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解放期 廉想涉과 少年 – 채석장의 소년 을 중심으로–

        김예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articl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p’s writing and juvenile characters, focusing on his only juvenile novel, The Boy in the Quarry (SoHakSaeng, 74~79, 1950.1.~6; PyeongBeomSa, 1952). The Boy in the Quarry was written to extend Yeom, Sang-seop’s point of view on juvenil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ization of juveniles and respect for the uniqueness of children’s literature.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present study, the work was also written to show the author’s interest in the educational system during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This novel was also published as a result of the atmosphere of this period, when many juvenile novels were written to meet the need for high-quality children’s reading materials, and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SoHakSaeng and the educational system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n the juvenile novel genre, The Boy in the Quarry was written by reflecting the author’s ideology and moral lessons toward contemporary juvenile readers, for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m. The storylines of the juvenile characters in The Boy in the Quarry embody the educational values that Yeom, Sang-seop tried to convey to contemporary juvenile readers. Furthermore, in this novel, the author depicts worlds of juveniles and adults which are woven together with equal narrative importance. Additionally, the family meetings in the novel are presented in a specific way which respects the individuality and the personality of juvenile in the family system as they practice family democracy. Consequently, Yeom, Sang-seop characterizes the ideal type of juvenile through The Boy in the Quarry―juvenile characters learn universal virtues at school and are raised as citizens of a democratic society at home. 김예람, 2022, 해방기 염상섭과 소년, 어문연구, 195 : 247~286 본 논문은 염상섭의 유일한 소년소설 채석장의 소년 (<소학생> 74~79, 1950.1.~6; 평범사, 1952)을 중심으로 염상섭과 소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채석장의 소년 은 염상섭의 소년관, 문필활동 초기부터 평문의 형태로 개진된 소년 인물 형상화에 관한 교육적 태도, 아동문학 장르의 독자성에 관한 존중, 그리고 특히 해방기 소년 세대 교육에 대한 관심의 연장선에서 쓰인 것으로, 소년소설이 범람했던 해방기 아동문학장의 분위기, 양질의 유소년독물의 필요성, <소학생>이 한국어 교재로서 지닌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으로부터 고무된 결과다. 즉 채석장의 소년 은 염상섭이 소년소설에 관한 장르적 자의식 위에서 동시대 소년 독자와의 문학적 의사소통을 염두에 두고 그들을 향한 자신의 교훈과 전망을 투영하여 소설화한 사례다. 채석장의 소년 에 등장하는 소년 인물들의 이야기-선은 염상섭이 소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교육적 가치들을 구현하며, 나아가 소년의 세계와 어른의 세계를 동등한 서사적 비중으로 교직하여 가족제도 내에서 소년의 개성과 인격을 동권적으로 존중하고 민주주의를 실천할 구체적 방법으로 가족회의를 제시한다.

      • 한미 양국의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 분석

        김예람,신동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한국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NEED(National Energy Education Development Project)에서 나온 기후 변화 교재와 SESE나라에서 나온 창의적 체험․재량활동 프로그램 교재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EED 교재가 SESE나라 교재보다 체계적인 인지 중심 교재이다. 둘째, SESE나라 교재가 한국 교육현장의 요구를 잘 반영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교육 현장에 맞는 기후 변화 교육 교재와 프로그램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재의 기후 변화 교육 비중을 늘려야 한다. 둘째, 기후 변화 교육의 과학적 지식의 양을 늘려야 한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공간 분석

        김예람,채정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며 전시공간이 늘어나는 요즘, 전시공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공간의 정량적 분석에 있으며, 나아가 직관적인 학예사의 전시계획과 공간이 갖는 정량적인 수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전시계획에서의 기준점이나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한슨과 힐리어의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는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전개가 필요한 국내 전시공간인 <국립민속박물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대상으로 공간구문론 분석을 시도한다.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평면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정량적인 공간 분석을 한 후 실제 전시공간과 비교하여 전시 내러티브의 흐름과 공간구조가 일치하는지, 전시 콘텐츠의 배치가 적절한지에 대해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전시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려 시도한다.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을 공간구문론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개의 전시실 모두 전시 후반부의 한 단위공간에서 연결도가 가장 높고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통점이 있었다. 각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하였을 때 1전시실은 배치의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었으며, 2전시실은 동선의 유도가 필요한 구역이 있었다. 3전시실은 전시물의 배치와 동선이 적절하여 관람에 어려움이 없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시계획으로 인해 전시공간 전반적으로 연결도가 낮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을 한 결과 1,2,3전시실의 경우 전시실의 주제와 통합도가 높은 공간이 일치하여 관람객 입장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기 수월하였다. 반면 4전시실의 경우 다른 전시실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통합도가 높은 공간에서 5개 이상의 산만한 콘텐츠가 배치되어 시정이 필요해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 분석 결과로 나타나는 정량적 계수를 참고하여 박물관 전시공간의 현황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관점을 모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가 혼란스럽지 않게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전시구조와 전시내용의 짜임에 연결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전시공간은 초기의 계획과 설치도 중요하지만, 사후검증이 더해져서 연구자들의 제안점을 부분수정으로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면 상설전시가 일반적인 박물관의 전시능력을 높여 더욱 더 향상된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ight of increased demand for culture and the bourgeoning number of exhibitio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museum' exhibition spaces.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analyze the space syntax of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Further, its ultimate goal is to present evaluation or reference points for future exhibition plans by comparing curators’ intuitive exhibition plans with quantitative measures of spac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s at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anson and Hillier’s space syntax theory. Some of the values that can be obtained using space syntax theory are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patial syntax of the National Folk Museum, all three exhibition rooms had the highest connection and the highest degree of integration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This was also true of one unit space at the end of the exhibition. Wh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state of each exhibition room, the first exhibition room needed to change its layout, and the second exhibition room had areas requiring circulation guidance. The third exhibition room had no issue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s circulation were correc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exhibition space’s overall level of connection was low. This is due to the exhibition’s planning, along with contemporary trends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 integration value of the exhibition’s middle section was high, just like the National Folk Museum.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exhibition room stat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hibition spaces complemented the exhibition room, and had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This made it easier for visitors to receive information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xhibition room, over five contents were scattered in an otherwise highly integrated space. This was true even though it was smaller than other exhibition rooms, a fact which seemed to require corre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appl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tical perspec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s. I accomplished this by referring to quantitative coefficients resulting from an analysis of space syntax. While early planning and installation of exhibition space is important, I think long-term exhibitions can provide even better displays by enhancing the capacity of a typical historical museum. This is especially true if post-verification is added, and partial modifications can be improved.

      • KCI등재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예람,기범,이상은,이지수 한국치안행정학회 202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9 No.4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2020. The government has actively responded by enacting the Suicide Prevention Act and establishing a dedicated department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also established the comprehensive policy to prevent suicide in 2018, but suicide rates has not decreaseed. This study conducted FGI(Focused Group Interview) on the status of the police's suicide response among the national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suggeste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GI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0 people, including 15 police officers who performed suicide response tasks and 5 people in charge of suicide prevention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FGI, the police recognized the suicide report cases as an 'incident they wanted to avoid'. It is a problem that the police are the main body and the local government who is legal entities is the cooperator at the suicide report site. There were difficulties in emergency hospitalization of suicide attempters, because cooperation with hospitals was not smooth. Until the attempt was handed over to the guardian, there wer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due to the lack of places and manpower to protect suicide attempts. The policy of the police's life-respecting cooperation officer was operating formally. There is a lack of networking between police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and there was considered that there was no standard method for the linkage procedure. Based on the fact-finding survey, it propos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ccompanying police·firefighting·local governments, authorization of emergency rescue recipients to request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sion, relaxed legal basis for police entry into the house. It argue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expanding emergency hospital designated hospitals, expanding emergency response infrastructure, establishing a standard system for support link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s and functions of life officers at police stations and to activate the network of suicide prevention offic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national R&D to respond to suicide. 우리나라는 2020년에 OECD 회원국 중에서 자살률 1위를 차지하였다. 정부는 자살예방법을 제정하 고, 보건복지부에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왔다. 경찰청도 ‘자살예방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다각적인 대응을 하고 있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자살예방 정책 중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심층면접은 자살대응 업무를 수행한 경찰관 15명과 자치단체 자살예방센터 담당자 5명 등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결과, 경찰은 자살 신고사건을 ‘피하고 싶은 사건’으로 인식하였다. 자살 신고 현장에서 경찰이 주체가 되고, 법률상 주체인 자치단체가 협조자 지위에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병원과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자살 시도자를 응급입원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보호자 인계 전까지 보호할 장소와 인력이 부족하여 내·외적 갈등이 있었다. 경찰의 생명존중협력 담당관 제도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경찰-자살예방센터 간 네트워킹이 부족하고, 연계 절차에 대한 표준 방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고 보았다.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경찰·소방·자치단체의 동행 출동 제도화, 긴급구조대상자의 통신정보 제공요청 권한 부여, 완화된 가택출입 근거 마련을 위한 자살예방법 개정을 주장하였다. 응급입원 지정병원 확대, 공동 보호시설 운영 등 자치단체의 긴급대응 인프라 확충을 제안하였다. 경찰관서 생명담당관의 역할과 기능 정립, 자살예방 담당자 네트워크 활성화가 시급하고, 마지막으로 자살대응을 위한 국가연구개발 (R/D)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현존감의 영향

        김예람,박남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for using SNS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s, and their impacts, along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t also looked into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se satisfaction. Using an online survey, the study found the motivations of information seeking,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escape from reality. These motivations except for social itneraction affected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ness, self-presentation, and self-disclosure affected the outcome variables as well. In addition, social pres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se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motivations, personal characteristic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the context of newly introduced SNS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s. 본 연구는 기존의 소셜미디어에서 새롭게 제공되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이용동기를 밝히고 이용동기와 이용자 개인적 특성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를 사회적 현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N = 400), 이용동기로는 정보추구, 사회적 상호작용, 오락/즐거움, 현실도피가 도출되었다. 이들 이용동기 중 정보추구, 오락/즐거 움, 현실도피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 특성의 개혁성, 자기표 현, 자기노출은 모두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현존감은 개혁성, 자기표현, 자기노출 성향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뉴미디어 동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용동기와 개인적 특성,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사 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SNS 실시간 동영상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기존의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중학교 영어 교과서 협동학습 활동 유형 분석과 학습자 인식 조사

        김예람,해동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3 영어교과교육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for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relevance. For the analysis, 13 first-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utilized. A questionnaire asking the learners’ perceptions toward cooperative activitie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64 first-grad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were mainly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cooperative activities in a textbook range from 46 to 99 with the average being 60.1. Apart from simple dialog practice or answering questions, the most frequent cooperative activity is role playing, followed by interviews, projects, and games. Projects, however, are perceived by learners as being the most useful, followed by problem-solving, games, role plays, decision-making, interviews, and jigsaw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a discrepancy between what the textbooks provide and what the learners want. Th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need to adapt a chosen textbook to provide a balanced variety of cooperative activities for the learners.

      • 과학적 사고방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관찰·분류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김예람,신동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결과적 지식이 아닌 과학 지식 생성 과정으로써의 탐구를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초등학생의 관찰·분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과학적 사고방략 모형을 고안하고 모형에 근거한 관찰·분류 능력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과학 탐구 능력 측정 도구와 관찰·분류 능력 지수, 안구 운동 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뇌기반 진화적 과학교수 학습 모형에 명시적 수업 요소와 시지각 기술 훈련을 가미한 과학적 사고방략 모형을 개발하였다. 과학적 사고방략 모형을 토대로 관찰·분류 능력 향상 프로그램 10차시와 활동지를 개발했으며 5일간의 과학 캠프에서 초등학생 29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투입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객관식 검사지, 관찰·분류 능력 지수 산출식, 안구 운동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생성 과정으로써의 탐구를 경험할 수 있는 과학적 사고방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학생들이 교사가 제공한 설명과 관찰 방략, 분류 기준 외에 모둠원과 탐구 방략을 공유하고 재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자들의 탐구 과정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둘째, 관찰 능력 향상 프로그램과 분류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각각 5차시씩, 총 10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과학적 사고방략 모형 단계에 따라 학습 과정과 활동지를 개발하였고 학생들은 다섯 가지 탐구 주제를 대상으로 관찰, 분류 탐구를 경험했다. 탐구 주제가 단순하고 정적인 주제에서 점점 복잡하고 동적인 주제로 변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탐구 방략들을 습득할 수 있었다. 셋째, 개발한 프로그램 투입 결과, 참가자들의 관찰·분류 능력 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투입 후, 관찰 문장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관찰 대상을 전체, 부분적으로 관찰하면서 관찰 수준이 향상되어 관찰 능력 지수가 증가했다. 또한 분류대상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준과 여러 수준에 걸쳐 분류하는 분류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안구 운동 분석 결과 사후 과제에서 과제 해결에 불필요한 영역에 고정되는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프로그램 투입 결과 관찰 능력 지수에 비해 분류 능력 지수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초등학생들의 탐구 활동이 단순 관찰에 주로 치우쳐 분류 방략을 학습하거나 분류 탐구 활동 경험이 적었기 때문에 분류 능력이 더 효과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