 걷기(신발착용), 숲속 웃음치료, 경관보기, 삼림욕, 풍욕, 일광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감각(S)-직관(N)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사고(T)-감정(F)은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판단(J)-인식(P)은 비전세우기, 경관보기에 대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의 심리기질유형에 따라서,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숲속 잠자기, 경관보기, 숲 해설 듣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 분석 결과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need for forest therapy programs has been increasing. For more effective forest healing,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develop and operate more targeted and differentiated forest therapy program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personality 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s of MBTI and the preference for the forest therapy programs were analyzed respectively in pursuit of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healing on the ba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urvey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nd MBTI personality tests were conducted for 245 normal adult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obtain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The Extraversion(E)-Introversion(I) types showed differences in technique-based breathing exercises, walking in the forest(wearing shoes), laughter therapy in the forest, viewing the forest, forest bathing, wind bathing and sun bathing. And the Sensing(S)-iNtuition (N) types had marked differences in listening to the sound of water flowing, drinking herbal tea and sleeping in the forest. The Thinking (T) -Feeling (F) types marked differences in soaking hands and feet in water and sleeping in the forest. The Judging (J)-Perceiving (P) types had differences in vision quest and viewing the forest, respectively, in statistics. Depending on the temperament of the charact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s such as drinking herbal tea, eating natural food, sleeping in the forest, viewing the forest and listening to the forest comment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forest healing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살풀이 춤 체험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김윤희(Youn Hee Kim),신현군(Hyun Kun Shin) 한국체육철학회 200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살풀이 춤 수행 중에 겪게되는 체험적 양상과 국면을 해석학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살풀이 춤 수행에서 겪게되는 체험적 시간성, 신체성, 공간성의 본질과 특성을 의미상의 분류화하여 해석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위하여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 방법론적 기법인 `체험 기술과 해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살풀이 춤 수행체험의 본질적 요소는 독특성, 자연발생적 움직임, 자기 확신성의 차원에서 제시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살풀이 춤의 수행적 관점에서의 살아있는 정의적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이것들은 살풀이라는 춤의 수행적 속성과 정의를 위한 근본 요인 것이다. 수집된 기술자료들을 의미분류화의 해석과정을 통해서 연구문제인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에 관한 세부 의미범주들이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명료화되었다. 첫째, 신체성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세부적 의미범주들이 부각되었다: 1) 호흡의 중요성, 2) 신체의 조화로움, 3) 특이한 감각적 느낌, 4) 주체적 자아로서의 신체경험. 둘째, 시간성에 대한 의미범주들은 1) 시제구분의 모호함, 2) 시간개념의 상실이었다. 셋째, 공간성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으로 구별되었다: 1) 가상적 공간인식, 2) 특이한 공간체험, 3) 주변공간과의 일치감. 연구 참가자들의 체험적 기술로부터 해석된 살풀이 춤 수행의 체험적 국면은 매우 다각적이고 역동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체험적 춤 수행의 체험들은 정형화된 일련의 패턴과 양상들을 보여주고 있다기보다는 다양한 심도와 국면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참가자들의 살풀이에 대한 체험적 의미는 저마다의 독특성과 함께 주관적 가치와 척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류된 의미범주들은 살풀이 춤 수행시 체험자가 겪게되는 살아있는 생생한 체험의 의미양태인 것이다. 그것들은 살풀이라는 춤이 하나의 생명체로서의 역동적 상황을 연출해내는 근본 요소들이라고 말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것들은 어느 형태나 계량화된 가치척도로 전환되지 않은 직접적이고 원초적인 살풀이의 본질인 것이다. 결국 이러한 것들의 복합적인 작용이 바로 살풀이 춤의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살풀이 춤 수행중의 체험적 시각에서의 생생한 시간성, 신체성, 공간성의 경험들의 의미화는 무용 현상의 이론적 탐구와 방법론적 개발이라는 측면에서의 시도로서 매우 유용한 시도라고 할 수 있었다. 무용의 학문적 자리 매김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될 것이라는 점도 부각되었다.

      • 성인 여성의 숲 방문 빈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반응 사이의 관계

        김윤희 ( Youn He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여성은 연령과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건강문제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여성건강증진을 위해 지속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숲은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면역력을 높여주는 더할 나위 없는 자연환경이다. 숲 체험 경험이 있는경우와 경험횟수가 많은 경우에 중년여성이 지각하는 삶의만족도, 행복감, 희망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을 자주 이용할 수 있는 직장인들은 그렇지 못한 직장인들에 비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평소 숲 방문 빈도가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수준에 있어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 40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숲 방문 빈도(숲 방문 빈도가 월 1회 이상인 144명은 “높음” 으로, 분기별 1회 이하인 263명은 “낮음”으로 분류)에 따라구분한 두 집단 사이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SF-PWI)와 스트레스 반응(SRI)을 독립 t검증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숲 방문 빈도에 따라 구분한 두 집단 사이의사회·심리적 스트레스(SF-PWI)와 스트레스 반응(SRI)을 비교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결혼 상태, 직업 등의 인구학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특히 50대 이상, 고학력의 전문·연구직, 교직, 400만원 이상이 각각 숲 방문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인구의 고학력화와 고학력에 따른 경제활동 우위, 그로부터 얻어지는 경제적 안정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고학력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은 건강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숲을 자주 방문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고졸, 100만원 미만의 저학력, 저소득의 무직·기타의 여성도 숲을 자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적을수록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 산책과 같은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사료된다. 두 집단의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숲 방문을 통한 산림환경이용 빈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심리적 척도(SF-PWI), 스트레스 반응척도(SRI)에서 숲 방문을 통해 산림환경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이 사회·심리적스트레스와 우울, 피로 등의 스트레스 반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숲 방문 빈도’만으로 숲 방문을 통한 효과를측정했기 때문에 대상자들이 숲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완화에 더 효과적인 숲 이용방식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숲을 평소에 적극적으로 방문하는 것이성인 여성들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좀 더 적게 받게 하고, 피로도와 우울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계기로 차후 성인 여성의 산림환경 이용방식에 대한다각화된 조사와 함께 숲 방문 빈도가 비교적 활발한 직업의 교사, 주부, 회사원 등의 직업에 대한 검증, 숲 방문 빈도를 통한 산림환경이 일반 성인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굿 수행 과정에서 무속인의 신체체험의 민속지학적 접근 가능성 탐색

        김윤희(Kim, Youn Hee),신현군(Shin, Hyun Kun) 한국체육철학회 200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1 No.1

        The performance of exorcism is a primordial experience for human being which contains the embodiment of consciousness and body. In this sense, the body of the exorcist is the source of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ossible research approach to investigate the bodily experience of the exorci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was directed its focus into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implicative ways. The follow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First of all, the context of bodily experience of the exorcist which represents as the subjective dimension would be the important source for physical education which are focused on bodily experience. Second, experiential components experienced by the exorcist, which is the so-called `lived performance` would be the ground for investiga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orcism. Third, investigating the nature and structure of bodily experience of the exorcist would be the main focus in doing ethnographic approach to the exorcism phenomenon. In conclusion, an ethnographic approach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investigating the bodily experience of the exorcist. It offers an effective methodological frame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