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소자의 턴형 및 수리

        박지용,김용선,오영무,Park, Ji-Yong,Kim, Yong-Sun,Oh, Young-Mu 한국진공학회 200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6 No.1

        원자힘현미경(AFM)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소자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변형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절단 및 연결을 시연하였다. 조작과 동시에 AFM을 이용한 정전기힘측정법을 적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절단 및 연결을 시각화할 수도 있음을 밝히고 이를 결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AFM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소자의 극소적인 변형 및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Electrical and mechanical modifications of devices based on carbon nanotubes(CNTs)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AFM) in the forms of cutting and reconnection of CNTs are demonstrated. In addition to the modifications, electrostatic force microscopy is used to visualize the cutting and reconnection of CNTs. In this way, AFM is shown to be a useful tool in local modifications and manipulations of CNT-based devices.

      • KCI등재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얼굴형을 적용한 가상 메이크업 도구 개발

        송미영(Mi-Young Song),김용선(Young-S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얼굴형 기준 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형을 분석하고 얼굴 형 메이크업을 제공하여 가상 메이크업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 현실 기반 메이크업 도구를 구축하였다. 얼굴형을 분석하려면 먼저 카메라로 촬영 한 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 한 다음 얼굴 윤곽 영역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석 속성으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각 얼굴형 기준 모델 데이터의 윤곽 영역특징과 비교하기 위해 추출된 얼굴 윤곽 영역의 특징점을 정규화한다. 얼굴 모양은 정규화된 윤곽 영역의 특징점과 각 얼굴형 기준 모델 데이터의 특징점 사이의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예측 분석한다. 증강형실기반 가상메이크업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입력에서는 영상에서 얼굴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얼굴 부위별 영역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얼굴형 분석처리과정을 통해 분석된 얼굴형에 따라 어울리는 메이크업을 제공하여 가상의 메이크업의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우리는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화장품 소비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어울리는 메이크업 디자인을 확인하여 화장품 구매 결정에 대한 편의 및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가상의 자아에 얼굴 메이크업을 적용함으로써 매력적인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In this study, an augmented reality-based make-up tool was built to analyze the user"s face shape based on face-type reference model data and to provide virtual makeup by providing face-type makeup. To analyze the face shape, first recognize the face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hen extract the features of the face contour area and use them as analysis properties. Next, the feature points of the extracted face contour area are normalized to compare with the contour area characteristics of each face reference model data. Face shape is predicted and analyzed using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eature points of the normalized contour area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each face-type reference model data. In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makeup, in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the face is recognized in real time to extract the features of each area of the face. Through the face-type analysis process, you can check the results of virtual makeup by providing makeup that matches the analyzed face shape. Through the proposed system, We expect cosmetics consumers to check the makeup design that suits them and have a convenient and impact on their decision to purchase cosmetics. It will also help you create an attractive self-image by applying facial makeup to your virtual self.

      • KCI등재

        확산 텐서 영상에서 확산 경사자장의 방향수에 따른 잡음 분석

        이영주,장용민,김용선,Lee Young-Joo,Chang Yongmin,Kim Yong-S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4 의공학회지 Vol.25 No.6

        확산 텐서 영상은 조직 내 물 분자의 확산 현상을 이용하는 영상기법으로 조직 구조의 비등방성 및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근육이나 뇌백질과 같은 조직에서는 신경다발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 방향에 대해서 확산이 잘 일어난다. 이러한 확산을 비등방성이라 한다. 확산의 비등방성의 정도는 RA, VR 그리고 FA와 같은 지표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확산 경사자장의 수에 대하여 각각 FA 영상을 만들었다. FA영상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FA 평균값 및 FA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경사자장의 방향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FA값 및 FA의 표준편차가 감소하였다. 또한 ADC 측정 오차에 대한 표준 오차도 확산 경사자장의 방향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경사자장의 방향수에 따라서 잡음의 영향이 다르며, 더 많은 방향수를 사용하는 것이 FA영상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영상획득 시간과 FA의 표준편차 등을 고려했을 때. 임상적으로 사용될 확산 텐서영상의 방향수는 23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Diffusion tensor image(DTI) exploits the random diffusional motion of water molecules. This method is usefu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architecture of tissues. In some tissues, such as muscle or cerebral white matter, cellular arrangement shows a strongly preferred direction of water diffusion, i.e., the diffusion is anisotropic. The degree of anisotropy is often represented using diffusion anisotropy indices (relative anisotropy(RA), fractional anisotropy(FA), volume ratio(VR)). In this study, FA images were obtained using different gradient schemes(N=6, 11, 23, 35. 47). Mean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FA were then measured at several anatomic locations for each scheme.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ean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FA were decreased as the number of gradient directions were increased. Also, the standard error of ADC measurement decreased as the number of diffusion gradient directions increased. In conclusion, different gradient schemes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noise performance and the schem with more gradient directions clearly improved the quality of the FA images. But considering acquisition time of im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FA, 23 gradient directions is clinically optimal.

      • KCI등재후보

        소아 길랑-바레 증후군 진단에서 척추 MRI로의 패러다임 변화

        김정은(Jung Eun, Kim),백희선(Heesun Baek),안지영(Ji Young Ahn),황수경(Su Kyeong Hwang),김용선(Yong Sun Kim),서혜은(Hyeeun Seo),권순학(Soonhak Kw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3

        목적: 길랑-바레 증후군은 소아의 급성 이완성 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길랑-바레 증후군은 신경전도 검사와 뇌척수 액 검사로 진단하는데 다른 원인과의 감별을 위해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기도 한다. 길랑-바레 증후군에서는 자기공명영 상에서 신경근의 조영증강 소견을 보여 자기공명영상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의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뇌척수액검사와 신경전도검사를 이용한 진단과 비교하여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경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면역글로불린의 치료 전에 뇌척수액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급성기동안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운동증상 발생 후 뇌척수액검사는 증상 발생 후 평균 3일에 시행하였으며 2명(11%)만이 단백세포해리를 보였으며 신경전도검사는 증상 발생 후 평균 7일에 시행하였으며 12명(71%)에서 양성을 나타냈다.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증상 발생 후 평균 4일에 시행하였으며 12명(71%)의 환아가 신경근의 조영증강을 보였다. 길랑-바레 증후군에서는 전근에서 조영증강이 특이소견인데 이 환아 들은 전근의 조영증강 우세를 동반하여 전근과 후근 모두에서 조영증강 소견을 보였다. 뇌척수액검사와 신경전도검사와 비교할 때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뇌척수액검사에 비해 더 높은 양성률을 보여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더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주었으며 ( P =0.0013) 증상 정도에 따라 척수 전근에서 조영증강의 차이를 보였 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P =1.0). 검사의 양성확률 또한 운동 증상의 심한 정도와 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0.29). 결론: 본 연구에서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시에 뇌척수액검사와 비교하여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가 양성 확률이 더 높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 조영증강을 나타낸 경우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조영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따라서 길랑-바레 증후군의 조기진단에 있어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유용한 검사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gadolinium-enhanced sp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Guillain-Barré syndrome (GBS) by comparing it with cerebrospinal fluid (CSF) and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in children. Method: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investigations undertaken in children with GBS over a 5-year period was performed. The patients’ respective medical records, including spinal MRIs and nerve conduction studies, were reviewed. Results: A total of seventeen children (mean age 5.3±3.6 years; males, 12, females, 5)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lve out of 17 children (71%) showed gadolinium nerve root enhancement, mostly anterior along with posterior roots (10/12, 83%) at 4.1 days of illness, compared to CSF (2/11, 11%) at 2.5 days and NCS (11/17, 64%) at 7.4 days of illness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NCS are a standard diagnostic tool for GBS. This study supports the gadolinium-enhanced spinal MRI as a valuable investigating technique in the early diagnosis of GBS, although it is not necessarily superior.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mechanisms and to strengthe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