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 간의 일치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율성과 놀이성의 차이

        김소향 ( Sohyang Kim ),조준오 ( Junoh J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역량과 실천역량 간의 일치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율성 및 놀이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B시에 소재한 22곳의 공사립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300명과 유아 30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역량, 실천역량, 유아의 자율성 및 놀이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 간의 일치수준에 따른 유아 자율성 및 놀이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의 일치 수준에서 높은 일치가 낮은 일치 및 불일치보다 유아의 자율성 및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율성에 놀이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높은 일치의 중요성을 교육 현장에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difference there is between autonomy and playfulness in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understanding competence and the practice competence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00 young children who are working in 22 kindergartens located in B city. Looking into the results, young children’s autonomy in high consistence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to low matching and mismatch in the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mpetences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high consistence was indicated to be higher compared to low matching and mismatch in the consistency level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mpetences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김혜성 ( Hyesung Kim ),방성아 ( Sungah Bang ),김소향 ( Sohya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 G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3-5세 유아 335명을 선정하여 기본생활습관, 자기조절력, 문제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3.3 버전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자기조절력 증가에 영향을 주었고, 또한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조절력은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기본생활습관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문제행동, 그리고 자기조절력 간의 인과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조절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reduce problem behavior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habits and problem behaviors. Daily habits,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 335 children aged 3-5 yea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aily habits of children had an effect on self-regulation. Second, children’s self-regulation had an effect on problem behavi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self-regulation had an effect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Forth,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served as a partial mediato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habits and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daily habits and self-regulation are important to reduce problem behaviors by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habits, problem behaviors,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조준오 ( Junoh Jo ),김소향 ( Sohya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수업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확인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20명이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에게 놀이성, 교수몰입, 수업전문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된 자료는 jamovi 2.0.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jAMM(jamovi advanced mediation models) 1.0.5 버전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은 교수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놀이성과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were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located in P city.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on playfulness, teaching immersion, and class expertise. Third, the collected data is jamovi 2.0. 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version. Fourth, the mediation effect test was analyzed with jAMM (jamovi advanced mediation models) version 1.0.5.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ful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had an effect on teaching flow.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immersion in teaching had an effe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ird, the kindergarten teacher’s flow in teaching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유아 숲놀이성이 인성 및 또래 유능성 미치는 영향

        임미정(Lim, Mijung),박한숙(Park, Hansook),김소향(Kim, So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연구는 유아 숲놀이성이 인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인성 능력과 또래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숲놀이성이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14곳과 어린이집 27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만 3세∼5세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12월 2주∼2017년 12월 4주까지 총 4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2018년 1월 1주∼2018년 1월 4주까지 총 403부(98%) 회수 되었다. 유아의 숲놀이성, 인성, 또래 유능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숲놀이성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이 인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 숲놀이성은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이 인성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 숲놀이성이 성장기 유아들에게 중요한 활동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인성과 또래 유능성 향상을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the playfulness on character and peer competency among preschoolers aged between 3 and 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of the forest playfulness, character and peer competency of the preschoolers, the variable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As to the correlation of the subvariables, the subvariabl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s wel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orest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on character, their forest playfulness exerted a 47% influence on charact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orest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on peer competency, their forest playfulness exerted a 54% influence on peer competency. The forest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also was effective at improving character and peer competency. Theref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forest playfulness can widely be util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one of activities that are important for preschoolers in the growth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