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용 영상미디어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김윤경,이동미,박주희,Kim, Yoon Kyung,Lee, Dongmee,Park, Ju Hee 대한가정학회 202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0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factors the mothers of infants consider to be important when choosing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ose features differ according to mater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948 mothers who were the primary caregivers and had at least one child aged 4-6. They were asked to select three of the following aspects as critical criteria for determining if a given screen media program is appropriate for infants: (a) contents suitable to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b) behaviors of characters, (c) appearance of characters, (d) visual aspects of program, (e) duration of screen media program, (f) whether the screen media program includes instructive contents, and (g) whether the program leads to opportunities for conversations among family members and activities with children.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cross-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mothers' respon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mothers reported that 'contents suitable to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represented the first-ranked criterion for selecting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child, which was followed by 'behaviors of characters,' and 'whether the screen media program includes instructive contents.' However, such criteria for screen media programs for infants differed according to maternal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ese outcomes suggest that different information needs to be provided based on mater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help mothers determine the quality of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infants.

      • KCI등재

        네이버 지식인을 통해 본 한의학 인터넷 건강 상담의 현황

        김윤경,임병묵,Kim, Yoon-Kyung,Lim, Byungmook 대한예방한의학회 2013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et health counseling in Korean Medicine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pattern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in NAVER Jisik-iN. Methods : 1,121 questions answered by Korean Medicine doctors in NAVER Jisik-iN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2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pattern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were classified.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esearch findings were compared with other studies. Results : Korean Medicine (KM) accounted for 1.73 percent of health counseling in NAVER Jisik-iN. Analyzing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KM counseling, questions about symptoms and answers providing medical knowledge were most common. The most frequently asked symptom was digestive disorder. Applying to Suchman's "Stage of Illness and Medical Care" model, 'the symptom-experience' stage took the first place. Conclusions : KM counseling in NAVER Jisik-iN has served as guidance for potential Korean Medicine consumers by providing medical knowledge about symptoms. For more effective guidance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Internet counseling system offering reliable information by KM doctors to meet the needs of medical consumer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잉카 시대 안데스 원주민의 세계관을 통해서 본 아이유(Ayllu)의 사회경제구조 -이원론과 상호성을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oon-kyung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7

        이 논문은 잉카 시대 원주민의 세계관을 통해서 아이유의 사회경제구조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아이유 사회경제구조의 주요 원리인 상호성과 이원론이 노동조직과 토지보유 형태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아이유의 사회경제구조는 안데스 원주민의 세계관, 특히 이원론과 상호성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아이유의 사회경제구조에 상호성이 반영되는 과정에서 아이유 구성원들 간의 상호 협력과 존중이 중요시되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현실적인 필요에 의한 계산과 거래가 있었다. 그러한 상호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통제, 보복, 강제, 경쟁 등이 수반되기도 했다. 따라서 아이유의 이념과 현실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상호 협력과 보완, 조화와 질서를 이루는 세계를 생각했던 안데스의 전통적인 세계관이 아이유에 반영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아이유의 사회경제구조의 실제 모습은 그러한 이념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Ayllu’s social and economic systems we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deans during the Incan empire. Specifically, this paper looks at how reciprocity and dualism were the founding principles which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all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existing at the time, from systems ranging from labor organization all the way to the conceptualization of land ownership. From its inception, the Ayllu’s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were based on Andean worldview and cultural values, particularly the social collective values of dualism and reciprocity. Firstly, the concept of Andean dualism and reciprocity are particularly reflected in the Ayllu’s organization of class structure. Kurakas, Ayllu’s nobility, and Jatunrunas, Allyu’s term for common people,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significantly relied on each other in order to maintain an orderly and peaceful existence. Secondly, within the the Allyu’s conceptualism of labor organization, the idea of communality, based on the promise of reciprocity, was the underlying social agreement which legitimized the Allyu’s land-holding, which was considering the most significant kind of property. In contrast, the Andean indigenous people believed that nature could not become personal property, and rather that human beings and nature should coexist in harmony. In reality, Andean people valued mutual cooperation and respect amongst themselves, but the transactions occurring within the Ayllu’s economy were based on realistic needs, which eventually led to instances of control, revenge, use of force, and high competition. I insist that we should avoid idealize the Ayllu. While the Andean traditional worldview was reflected in Ayllu society, it was still somewhat distant from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Ayllu. (Institute of Latin American Studies, HUFS / yetla@hanmail.net)

      • KCI우수등재

        멕시코의 68운동-권위주의에 대한 저항-

        김윤경 ( Kim Yoon-kyung ) 한국서양사학회 2018 西洋史論 Vol.0 No.138

        이 논문은 멕시코의 68운동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고, 68운동의 정치적 기억을 역사화하고자 한다. 멕시코의 68운동은 1968년 7월에 시작되어 10월 2일 틀라텔롤코 학살 사건으로 끝났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했던 68운동은 PRI체제의 권위주의를 무너뜨리지 못하고 참혹하고 비극적인 사건으로 막을 내렸다. 68운동의 실패 원인으로는 운동 지도부였던 CNH의 전술적인 한계와 민중과의 광범위한 연대 부족, 정부의 여론 조작과 언론 통제, 무자비한 진압 등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틀라텔롤코 학살 사건 이후 68운동의 지도부는 철저하게 와해되었고, 학생운동은 무장 게릴라 투쟁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멕시코 68운동은 기나긴 멕시코 민주화 투쟁의 역사에 중요한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68운동에서 이루려고 했던 민주화가 그 후의 여러 민주화 투쟁을 통해서 조금씩 진전을 이루었다. 그리하여 1968년은 멕시코 현대사, 특히 민주화 운동의 역사에서 하나의 분수령을 이루었다. 68정신은 오늘날까지 ‘#Yo soy 132’운동 등 다양한 운동으로 계승되어 멕시코의 민주화를 위한 투쟁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and limits of Mexican ’68 and historicize political memories of it. This movement began in mid-July and ended in the Tlatelolco massacre October 2, 1968. The Mexican ’68 movement struggled for freedom and democracy, but failed to overthrow the authoritarianism of PRI. The Tlatelolco massacre is one of the most tragic events in Mexican history. The causes of failure of Mexican ’68 were tactical limitation of CNH, the lack of solidarity with the people, control of the media and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and the merciless repression of the government. After the Tlatelolco massacre, the leadership of Mexican ’68, CNH collapsed, and student movements changed tactics and transformed into a guerilla movement. Despite these limitations, Mexican ’68 added a significant page to the history of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Mexico. Although ’68 movement ended in failure, democratization of Mexico marked progress through pro-democracy movements. The Mexico ’68 movement is a major watershed in the history of the struggle for democracy. The spirit of the ’68 movement has been inherited, an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various movements, such as “#Yo soy 132.”

      • KCI등재

        착과율, PCR-RFLP, 화분관 검경을 이용한 배 종간교배친화성의 검정

        김윤경(Yoon-Kyeong Kim),강삼석(Sam-Seok Kang),마경복(Kyeong-Bok Ma),원경호(Kyung-Ho Won),이인복(In-Bog Lee),이별하나(Byul-Ha-Na Lee),이욱용(Ug-Yong Lee),김명수(Myung-Su Kim),신일섭(Il-Sheob Shin),최진호(Jin-Ho Choi),한태호(Tae-Ho Han)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3

        본 연구는 종간의 유효형질을 보유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시도되고 있는 종간교잡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P. pyrifolia ‘Niitaka’와 주요 종에 속하는 품종들과의 교배친화성 검토를 위해 P. betulaefolia에 속하는 ‘OPR114’, ‘OPR260’ 2품종, P. bretschneideri에 해당하는 ‘Dangshansuli’, ‘Xuehuali’, ‘Yali’ 3품종. P. calleryana인 ‘OPR125’, ‘OPR195’, ‘OPR249’ 3품종, P. communis에 속하는 ‘Bartlett’, ‘Bosc’, ‘Canal pear’, ‘Max Red Bartlett’ 4품종, 그리고 같은 P. pyrifolia에 속하는 ‘Chuhwangbae’ 1품종을 부본으로 이용하여 P. pyrifolia ‘Niitaka’에 교배하였다. 교배친화성의 검토는 재배포장에서의 교배후 착과율조사, 교배품종별 주두에서의 화분관 신장 검경, 교배품종간 자가불화합 유전자 밴드패턴 비교 그리고 동계전정가지를 이용한 수삽으로 항온조건을 유지하고 인공수분으로 착과율을 조사하였다. 포장조건에서는 P. pyrifolia ‘Niitaka’는 P.betulaefolia에서는 ‘OPR114’, P. communis에서는 ‘Bosc’과 ‘Canal pear’에서 교배불친화성이 나타났다. 그런데 재배포장에서 착과율이 낮았던 ‘Xuehuali’ 화분을 교배한 ‘Niitaka’의 주두에서 화분관 선단이 비대하는 현상이 일부 관찰되기도 하였지만 자방까지 도달한 화분관도 관찰되어 포장조건에서 나타난 교배불친화성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자가불화합 유전자 밴드패턴 비교결과에서도 일부 품종에서 부분불친화성은 확인되었지만 교배친으로 사용한 모든 품종에서 ‘Niitaka’와 동일한 PCR product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18°C의 실내조건에서 수삽하여 인위적으로 개화시킨 후 재배포장조건에서 수행했던 동일한 조합으로 교배를 실시한 결과 모든 종에서 교배친화성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종간의 유효형질을 보유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시도되고 있는 종간교잡의 불친화성을 확인되지 않았으며 자연포장에서의 교배불친화성은 수분과 수정과정에서의 환경조건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s a popular breeding method employed to introduce effective factors into crop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is method to enrich the quality of pear fruits, we carried out crosses between P. pyrifolia and other species using the pollens of ‘OPR114’ and ‘OPR260’ of P. betulaefolia, ‘Dangshansuli’, ‘Xuehuali’, and ‘Yali’ of P. bretschneideri, ‘OPR125’, ‘OPR195’, and ‘OPR249’ of P. calleryana, ‘Bartlett’, ‘Bosc’, ‘Canal pear’, and ‘Max Red Bartlett’ of P. communis, and ‘Chuhwangbae’ of P. pyrifolia to pollinate flowers of P. pyrifolia ‘Niitaka’. Fruit set in ‘Niitaka’ pear after artificial pollination was investigated under both field and controlled conditions, which encompassed temperature control and use of water-cuttings of winter twigs. To assess compatibility of hybridizations, pollen tube elongation was analyzed in squashed styles under controlled temperature, and the self-incompatibility (SI) gene pattern was validated by PCR. Under field conditions, crosses of ‘Niitaka’ with ‘OPR114’ of P. betulaefolia and ‘Bosc’ and ‘Canal pear’ of P. communis resulted in incompatibility, as the fruit set was low. However, when ‘Niitaka’ was pollinated by ‘Xuehuali’, some of the pollen tubes reached the ovary but they then arrested and appeared swollen in the middle part of the style. PCR confirmed the incompatibility of these crosses, as the gene product from pollens was a different size from that of the ‘Niitaka’. However, interspecific hybridization under controlled conditions resulted in fruit production. We show that interspecific hybridization with P. pyrifolia and other species was feasible under controlled conditions. Suggesting that self-incompatibility of crosses was dependent on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genetic predisposition.

      • KCI등재

        환경산업연관표 2005를 이용한 산업부문의 이산화탄소(CO2) 배출 분석

        김윤경 ( Yoon Kyung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1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2005년 환경산업연관표(76개의 내생부문, 21개의 에너지원)를 작성하고, 중간수요부문과 최종수요부문을 대상으로 중간투입액기준의 CO2 원단위, 열량기준의 CO2 원단위, 유발 CO2 발생량을 추정하고, 경제주체간 및 산업간의 상품생산과 흐름에 수반되는 에너지소비와 CO2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CO2 원단위의 비교에 따르면 최종수요부문이 더 높은 열량을 갖는 에너지원을 사용하며, 중간수요부문이 환경친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동일 열량에 대해서 CO2를 더 배출시키고 있다. 유발 CO2 발생량이 높은 산업은 화력발전(32.587 CO2-g/원), 시멘트(10.370 CO2-g/원), 도로운송(7.255 CO2-g/원), 코크스 및 기타석탄제품(5.791 CO2-g/원), 증기·온수공급업·수도(4.575 CO2-g/원)이다. 높은 CO2 원단위의 산업들의 CO2 원단위를 저감시키는 것은 해당산업의 환경친화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경제 전체의 환경친화성을 높인다. 더하여 선철 및 조강처럼 낮은 CO2 원단위를 갖지만 높은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갖는 산업의 CO2 원단위도 낮추어야 한다. 이 산업들은 다른 산업에게, 그리고 다른 산업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CO2 원단위가 낮더라도 환경친화성을 갖추어야 유발 CO2 발생량을 낮출 수 있다. By employing Environmental Input-Output Table 2005, which has 76 intermediate sector and 21 energy sources, this paper analyses the flow of energy demand and CO2 after estimating an induced CO2 emissions from 76 industrial sectors. Index of CO2 intensity(CO2/GDP) and other index of CO2 intensity(CO2/calory) showed that final demand sector uses more high calory energy source. Intermediate sector used less environmental friendly energy source and emit more CO2 at same calory. Industries those has high induced CO2 emissions are Thermal Power(32.587 CO2-g/Won), Cement(10.370 CO2-g/Won), Road Transportation(7.255 CO2-g/Won), Cokes and Other Coal Products(5.791 CO2-g/Won), Steam and Hot water supply, Sewage, Sanitary services(4.575 CO2-g/Won). It is shown that industry such as Iron and Steel which has low CO2 intensity, high backward linkage effect and high forward linkage effect makes high induced CO2 emissions. Environmental load and CO2 emissions in overall economy will decrease when not high CO2 intensity industry but also low CO2 intensity industry makes lower CO2 intensity.

      • KCI등재

        200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방사선 이용의 경제규모에 대한 추정 연구

        김윤경(Yoon 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0 기술혁신학회지 Vol.13 No.4

        본 논문은 공표데이터들(산업연관표, 관련미시통계)을 이용하여 2005년 우리나라의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를 추정하였다.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는 방사선 이용이 국민들의 후생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부분을 정량적으로 도출한 것이므로 경제체제 내의 방대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방사선이용의 전체 모습을 보여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2005년의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는 6조 2,971억원이며, 이는 GDP(851조 9,822억원)의 0.74%에 해당한다. 이는 미국 또는 일본의 방사선이용의 규모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분야별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는 공업분야에서 5조 7,753억원(GDP 대비 0.68%), 농업분야에서 1,705억원(GDP 대비 0.020%), 의학ㆍ의료분야에서 3,513억원(GDP 대비 0.04%)이다. 공업분야에서 방사선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의 변화를 고려할 때에 의학ㆍ의료분야에서의 이용이 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GDP에서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0.74%에 이른다는 추정 결과는 방사선이용이 국민생활에 기여하고 있는 정도를 새롭게 인식시킨다. 방사선이 이용되는 분야를 규명하고, 방사선이 국민의 후생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는 것은 국민들이 방사선에 대해서 갖고 있는 부정적 이미지를 경감시키고 수용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In this paper, author estimated economic scale of radiation usage in Korea using Input-Output table 2005 and other micro data published. This estimation focused all kind of radiation usage in whole economic activity. Estimation of economic scale is quantitative analysis for how much radiation usage increase productivity and welfare. Economic scale estimation of radiation usage in Korea 2005 is 6,297 Billion Won and it occupies 0.74% of GDP. It is smaller level compared with that of US and Japan. It is 1.5% of GDP in US (1997) and 1.2% of GDP in Japan (2005). Radiation usage in industrial sector is 5,775 Billion Won and it is 0.68% of GDP. Radiation usage in agriculture sector is 171 Billion Won and it is 0.02% of GDP. Radiation usage in medical sector is 351 Billion Won and it is 0.04% of GDP. This implied that radiation usage in industrial sector is larger than other sector. Use of medical radiology may be enlarge in the future due to population structure. The result that radiation usage occupied 0.74% of GDP arouse contribution of radiation usage in daily life. It helps people to have more understanding and public acceptance for ra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