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신건강(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의 다중매개효과

        김소향(Kim, So Hyang),조준오(Jo, J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연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신건강(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정신건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와 어머니 293쌍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어머니 정신건강, 그리고 유아 정신건강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정신 건강 변인인 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이 낮아졌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 충동성, 공격성은 자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우울, 충동성, 공격성이 높을수록 자녀 정신건강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중매개효과 검정에서 어머니 결혼만족도와 자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우울 및 공격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of mot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children s mental health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mental health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3 pair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Scales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for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and for the mental health of preschoolers were us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was found to have affected their depression, anxiety,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that were the variables of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higher marital satisfaction led to lower depression, lower anxiety, lower impulsiveness and lower aggressiveness. Second, the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of the mothers were found to have influenced the mental health of the children. Namely, the children were in better mental health when there were more depression, more impulsiveness and more aggressiveness in their mothers. Third, whe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were verified, the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of the mothers were found to have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children s mental health.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소향(So-Hyang Kim),이신숙(Shin-Suk Le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사는 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 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이 비참여노인보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데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밖에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가족, 건강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였고, 건강, 학력, 연령, 결혼상태, 거주형태, 한 달 생활비, 경제상태, 주거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 학력, 경제상태, 연령 등의 변수들은 자아존중감 정도를 32% 설명하고 있었고, 생활만족도 정도를 48% 설명하고 있었다.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년기의 일의 중요성을 깨닫고 많은 노인들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reviewed on the effect of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o thei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got positive verific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89 elderly people in Suncheon City. Some were participants on the project and others were not. SPSS Win 10.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mployment project had highe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 to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ject. Second, the job for elderly people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elderly people to increas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age, education background, income, family, and health were followed by. Third, participation on the employment for elderly was the highest correlation variable i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education background, marriage status, residence type, living expense per month, economic status, and housing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Fourth, variables such as participation on job, education background, economic status, and age explained 32% of self-esteem, and 48%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e ne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for elderly people, and promote projects that let elderly people to participate in job.

      • KCI등재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적 탐구하기 활동의 연계성 분석

        김소향(Kim, So 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 세부 내용과 교사용 지도서 수학적 탐구하기 활동의 연계성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유아수학교육과정 운영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3-5세 누리과정 수학적 탐구하기 세부 내용과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3권에 포함된 수학적 탐구하기 활동 278개이다. 수학적 탐구하기 세부 내용 연계성 분석은 송순희 외(1991) 연구의 반복, 발전, 격차 준거를 사용하였고, 수학적 탐구하기 활동 연계성 분석은 3, 4, 5세 수학적 탐구하기 세부 내용을 분석 준거로 사용하였다. 3, 4, 5세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은 발전적 연계 15회, 반복적 연계 4회로 나타났다. 278개 활동 중 수학적 탐구하기 관련요소 2개가 한 활동에 포함된 활동 5개를 추가하여 283개의 활동 가운데 64개(22.6%) 활동이 연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활동은 76개 중 16개(21.1%),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활동은 111개 중 24개(21.6%), 기초적인 측정하기는 18개 활동 중 4개(22.2%), 규칙성 이해하기는 22개중 7개(31.8%), 기초적인 자료 수집과 결과 나타내기는 56개 중 13개(23.2%)가 연계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적 탐구하기 활동에 대한 제한점이며, 그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more effectiv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urriculum by evaluating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mathematical activities in Nuri teacher’s guide books for 3, 4, and 5 year olds. In this study, 278 mathematical activities from 33 Nuri teacher’s guide books for 3, 4, and 5 year olds were analyzed. The tools used for articulation analysis were compliance of repetition, development, difference based on research by Soon-Hi Song (1991) and detailed contents of mathematical exploration for 3, 4, and 5 Year Olds. Detailed contents of mathematical exploration for 3, 4, and 5 year olds demonstrated 15 developmental articulation and 4 repetitive articulation. Of the 278 mathematical activities, including 5 activities with 2 related mathematical exploration, 64 (22.6%) activities of the 283 showed no relations. There was no articulation among the 7 (31.8%) of the 22 understanding of pattern activities, 13 (23.2%) of the 56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ults activities, 4 (22.2%) of the 18 basic measuring activities, 24 (21.6%) of the 111 spatial and geometric activities, and 16 (21.1%) of the 76 numbers and operations activitie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limitations of mathematical activities at the Nuri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and the study further discusses the problems in their improvement.

      • KCI등재

        사전설계, 사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블록놀이가 유아의 추론능력, 수학적 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소향(Kim, So-Hya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쌓기 놀이 영역에서 사전설계와 사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블록놀이가 유아의 추론능력, 수학적 능력,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P시의 B유치원 만 5세 유아 22명과 I시의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2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1년 5월 9일부터 7월 15일까지 총 10주 동안 이루어졌다. 유아의 추론능력 검사를 위해 한국판 레이븐 지능검사(K-CPM)를 사용하였으며, 수학적 능력 검사는 SESAT를 사용하였고,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경원의 유아도형창의성검사(K-FCTY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사전설계와 사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블록놀이는 유아의 추론능력과 수학적 능력, 창의성의 구성요소 중 유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block play using pre-drawing pictures, photographs, and portfolio on young children’s reasoning ability, mathematic ability, and creativity. Subjects are forty-four children from two class of B kindergarten in P city and S kindergarten in W city. One class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had block play using pre-drawing pictures, photographs, and portfolio and the 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that had general block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ir reasoning ability, mathematic ability, and fluency of crea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lock play using pre-drawing pictures, photographs, and portfolio can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reasoning ability, mathematic abi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소향 ( Kim So Hyang ),조준오 ( Jo Jun O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22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력, 정서조절력, 그리고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 그리고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과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이 자기조절력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정 정서조절은 창의적 인성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자기조절력 및 정서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적응적 정서조절보다 창의적 인성에 높은 정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부정 정서조절은 창의적 인성에 부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의 하위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적응적 정서조절,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의 순으로 정적 예측관계가 있었고, 부정 정서조절은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부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인 정서성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중심으로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력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preschooler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lected preschool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 self-regulation inventory, an emotional regulation inventory and a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were utiliz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s of the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the preschoolers to creative personality, the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strong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no relationships with creative personality. Second, how their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ffected creative personality was analyzed, and self-regulation had a closer posi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than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a nega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ubvariables of their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n creative personality,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the strongest posi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followed by self-evaluation, self- determina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a negative predictable relationship with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ity that was one of the subvariables of self-regulation exercised no influence on creative personality.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roles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chool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상후인지가 성폭력 피해 여성의 심리적 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김소향 ( Kim So Hyang ),최지영 ( Choi Ji 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 여성의 외상후스트레스, 우울, 불안을 포함한 전반적인 심리적 후유증을 확인하고, 심리적 후유증에 미치는 외상후인지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폭력 피해 여성 104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성폭력 사건 특성, 사건 후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자기보고 설문지로 심리적 후유증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폭력 사건 특성 중 성폭력 사건 발생 시 가해자에 의한 물리적 폭력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과 불안 증상을 높이고, 가해자와 신체접촉이 외상후인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우울 증상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폭력, 신체접촉이 심리적 후유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바, 외상후인지의 독립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성폭력 특성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통제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외상후인지 중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우울 증상, 불안 증상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불안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심리적 후유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폭력에 대한 외상후인지를 고려한 치료 프로그램 및 사례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와 같은 의의와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traumatic cognition on the psychological sequelae includ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ho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For this purpos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ual violence incident characteristics, and post-incident characteristics of 104 victims of sexual violence were surveyed and psychological symptoms were evalua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is study found that post-traumatic cogni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incident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dentify the independent effects of post-traumatic cognition on PTSD symptom, depression, and anxie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negative cognitions about the self had significant effects on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and negative cognitions about the world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symptoms even when demographic variable and incident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for i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reatment approach and case support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post-traumatic cognitions in order to reduce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sexual violence victim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아의 게임 마인드 증진을 위한 수학게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소향(Kim So-Hya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는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점차 강조되고 있는 수학적 능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 사회적 대인관계 능력과 같은 게임 마인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학게임의 교수방법과 구체적인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8명이며, 연구 절차는 선행 연구 및 문헌고찰, 게임 마인드 증진을 위한 수학게임 프로그램 구성,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를 통한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교사 훈련, 프로그램 적용 및 개발, 최종 수정 보완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활동의 적용 기간은 30주였으며, 그 결과 13개의 주제에 따라 15권의 그림책을 활용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15개 게임과 유아가 주도적으로 창안한 게임 15개, 총 30개의 활동으로 구성된 게임 마인드 증진을 위한 수학게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ath game and specific activities that will promote game-mind such a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soci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that are increasingly valued in the 21st centu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5. The research procedure followed these steps: 1) review of existing documents in order to research on game mind, 2) development of math gam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game mind, 3) correction of the math game program through experts, 4) training of the teachers as well as the assistants, 5) lastly development of the finished math game program through final correction and perfection. The time frame of the program was 30 weeks. As a result, math game program developed to improve children's game mind that were in total of 30 math games, utilizing 15 picture-books based on 13 different themes and researcher-developed 15 games and 15 child-initiated games.

      • KCI등재

        명화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교육적 의미 탐색

        김소향(Kim, So-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여 유아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B시의 A유치원 만 5세 유아 26명이며, 12주에 걸쳐 명화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교사의 일과평가서, 동영상 자료, 연구노트이며, Lincoln & Guba(1985)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들은 수학적 지식에 흥미를 나타냈으며, 둘째 명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놀이로 전환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명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생각을 표현했고, 넷째 명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명화를 활용한 수학교육은 미술적 요소와 수학적 요소가 연계되어 다른 학문 영역과의 자연스러운 통합교육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수학교육을 통해 통합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using masterpiece. The subjects were 26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B city, they provided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using masterpiece for 12 weeks. Analysis materials to examine educational meaning are teachers’ daily work evaluation, video data, research notes, and it was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Lincoln & Guba(1985).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First, the children showed interest in mathematical knowledge and second, the math activities using masterpiece were converted into play. Third, children expressed their creative thoughts through math activities using masterpiece, and fourthly, they solved problems through math activities using masterpiece. Finally, artistic and mathematical elements were linked, and integrated education with other academic fields was achie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plan for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mathematics education using masterpiece.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 간의 일치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율성과 놀이성의 차이

        김소향 ( Sohyang Kim ),조준오 ( Junoh J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역량과 실천역량 간의 일치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율성 및 놀이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B시에 소재한 22곳의 공사립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300명과 유아 30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역량, 실천역량, 유아의 자율성 및 놀이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 간의 일치수준에 따른 유아 자율성 및 놀이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의 일치 수준에서 높은 일치가 낮은 일치 및 불일치보다 유아의 자율성 및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율성에 놀이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높은 일치의 중요성을 교육 현장에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difference there is between autonomy and playfulness in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understanding competence and the practice competence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00 young children who are working in 22 kindergartens located in B city. Looking into the results, young children’s autonomy in high consistence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to low matching and mismatch in the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mpetences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high consistence was indicated to be higher compared to low matching and mismatch in the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mpetences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