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子’계열 한자어에서 기원한 만주어 ‘-se’계열 단어에 대한 연구 - HMB(『御製淸文鑑』)에 등재된 어휘를 중심으로 -

        여채려 ( Yu¸ Cai-li·kim ),김양진 ( Ryang-j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본고는 ‘-se’ 로 끝나는 만주어 가운데 ‘X子’ 계열 한자어에서 기원 한 단어를 찾아 정리해 보고 그 단어의 제 양상 및 특징을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만주어를 만주어로 풀이한 만주어 사전 HMB(1708, 『御製淸文鑑』)로부터 ‘-se’로 끝나는 만주어 ‘Xse’ 중 ‘X子’ 계열 한자어와 대응 관계가 있을 만 한 단어를 검색하여 1차 목록을 만들었다. 이렇게 추출한 1차 목록을 대상으로 하여, 『御製增訂淸文鑑』(1771)에 실린 만주어의 대역 한자 표제어나 여타의 만한합벽(滿漢合壁)의 문헌들로부터 이들 단어와 관련이 있을 한자어를 찾아 유형별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이 만주어 단어들 속에 포함된 ‘-se’가 한자 접미사 ‘-子’와 관련되어 있을 개연성을 타진 하였다. 그 결과, 만주어 ‘-se’는 적지 않은 정도로 ‘-子’의 문법적인 의미와 대응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본래 한자어 ‘-子’계열 단어에서 기원한 ‘-se’계열 한자어들은 어휘복제 (lexical replication)의 기제에 따라 만주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몽골어, 돌궐어 등 북방 알타이제어에 폭넓게 받아들여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rian words ending in ‘-se’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words ‘X子’. To this end, firstly, the primary list of Manchurian words ‘Xse’ that likely to be correlated to Chinese words ‘X子’ was found and organized in the Manchu dictionary of HMB(1708, 『Yuzhi Qingwen Jian』). And then, this primary words list was classified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Manchu ‘-se’ and the Chinese suffix ‘-zi’ was examin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Chinese words in 『Yuzhi Zengding Qingwen Jian』(1771). As a result, ‘-se’ was viewed as the grammatical meaning and correspondence of ‘-zi’ to a considerable extent. The words of ‘Xse’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words ‘X子’ were widely accepted not only in Manchu but also in northern Altai language such as Korean, Mongolian, and Turkish,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lexical re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학서(譯學書)에 나타난 색채어 계열 말[馬] 명칭 연구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뜻풀이를 중심으로

        김양진 ( Ryang Jin Kim ),이효윤 ( Hyo Yun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중세와 근대국어 시기의 역학서에 나타난 말[馬] 명칭에 대해 그 의미를 <어제증정청문감>에 기록된 만주어 뜻풀이에 기반해서 설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중세와 근세 시기의 역학서 및 각종 어휘집류에서 나타나는 말 관련 어휘는 특히 몽골어(원나라)나 만주어(청나라) 등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아서 역사 문헌 자료에 나타나는 형태상 드러나는 표기와 현대어와의 대응 관계만으로는 그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그 가운데에서도 ‘마색(馬色)’에 따른 말 명칭들에서 많은 혼동이 존재하고 있어서 이러한 혼동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다행히 최초의 근대적인 만주어(청어) 사전인 <어제증정청문감>에는 단순한 어휘류대응을 넘어서서 각 단어에 대한 만주어(청어)의 어휘풀이가 포함되어 있어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통해 몽골어나 만주어로부터 차용된 말 명칭 어휘가 가지던 본래의 의미를 확인하여 언해된 어휘가 가리키는 대상과 차용 관계를 더욱 분명히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어제증정청문감>을 비롯한 여러 역학서를 토대로 말 관련 어휘의 의미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리운, 셜아□, 고라□, 공골□, 가라□, 간쟈□, 사족백, 츄마, 털청총이, 구렁말, 오류마, 졀다말, 도화쟘불□ 등’ 말 명칭의 어휘 의미를 각각 <청문감>의 만주어 어휘 ‘kairun morin, suru, kulan, konggoro, kara, kalja, seberi, sarla, fulan, cikiri, ajirgan, kuren, keire morin, cohoro morin’ 등의 뜻풀이를 통해서 확인하고 보충하였다. 그 밖에 이러한 어휘풀이가 ‘골회눈이, 아질게말’ 등의 비색채어 계 말 명칭어의 설명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yeokhakseo (books about translation studies) in medieval and modern period.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ain these words by the explanation noted in (Eojejeungjeong)chengmungam. Many of these words are borrowed from Mongolian language (Yuan) or either Manchu language (Qing). Accordingly, correspondences between transcription written on historical literatures and modern language were not enough to grasp the referents in many cases. Among them, especially words meaning colors of horses cause confusions which need to be corrected. But fortunately, (Eojejeungjeong)chengmungam has explanations about specific words in Manchu language. We regarded this book as the first modern dictionary of Manchu language so that we can get important clue to figure out the abstruse meanings of words about various horse terms. In this study, with confirming the essential meaning of horse terms, we expected to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a object and the bases of borrowingby (Eojejeungjeong)chengmungam and some kinds of Yeokhahseo. Especially we determined and supplemented words of ‘가 리운, 셜아□, 고라□, 공골□, 가라□, 간쟈□, 사족백, 츄마, 털청총이, 골회 눈이, 아질게말, 구렁말, 오류마, 졀다말, 도화쟘불□’. These words are noted as ``kairun morin, suru, kulan, konggoro, kara, kalja, seberi, sarla, fulan, cikiri, ajirgan, kuren, keire morin, cohoro morin in Chengmunagam.

      • KCI등재

        사자(四字) 구성으로 살펴본 『훈몽자회』의 유의어 분류 체계 연구

        김양진 ( Kim Ryang-ji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본고에서는 사자(四字) 구성으로 이루어진 『훈몽자회』의 어휘들이 근원적인 의미로부터 비근원적인 의미, 상의어로부터 하의어, 전체어로부터 부분어, 전형어로부터 주변어로 반영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동양의 전통적 학문 기반으로부터 재해석하여 현대적 어법에 맞게 풀이함으로써 과거의 전통을 현재에 이어 새로운 학문으로 연계하는 지식 체계를 갖추고자 한다. 『훈몽자회』 속 사자(四字) 구성을 중심으로, 기존 논의에서 다루어온 공부류어(co-taxonymy) 개념이나 상의어, 전체어, 전형어(prototype word)가 먼저 오고 하의어, 부분어(partonym 또는 meronym), 주변어 등의 관계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훈몽자회』 사자(四字) 구성 속의 1자어, 2자어 간의 유의 관계를 정리하여 16세기 전통 시대의 유의어 분류 체계를 정리함으로써 현대적 관점에서의 유의 체계(synonemal system)와의 차별성을 부각시켰다. In this paper, the vocabulary of Hunmongjahoe (훈몽자회) composed of four characters is ranged and reflected from the fundamental meaning to the non-fundamental meaning, from hypernym to hyponym, from holonym to partonym, and from the prototype word to the peripheral word. By examining it in detail and reinterpreting it from the traditional academic base of the East, also interpreting it by the modern vocabulary, it is intended to establish a knowledge system, which means to gain new insights by studying the past.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four characters in the Hunmongjahoe, the concepts which have been discussed such as co-taxonymy, hypernym, holonym, and the prototype word come first. Followed by hyponym and partonym, peripheral word are actively used, a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two words in the composition of Hunmongjahoe four characters were arranged. The synonym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traditional 16th century was organized from a modern point of view. It emphasized its differentiation from the synonym system.

      • KCI등재

        착하다'의 어휘사

        김양진(Kim Ryang jin)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3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lexical history of 'chak-hada[착하다]'. The paper dealt with the provenance of 'chak-hada[착하다]' by analyzing the literary appearance of 'chak-hada[착하다]' and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nings. 'chak-hada[착하다]' is first appeared in Seogungilgi[셔궁일긔] and Kyechukilgi[계튝일기] as with '착'. Many of the linguistic evidences are showed that these books are assisted or recreated at least after 1600 years. Therefore, this paper has examined that the first appearance of '착다' found in Manchu language which has a great effect on Middle Korean is possible. Especially, like the word phrase 'cak sere'. and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cak sere' was changed the meaning from 'commendable, peculiar, strict' to 'lift up to adult's expectations' go through 'be worth satisfying one's expectations' which is the meaning of Modern Korean. Going forward, enter into Modern Korean 'chak-hada[착하다]' has undergone a variety of changes in lexical meanings. The paper pointed out the opaqueness of incomplete root 'Chak[착]' in 'chak-hada[착하다]' for the important cause of the meaning change.

      • KCI등재

        한국어의 형태와 형태소

        김양진 ( Kim Ryang-jin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형태 목록과 형태소 목록을 만들어낼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의 형태소 목록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의 가능한 형태 목록을 만들고 그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형태 구조 조건을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한국어의 형태 구조가 확인되고 그 가운데 ‘형태소’의 자격을 갖출 수 있는 ‘형태’의 목록이 제한되어야 ‘형태’와 ‘형태소’의 상관 관계를 본격적으로 논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먼저 형태와 형태소가 일치하지 않으며 일치할 필요가 없음을 한국어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형태와 형태소의 불일치에는 화합형태의 문제나 보충법 형태소, 영형태, 공형태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나 언어의 공시태 안에 다양한 이질적 방언 그룹의 언어와 어휘 형태들이 포함되면서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방언간 통합의 문제나 문자의 한계에 따른 표기법의 부족이 불완전한 표기, 이른바 불규칙 현상을 만들어내는 문자론적 이형태 발생의 문제에 따른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형태와 형태소의 불일치들이 걷어지고 난 뒤에야 한국어의 실제적 형태 목록이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how to create morph and morpheme lists from the Korean words. In order to set up a list of Korean Morphem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list of Korean morphs according to the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ondition. It is checked this way because the Korean morphological structure confirms and restricts the list of ‘morph forms’ that can qualify as ‘morphem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 and ‘morpheme’ can be fully addressed.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 the Korean examples of morph and morphemes but they do not match and there is no need for that. These discrepancies of morph and morpheme include various problems such as harmony morph type, supplemental morpheme, null morph and empty morph. In addition, the language and vocabulary forms of various heterogeneous dialect groups are included in the dialect of language, and the incomplete notation, that is, the irregularity due to the lack of character in restriction of the writing, but also by the problem of the creation of the literal stereotype. Once the discrepancies of morph and morpheme in various aspects are removed, you can put together a more thorough and confirmed Korean list.

      • KCI등재

        한국어와 만주어의 형태론적 동형성

        김양진 ( Ryang Jin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7 No.-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만주어가 계통적 친연성이 매우 깊은 관계임을 두 언어의 용언 어간이 보여 주는 형태론적 동형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보았다. 다른언어의 서술어를 받아들일 때 대개는 체언화하여 기능 접사에 의해 자국어의 서술어로 사용해 온 두 언어의 형태론적 기반을 고려할 때 어미에 직접 결합하는 용언 어간끼리의 친연성은 다른 어휘들에서 보이는 친연성과는 질적으로 다른 차원의 고유성을 갖는다고 본다. 이러한 고유성을 본고에서는 계통적 친연성의 핵심적 요건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특히 그 중에서도 만주어 용언 어간의 어중 ‘-sh-’와 한국어의 용언 어간말의 복자음 ‘-ㅺ-’ 혹은 ‘-ㅊ-’이 보이는 일치는 예측했던 것 이상의 공통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두 언어의 고유어적 요소를 최대한 확보하여 그 공통점을 최대한 언어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서 살펴보는 노력이 좀 더 경주되어야 할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어휘적 공통성의 정도가 17세기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 남겨져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언어 연대학적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를 다시금 점검해 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이 두 언어의 언어적 공통점을 둘러싼 두 민족간 분기의 역사를 재구성해 볼 필요가 남는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hylogenetics of Korean and Manchurian based on the morphological homogeneity found in inflective stems of the target languages. In counterpoint to other languages, Korean and Manchurian share the uniqueness in that they make the predicates borrowed from foreign languages into substantives in order to graft them on functional affixes. Given these implications, it appears likely to us that this uniqueness can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typological phylogenetics between the target languages, and this assumption provides a backdrop for further discussion in this study. To be specific, the concordance of in-word predicate stem in Manchu ‘-sh-’ and word-final predicate multiful consonants in Korean ‘-sk[ㅅㄱ]-’ and ‘-c[ㅊ]-’ shows the strong phylogenetics between the target languages to the extent of beyond our expectation. This brings us to a final set of comments: the native tongue factors of two languages should be collected and analyzed to retrospectively delve into the phylogenetics between them. Furthermore, the analysis of diverse target languages data from 17c literatures should be applied to estimate the degree of the phylogenetics from a chronological perspective. Last but not least, the diversion of two ethnic groups should also be studi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o add further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linguistic phylogenetics of the target languages.

      • KCI등재

        민간주도형 백과사전식 국어대사전 편찬 특징에 대하여 : 사전편찬가의 구술 증언 분석을 중심으로

        김양진(Kim Ryang-jin),오새내(Oh saenae) 한국사전학회 2010 한국사전학 Vol.- No.16

        This paper investigated making history of Korean commercial encyclopedic dictionary in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plore a methodology for dictionary making. Oral history interviews are a key source for interpreting the methodology because sources of dictionaries have disappeared. Interviews with practical lexicographers who took part in dictionary making reveal how encyclopedic dictionaries compiled. First of all, dictionary makers make effort to increase the size of dictionary. Entries added encyclopedic information. The sources of the information are established encyclopedia and technical texts. They were aimed minimum volume and maximum entries. A few skillful lexicographers’ intuition was most important resources. Commonly,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one or two special lexicographer and a large number of editors and copyeditors. Finally, Dictionaries' orthograph and part of speech were subordinated to Korean government language policy.

      • KCI등재

        국어사전에서 ‘-어/-아’ 계열 어미의 결합 정보 기술에 대하여

        김양진(Kim Ryang jin),정경재(Chung Kyeong jae) 한국사전학회 2008 한국사전학 Vol.- No.1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flections according to conditions of stems and syntagmatic environments of endings beginning with '-ǝ/-α'. This papre would propose an alternative method which reflects these aspects on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This paper examined the final vowel of stems and specifically presented syntagmatic environments of '-ǝ' and'-α'. We also totally adjusted inflections of endings beginning with'-ǝ/-α' according to patterns of the last syllable of stems. In many of former unabridged dictionaries, explanation about syntagmatic environments of ending beginning with '-ǝ/-α' is provided as 'the method of complementary classification'. And various inflectional aspects of endings are given in appendix. To offer more obvious and accurate informations on endings beginning with'-ǝ/-α', employing 'the method that describes syntagmatic environments' is better than employing 'the method of complementary classification', for there are difficulties in setting up a single and absolute criterion on choosing between '-ǝ' and '-α'. We also suggest it is more efficient way that various inflections of endings are provided in additional informations of an entry, not in append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