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세종의 인사(人事) 실제 - 한어(漢語) 전문가 김하(金何)를 중심으로 -

        김순남(Kim, Soon Nam)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본 연구는 본 논문은 김하의 사례를 통해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실제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김하는 조선 세종대 활약한 한어 전문가였다. 세종은 김하의 한어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재상도 장수도 아니며 이학을 교육하는 임무에 종사할 뿐인 그를 기복 했다. 김하는 강상죄로 얽을 수 있는 아버지 상중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관료 생활 내내 대간의 비판에 직면했다. 그러나 세종은 국가의 중대사를 맡겨야 한다며 끝까지 임용했다. 김하는 종사관·서장관·정사로서 거의 20여 회 북경을 오고 갔다. 그때마다 세종의 뜻에 부합해 활약했다. 김하의 사례는 세종이 구사한 인사 방식의 일단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역량을 우선으로 하는 인사를 함으로써 국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Kim-Ha was an expert in Chinese, who worked for King Sejong(the period of reign:1418-1450). The Chinese language spoken by Kim-Ha was highly skilled and elegant, so no alternative could be found in Joseon at that time. King Sejong highly valued Kim-Ha"s Chinese language ability. So, when his father died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King Sejong appointed him in a very short time (less than 100 days after his father’s death : 3 years funeral period for his deceased father was required at that time). Kim-Ha was not a general nor a prime minister, but only engaged in the mission of educating Chinese language. So his case was very unusual. Kim-Ha had faced public criticism throughout his bureaucratic career for his inappropriate actions. His behavior of committing adultery with a Gisaeng, Joseon geisha, during his father"s funeral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crime of undutifulness. He breached the Joseon"s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Such acts were an unforgivable sin in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King Sejong agonized between morality and ability. Finally King Sejong decided to punish him slightly. The name of the crime was not breaking undutifulness but breaking the order of concubine. King Sejong said that Kim-Ha should be in charge of important national missions. King Sejong believed that Kim-Ha"s ability in Chinese language would be helpful for diplomatic policies and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In fact King Sejong sent him to Ming as an envoy whenever need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Geonju Jurchen. Whenever he went to Beijing to deal with diplomatic matters, Kim-Ha translated well and met King Sejong"s will. The case of Kim-Ha shows some aspects of King Sejong"s personnel policy which he used to accomplish the nation"s important mission. King Sejong was 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ate administration by utilizing personnel policy that prioritized capabilities. Thanks to this flexible way of personnel policy, it can be said that King Sejong"s era could be compared to so-called "Emperor Yo and Sun"s reign of peace".

      • 현대 딥러닝 네트워크의 과신뢰 문제 및 캘리브레이션 기법 연구

        김지영(Ji Young Kim),김승년(Seungnyun Kim),김지섭(Jiseob Kim),김진홍(Jinhong Kim),김상태(Sangtae Kim),Khoa Anh Ngo,심병효(Byonghyo Shim)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이 사용하는 학습 데이터와 시험 데이터의 도메인(domain)은 일반적으로 같다. 그러나 현실세계(real world)에서는 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으므로 모델은 모든 도메인의 데이터를 학습할 수 없다. 따라서 모델은 학습 데이터와 동일한 도메인의 시험 데이터(familiar data)는 물론, 학습 때 보지 못했던 도메인의 시험 데이터(unfamiliar data)에도 강인해야 하며, 신뢰도 추정이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진은 familiar/unfamiliar 상황에서의 성별분류(gender recognition) 실험을 진행하고, T-SNE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교원 다면평가 시범운영의 효과와 기대 분석

        김이경(Kim Ee-gyeong),김갑성(Kim Gap-sung),김도기(Kim Do-ki),김순남(Kim Soon-na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2

        새로운 교원평가제 도입과 같이 고도의 범국민적 관심과 파장을 수반하는 교육 개혁안의 경우,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나 이해의 부족 등으로 갈등과 공방을 수반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전면 도입에 앞서 시범학교를 지정, 운영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혁안을 수정, 보완하는 참여지향적, 문제해결적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개혁안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향후 제도의 성공적 정착과 확산을 담보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구안된 새로운 다면평가형 교원평가제 시범운영의 효과와 교육공동체의 기대를 분석하고자 교원평가 1차 시범학교로 지정된 전국 48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원, 학부모, 학생 등 총1,560명을 대상으로 연구진이 개발한 설문 도구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교원평가 시범운영으로 인하여 교육공동체의 교원평가에 대한 이해도와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이해도, 그리고 교육 주체 간의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원의 이해도 증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원평가의 두 모형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교원평가가 학생의 성적 향상, 수업 개선, 학교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는 전반적으로 높았고, 특히 학부모의 기대치가 높았다. 이러한 분석에 터하여 교원평가 시범운영 확대 및 효과 증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중심으로 제언을 하였다. Educational reform proposals such as teacher evaluation often become the source of conflict among major stakeholder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pilot operations would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the changes, and thereb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ture succ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oriented and problem-finding approache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ose who are impacted,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designat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run the newly proposed teacher evaluation meas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ilot opera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as well as expectations towards it of the major stakeho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iloting.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 total of 1,469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in which they were asked to rate the degree of agreement on six major factors.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ree groups on the nature of new system of teacher evaluation were quite high, while teachers marked the highest. However,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types of evaluation models. Regarding the expectations of the stakeholders towards the teacher evaluation, parents revealed the highest. It is generally supported that the pilot operations would reduce the resistance towards the newly proposed reform measures.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and extend the pilot school operation for teacher evaluation.

      • KCI등재

        ‘한국인’ 정체성, 사회적 소속감

        김순남(Kim, Sunna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본 연구는 이주여성과 자녀의 관계성이 동화적인 ‘한국인’ 되기의 압박, 자녀의 성장에 대한 사회적인 불안, 그리고 복지혜택의 수혜자로서의 낙인 등 다양한 사회적인 규범과 교차되는 맥락에 주목하였다. 이주여성들은 지역 내에서 다양한 실천들을 통해서 사회적 차별이나, 배제적인 삶의 방식에 개입하면서 생활세계를 확장하는 행위성을 발휘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인’으로 동화되어야 하는 ‘동원’되는 삶의 객체가 아니라 삶의 감각을 가진 존재로서 이곳에 살며, 이곳에서 삶의 뿌리를 만들어간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인’이라는 의미는 동화되어야 하는 억압적인 정체성 범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권, 평등권, 인권이 더 나은 한국에서의 삶을 자녀에게 살게 하고자 하는 이주자인 어머니의 선택적인 의미와도 만난다. 무엇보다, 낯선 환경에서도 삶을 살아낸 이주여성들의 삶의 감각이 자녀들에게 다양한 삶의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삶의 자원으로 전수되며, 삶의 유연성 에 기반을 둔 생애모델을 만들어가는 기반이 됨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migrant women construct and shap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rough various practices that negotiate and challenge the idea of ‘Koreanness’ - the idea that produces social anxiety in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By closely analy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is article explores various ways in which migrant women exercise agency to create everyday social and relational spaces for belonging. Migrant women, through various practices, negotiate and challenge social prejudices and norms. They attempt to break the social division between ‘right’ citizens and ‘dysfunctional’ citizens so as to make a respectable and alternative life space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children. Migrant women as mothers are not helpless victims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Rather their vulnerable experiences of marginaliation in Korea are used as resources to form an equal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o shape alternative family practices. This paper argues that migrant women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ir children question and challenge the concept of a homogeneous ‘Korean’ identity, culture and nation.

      • 창의성 계발 교수행위에 대한 교사 자기평가 연구

        김순남(Kim Soon Nam),황향숙(Hwang Hyang Sook)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6 韓國敎育論壇 Vol.5 No.2

        이 연구는 초ㆍ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성 계발 교수행위에 대한 자기평가를 통해 학교 급별, 교과목별 창의성 계발 교수 행위에 대한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창의성 계발 교수 행위 자기평가를 위해, Cropley의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Soh의 창의성 계발교수행위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성을 조장하는 교수행위에 대한 교사 자기평가 접수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이에 그리고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다. 둘째, 자기평가 점수를 과목별로 분석해 보면, 예체능교과목이 3.6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국어교과(3.62), 사회교과(3.58), 과학교과(3.57), 영어와 수학교과(3.56)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3.62이다. 학교급별, 교과목별 창의성 조장행위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지만 모두 3.0을 초과하나 4.0 이하로 나타나 교사의 창의성 조장 수업 능력 신장을 위한 노력이 더욱 요구되며, 특히 가장 낮게 평가된 자기평가, 판단 유보, 협동학습 등에서는 좀 더 적극적인 교수 활동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f evaluate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across subject matters in classrooms at all school level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sampling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For developing an instrument of teachers' self-evaluation, Soh's creativity fostering creativity behavior scale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s is 3.72, while the score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s 3.56.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s were significant. Second, for differences of subject matter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s 3.67 as the highest among all subject matters, following Korean with 3.62, social studies with 3.58 and science with 3.57, and finally both of English and mathematics are appeared to be 3.56. The mean of all subject matters is 3.62. 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teaching behaviors for fostering creativity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subject matter, however, the level of teachers' teaching behaviors for fostering creativity should be strengthened as school level increases.

      • KCI등재

        일반논문 : 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 분석

        김순남 ( Soon Nam Kim ),이병환 ( Byung Hwan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기초학력 책임지도 정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를 분석한다. 여기에서 조직 수준이란 기초학력 책임지도가 직접 이루어지고 있는 단위 학교와 학교의 지원 조직체제로서 교육청 및 국가를 말한다. 기초학력은 개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기초학력은 원만한 사회 적응을 위한 최소 충족 요소이기 때문에 단위 학교를 비롯한 유관 기관에서는 기초학력 결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당위성이 성립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에서는 교육청 수준의 학습부진 학생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인적·물적·재정적 자원을 확보·지원해야 한다. 둘째, 각 지역의 교육청은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기초학력 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각종 교육적 자원을 개발·제공해야 하며, 교육청 단위로 학습부진 학생 비율 및 그 증감정도에 대한 점검과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단위 학교는 기초학력 책임지도가 직접 수행되는 공간으로 국가와 교육청의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국가 수준의 학년 단계별필수 이수 기준에 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교의 구성원들이 학생들의 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지침을 이해하고 이를 제대로 실천하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기초학력 책임지도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조직 수준별 책무 확보 못지않게 조직 수준별 운영 시스템 확보가 중요하다. 국가와 교육청 및 단위 학교가 정책 수행을 위한 연계망을 확보하고 조직 수준별 협조 체제가 가동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countability of organizational levels so as to establish a basic learning ability guidance policy. In this article, organizational levels are in relation to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nation. Basic learning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guarantee human dignity and worth. For the retardation students in learning, a good teaching and supporting from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nation is of vital importance for the equal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nation must strive to a establish learning retardation students support system. 2. The Offices of Education must offer many resources to make effective learning retardation student guidances. 3. Schools must strive to secure essential learning courses of retardation students. Ultimately, these three organizations must have the willingness to understand detailed guidelines of basic learning education and to put it practice. The accountability of organizational levels on the role of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and nation for the retardation students is of vital importance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성별화된 이혼의 서사

        김순남(Kim Sunnam)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4

        이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이혼 당사자들의 정신적인 고통이나 불행, 혹은 이혼 이후에 겪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 편견에 주목해 왔다. 그러나 이혼 이후에 여성과 남성이 부여하는 상실의 의미의 차이가, 이혼 이후 자아정체성의 형성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는 과정에 주목한 연구는 부재하다. 이 논문은 30명의 이혼 남성 여성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이혼이후의 ‘상실’의 경험을 해석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젠더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많은 남성들이 이혼을 통해 겪는 ‘상실’의 경험은 ‘이상적인 결혼’을 유지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분노 혹은 후회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며, 이는 가정을 유지하는 일차적인 책임이 여성에게 있다는 남성 중심의 시각 속에서 ‘이상적인 아내’를 만나지 못한 분노 혹은 후회와 밀접하게 결합이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이혼 남성들의 ‘새로운 자아’의 정체화 과정은 남성 중심의 가족/결혼관계에 대해 근본적인 변화를 동반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남성들이 이혼을 ‘상실'의 경험으로 사고하는 반면에, 여성들은 결혼을 ‘상실’의 경험으로 이혼을 ‘자아상실’을 회복하고 새롭게 자신을 찾는 여정으로 지배적으로 묘사한다. 즉, 여성들은 결혼 자체에 대한 회의나 불평등한 젠더 관계에 대한 문제 제기 속에서 결혼 전에 가졌던 가치나, 믿음, 여성성에 대한 주요한 재해석을 동반하는 이혼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많은 여성들은 결혼 생활에 대한 분노와 후회를 단순히 개인적인 남성에 대한 분노로서 의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가부장제 관계에서 침묵 당해온 여성의 목소리를 획득하는 결정적인 감정의 기제로서 표출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different meanings that women and men attach to loss and change after divorce. The loss of a ‘marital relationship' is certainly a stressful life event for both divorced men and women. Yet the experience of ‘loss' is made sense of differently by men and women and linked to their gendered narratives of a ‘new self'. This article 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of 17 women and 13 men. Compared to men’s narratives which did not talk about losing themselves in marriage, women’s question about the unequal basis of marriage and their anger to attribute to their loss of self through their marital experience becomes the basis to reconstruct their self, raising the question about their beliefs and knowledge which promised their happy life in marriage. To understand women's and men’s different ways of interpreting their past highlights how divorce is not the same event to women and men but it brings different subjective experiences dependent on the social context. These different subjective experiences are particularly captured through gendered narratives of a ‘new self' in relation to divergent meanings of loss and change, new relationships, and also difficulties they encounter.

      • KCI등재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메타평가 논리와 준거 탐색

        김순남 ( Soon Nam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1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학교평가 준거체제 탐색``이라는 본 연구를 통해 30개의 준거체제를 설정하였다. 이 준거체제는 문헌 고찰을 통해 학교평가의 학교평가를 메타평가하기 위해 당위적 측면에서 설정한 것이다. 먼저, 학교평가의 단계를 기획 단계, 자체평가 단계, 방문평가 단계, 결과보고 단계 등으로 설정하였다. 각 단계별로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를 설정하였다. 첫 단계인 기획 단계의 준거로 열 개의 준거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자 양적 충족성, 평가자 전문성, 학교현황 진단의 충분성, 목적 설정의 타당성, 방법 설정의 적절성, 준거의 타당성, 기준 판단 근거의 명확성, 절차의 타당성, 연수 프로그램의 충실성 등이다. 이러한 기획단계의 메타평가 준거는 학교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평가 자원 요소와 평가 설계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평가 기획 단계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체제로 설정되었다. 일반적으로 학교평가 실제에서 평가 기획이 잘 되어야 다음 단계인 평가 수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평가 기획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평가 주관 기관에서 평가 기획단계가 끝나면 형성적 기획 단계의 메타평가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데 이 준거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단계인 자체평가 단계의 준거로 다섯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자체평가 지원조성의 적절성, 자체평가 기획의 적절성, 자체평가 참여의 적절성, 자체평가의 정확성, 자체평가 활용의 적절성 등이다. 이러한 자체평가 단계의 메타 평가는 평가 주관 기관의 자체평가 유도 요소와 단위 학교의 자체평가 수행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두 기관의 기능이 적절한지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단위학교의 자체평가에 대한 기획, 운영, 활용에 대한 준거들이 설정되어 단위학교의 자체평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준거체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단계인 방문평가 단계의 준거로 일곱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서면평가의 적절성, 학교 특성 분석의 충실성, 자료 요구와 출처의 명확성, 자료 수집 방법의 적절성, 평가 수행의 윤리성, 자료 수집의 적절성, 평가의 객관성, 평가의 공정성 등이다. 이러한 준거들은 방문평가의 삼 요소를 과정별로 학교 특성분석, 정보 수집 및 정보 판단으로 나누어 방문 단계의 평가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넷째 단계인 결과보고 단계의 준거로 세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 학교간 결과 평정의 공정성, 보고서의 충실성 등이다. 이 준거는 평가 결과 요소와 보고서 요소로 구성되었다. 평가 결과가 신뢰로운 지, 학교간에 공정한 지를 평가하고 대해 보고서를 충실하게 작성하였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다섯째 단계인 활용 단계의 준거로 네 개를 설정하였다. 그 준거로는 평가 결과의 공개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학생?교직원에의 영향성, 메타평가 활용의 적절성 등이다. 이는 평가 결과의 활용 요소와 메타평가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학교평가 단계 중심의 메타평가 준거체제의 유용성은 첫째, 평가 주체자들이 평가수행의 과정에서 지켜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각 단계별 평가과정에서 실제로 학교평가를 메타평가 할 수 있는 준거로 이용될 수 있다. 셋째, 평가자체를 평가하는 ``메타평가 수행의 적절성``을 포함하므로 학교평가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학교평가 활용 측면을 메타평가의 한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학교교육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론에서 제시한 PSVRU 메타평가 모형과 준거체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설정된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체제를 다른 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와 비교해 볼 때, ERS 준거와는 단계별 준거체제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4가지 이념별로 접근한 JC 준거와는 접근 방법상의 차이는 있지만 몇 가지 준거가 공통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로 ``메타평가의 적절성``이바로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나머지 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준거인 AEA 준거, JDRP 준거, OSE 준거, GAO 준거 등은 일부 영역만을 평가의 준거로 삼고 있어 본 연구의 준거와 달리 접근한 준거들이라 할 수 있다. 평가 활동 자체에 대한 평가인 메타평가는 이제 필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아직 메타평가에 대한 논의는 실천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메타평가에 대한 활성화 작업이란 측면과 메타평가 준거의 탐색적 연구라는 측면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a-evaluation criteria system for school evaluation. A literary study were preformed for the study. The model PSVRU as a school-evaluating model was chosen for establishing the criteria by steps. The meta-evaluation model PSVRU is consists of such evaluation-steps as planning step, self-evaluation step, visiting-evaluation step, reporting-result step and utility-evaluation step. In the school evaluating planning step, there are 10 criteria such as the sufficiency of evaluator group, the professionalism of evaluator, the sufficiency of finance, the sufficiency of school examination, the validity of purpose, the validity of evaluation standards, the clearness of judging the evaluation standards,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evaluation method,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procedure and the utility of evaluation program. The self-evaluating step which consists of 5 criteria includes the appropriateness of supporting the self-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self-evaluating planning,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the accuracy of self-evaluation and the utility of the result of self- evaluation. The visiting-evaluating step have 8 criteria: the relevance of paper-evaluation, the truthfulness of analysing school situation, the clearness of information collect and resource, the relevance of evaluation-practicing method, the ethics of evaluation practice, the sufficiency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practice and the impartialism of information judgement. The step of reporting result are the relev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 impartialism of evaluation results rating, and the sufficiency of evaluation report. In the utilization step, there are the openness of evaluation result, the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 the effect of evaluation result and the property of meta-evaluation.(Kyungpook National Uni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