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에서의 가족기능과 스트레스의 관계

        김연표(Yeon-Pyo-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1

        최근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정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스트레스의 관계를 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전라남도 일개 군 지역 3개 이주민지원센터에 등록중인 75명의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가족 기능도 지수(Family APGAR score)와 한국어 수정판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를 측정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가족기능도지수의 평균은 6.27±3.23, BEPSI 스트레스양의 평균은 1.33±1.18로 측정되었으며, 가족기능지수는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에도 스트레스량과 음의 관계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에서 가족기능과 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스트레스 관련 질환을 호소하거나 의심되는 경우 가족기능의 이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Within a recent few years, the number multicultural families had been increasing rapidly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of stress and family fun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Study subjects were 75 foreign women who had been married with Korean men and immigrated into Korea. All participants were registered in one of three migration support centers in South Jeolla province. They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hich evaluated demographic information, family APGAR score, and Korean translated BEPSI scores. Mean of family APGAR score is 6.27±3.23 and mean of Korean translated BEPSI score is 1.33±1.18. Family APGAR score has inverse correlation to Korean translated BEPSI score after correction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ulticultural families may show invers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family function. We needs to be concerned with family dysfunction i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shows stress related disorders. (Korean J Str Res 2009;17:27∼33)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능성 언어게임의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이태수(Tae-Su Lee),김연표(Yeon-Py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능성 언어게임을 개발하고, 지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기능성 언어 게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에 게임에서 사용할 어휘를 장애학생을 위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분석하여 추출하였고, 특수교사와 특수교육과 교수, 특수교육 전문가들의 중요도와 난이도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기능성 언어훈련 게임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게임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45명과 지적장애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5점 만점에 4.25점을 나타내었고, 지적장애 학생은 4.33점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이번에 개발된 기능성 언어게임이 교수학습 활동에 사용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 및 교육적 배치에 따른 사용자 평가 결과에 대한 집단 비교를 실시한 결과,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 모두 기능성 언어게임에 대한 사용자 평가가 고르게 나타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serious language training gam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this, words of language training program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and the contents design of language training program were develop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significance and difficulty by special teachers,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and special education exper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erious language training game, a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45 special school teachers and 31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rious language game had a high level of usability as the special school teachers received 4.25 and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eived 4.33 out of 5.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usability evaluation on the level of school and the arrangement of 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erious language game to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우수등재

        생약 복용에 따른 아플라톡신 B<sub>1</sub>의 인체모니터링 연구

        이진희,류희영,현경,도정,이영주,정수희,장동덕,형수,연표,윤혜성,Lee, Jin-Hee,Ryu, Heui-Young,Kim, Hyun-Kyung,Kim, Do-Jung,Lee, Young-Joo,Jung, Su-Hee,Jang, Dong-Deuk,Kim, Hyung-Su,Hong, Yeon-Pyo,Yoon, Hae-Seong 한국환경보건학회 2010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6 No.2

        Aflatoxin $B_1$, a known human carcinogen, is the member of aflatoxin subfamily that is most frequently found in contaminated food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aflatoxins may be associated with human liver cancer and acute hepatiti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he traditional medical herbs sold in domestic markets are contaminated with aflatoxins. Long-term administration of these contaminated medicines could result in adverse health effe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levels of exposure to aflatoxin in people who ingest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herbal medicine intake, from 151 subjects who visited the hospital. The metabolite of aflatoxin $B_1$ in blood, aflatoxin $B_1$-albumin (aflatoxin $B_1$-lysine), is reportedly an appropriate internal exposure indicator, and its levels in the collected bloods were therefore analyzed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analytical method of aflatoxin $B_1$-lysine in blood was firstly optimized in Korea and the levels were detected below quantification limits (2 pg/mg albumin) in this study population. Consequently, the exposure levels of aflatoxin $B_1$ by ingestion of herbal medicines were low but it is important to monitor routinely due to the possibility of risk on the aflatoxin exposure.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이태수(Tae-Su Lee),김연표(Yeon-Py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VR-CTP)을 개발하고, 지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에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문장과 대화를 장애학생을 위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분석하여 추출하였고, 특수교사와 특수교육 전문가들의 검토와 자문 및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30명과 지적장애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5점 만점에 4.23점을 나타내었고, 지적장애 학생은 4.44점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VR-CTP가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의 교사가 특수학교의 교사보다 사용자 평가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특수교사의 학교급과 교사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지적장애 학생의 경우에는 인지능력, 학교급, 교육적 배치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곧 VR-CTP에 대하여 사용자 평가가 고르게 나타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virtual reality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VR-CTP)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this, sentences and dialogue of program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and the contents design of program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nsultation by special education exper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VR-CTP, a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30 special school teachers and 44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R-CTP had a high level of usability as the special school teachers received 4.23 and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eived 4.44 out of 5.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usability evaluation on the special teachers’ school level and teaching experiences without arrangement of school. Also, there is no difference of usability evaluation on the students’ IQ, school level, and arrangement of 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pplying the VR-CTP to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