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발사체 기저부 열전달 해석을 위한 플룸 복사 모델링 개념 개발

        김성룡(Seong-Lyong Kim),고주용(Ju-Yong Ko),김인선(Insu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한국형 발사체의 플룸 형상과 플룸 복사열 해석을 위해 NASA LRB 플룸 복사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열해석 소프트웨어인 Thermal Desktop에서 형상화하여 실제 복사 열전달을 계산하여 NASA 예측 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산 결과 NASA 예측과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한국형 발사체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플룸 모델 형상을 제안하였다. In the present research, NASA LRB plume radiation models are reconstructed with Thermal Desktop software, where the radiation to vehicle base environment can be calculated. The calculation shows the similar radiation heat compared to NASA prediction. Based on LRB plume radiation model, a KSLV-Ⅱ thermal radiation model is proposed.

      • 뇌손상 환자에서 SE, TSE, TGSE의 적용에 대한 비교 연구

        구은회,방용식,신용환,김학문,김성룡,김동성,이용우,Goo Eun Hoe,Bang Yong Sik,Shin Yong Hwan,Kim Hak Moon,Kim Seong Ryong,Kim Dong Sung,Lee Yong Woo 대한방사선사협회 2001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27 No.2

        I. Purpose : There are many kinds of MRI techniques and there have been new techniques spreading clinically with the development of software. Clinical diagnosis value has been comparatively studied by conducting the techniques of SE, TSE, and TGSE on the

      • KCI등재
      •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 현황 조사 연구

        손강숙(Kang-suk Shon),김성룡(혜묵)(Seong-yong Ki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 detail the number of participants by region, the content of prayer, what they gained through praye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and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directly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3,073 Diamond Sutra prayer participants four times in July,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regions were Gyeongsang region (45.2%), Seoul metropolitan region (42.5%), Chungcheong region (6.4%), Gangwon region (3.2%), Jeolla region (2.3%), and overseas region (0.2%)., followed by the Jeju region (0.2%). Second, the contents of prayer were in the following order: health (26.6%), wish (20.6%), wealth (18.o%), and enlightenment (13.1%). Third, the things gained through prayer were in the order of health (23.8%), enlightenment (17.1%), wish (14.0%), and other (13.4%). Fourt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rayer participation by region. Overall, the ratio of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as high, and satisfaction with the August conference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the October conference showed a tendency to slightly decrease. Looking at satisfaction by age,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for each age, the overall ratio of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was high in all age groups. Analyzing the monthly responses, we can see that satisfaction with the August conference was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the October conference tended to be slightly 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participants in temple-based Diamond Sutra prayers and provide basic data on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Diamond Sutra pray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지역별 참여자 수, 기도의 내용, 기도를 통해 얻은 것,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73명의 금강경 기도 참여자를 대상으로 7월, 8월, 9월, 10월 총 4차례 질문지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상지역(45.2%), 수도권지역(42.5%), 충청지역(6.4%), 강원지역(3.2%), 전라지역(2.3%), 해외지역(0.2%), 제주지역 (0.2%) 순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기도의 내용은 건강(26.6%), 소원(20.6%), 재물(18.o%), 깨달음(13.1%)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도를 통해 얻은 것은 건강(23.8%), 깨달음(17.1%), 소원(14.0%), 기타(13.4%)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도참여의 만족도는 각 지역별로 미세한 편차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8월 법회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10월 법회의 만족도가 조금 낮아진 경향을 볼 수 있다. 연령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각 연령별로 미세한 편차는 있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과 ‘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월별 응답을 분석해보면, 8월 법회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월 법회의 만족도가 조금 낮아진 경향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금강경 기도 참여자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금강경 기도 기획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75톤급 연소기 연소시험을 위한 지상시험설비 구축 현황

        이광진(Kwang-Jin Lee),김승한(Seung-Han Kim),유병일(Byung-Il Yoo),정용갑(Yong-Gahp Chung),조남경(Nam-Kyung Cho),김성룡(Seong-Lyong Kim),한영민(Young-Min Han)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2

        본 논문은 75톤급 연소기의 연소시험을 위한 지상시험설비의 구축 현황을 다루고 있다. 이 시험설비는 유공압 시스템, 제어/계측 시스템, 테스트 스탠드 및 가스 덕트 냉각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시험설비 내 필수 구성요소들의 기능 확인을 위한 시운전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 시운전 단계가 종료되고 시험설비가 정상 가동되면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위한 연소기 연구 일정과 비용 단축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covers construction status of ground test facility for hot-firing test of 75tonf-class combustion chamber. This facility consists of several systems: hydro-pneumatic system, control and measurement system, test stand and gas duct cooling system, etc. Start-up test is currently underway to confirm the function of the essential component in the test facility. After start-up test, performing of normal operation of this facility would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n schedule and cost reduction of combustion chamber research for KSLV-Ⅱ development.

      • Size-Specific Dose Estimates의 유용성 평가

        임진희(Jin Hee Lim),정용환(Yong Hwan Jung),대창민(Chang Min Dae),김성룡(Seong Ryong Kim),민관홍(Kwan Hong Mi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 2011년에 발표된 AAPM report 204에서는 volume CT Dose Index(이하 CTDIvol)와 Dose Length Product(이하 DLP)의 선량표현 방법으로는 환자마다 정확한 선량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Size-Specific Dose Estimates(이하 SSDE)라는 새로운 환자의 선량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해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SSDE가 환자가 가진 고유 정보와 장비에서 제공되는 CTDIvol, DLP, Effective Dose(이하 ED)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개인별 선량표현 방법으로써 임상에 적용하여 선량의 표준화 작업에 사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Phantom연구는 Norris(이하 N), Wendy(이하 W)와 Whole body phantom(이하 P)의 세 팬텀을 256-slice MDCT(이하 Scanner A)로 촬영하여 Anteroposterior Diameter(이하 AP Di), Lateral Diameter(이하 Lat Di), AP와 Lat의 합(이하 SUM), Effective Diameter(이하 Eff Di)를 각각 SSDE로 변환하여 비교하였다. 임상연구는 2012년 8월에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골반 CT 검사를 시행한 921명(대조군)과 11월 같은 검사를 받은 850명(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장비는 Scanner A와, 64-slice MDCT 3대(이하 Scanner B, C, D)로 총 4대의 Scanner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의 Eff Di와 SSDE를 측정하여 나이, 키, 몸무게, Body Mass Index, Eff Di, CTDIvol, ED와의 상관관계를 각 장비별로 분석하였고, median SSDE와 실험군의 Reference mAs를 대조군의 median SSDE 최솟값에 맞춰 적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측정 후 각 장비별 median SSDE를 비교하였다. 결과 : phantom 측정 결과 N, W, P에서 SSDE가 각각 Diaphragm level에서 17±1, 18±1, 13±1 mGy, Pubic symphysis level에서 17±1, 16±1, 13±1 mGy가 나왔다. 대조군의 median SSDE는 Scanner A~D가 각각 16.0, 13.9, 13.6, 16.3 mGy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SSDE와 나이, 키, 몸무게, BMI, Eff Di, ED, CTDIvol, DLP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적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SSDE를 최솟값인 13.6(±10%)으로 QA하기 위하여 Scanner A와 D의 reference mAs를 215 mAs과 230 mAs로 변경하여 시행한 결과 median SSDE는 각각 13.8, 13.9, 13.4, 13.3 mGy로 나타났다. 결론 : SSDE는 AP Di, Lat Di, SUM, Eff Di 중에 어떤 방법으로 얻어도 오차범위 안으로 나타났고, 독립적인 변수이며 장비 선량의 표준화 작업을 할 때 적정한 선량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선량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장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현하는 CTDIvol, DLP와 함께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SSDE도 표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AAPM report 204 present a way to express a new dose to the patient, the Size- Specific Dose Estimates(SSDE) is recommended. In this paper, therefore, to suggest SSDE as the individual dose to the patient and the indicator of Radiation Dose Quality Assurance(QA). Materials and Methods : We compared SSDE from the largest anteroposterior(AP), lateral, sum of those diameters and effective diameter of the phantoms, Norris(N), Wendy(W) and Whole body phantom(P) using 256-slice MDCT. The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by 921 patients in August and 850 patients in November underwent Abdomen & Pelvis CT using scanner A and 3 64-slice MDCT scanners(B, C and D).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SSDE and the factors(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BMI), effective diameter(Eff Di), CTDIvol, DLP, effective dose(ED) by each equipment and compared SSD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reference mAs was changed to the target mAs. Results : In the phantom study, SSDE was 17±1, 18±1, 13±1mGy at the diaphragm level and 17±1, 16±1, 13±1 mGy at the Pubic symphysis level. In the clinical study, median SSDE of control group was 16.0, 13.9, 13.6, 16.3 mGy in each. Reference mAs was changed to target mAs, then median SSDE of experimental group was 13.8 13.9 13.4 13.3 mGy. Conclusions : SSDE is an independent factor and is un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scanner output. We suggest to indicate SSDE as patient’s dose with CTDIvol and DLP.

      • Unconscious patient Abdomen CT 검사 시 팔 위치에 따른 영상 평가와 선량 감소효과에 대한 고찰

        신윤성(Yun Sung Shin),정용환(Yong Hwan Chong),대창민(Chang Min Dae),김성룡(Seong Ryong Kim),민관홍(Kwan Hong Min)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 unconscious 환자는 abdomen CT 검사 시에 standard position이 불가능한 경우에 alternative position(이하 A position)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alternative position을 변화 시켰으며(이하 B position) 이로 인한 unconscious patient Abdomen CT 검사 시 position에 따른 선량 감소효과와 영상 평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팔 위치에 따라 reference mAs(or noise level)와 image quality가 달라진다는 가정 하에 인체의 팔 대신 돼지 뒷 다리뼈와 Whole body phantom(KUPBU-50 Kyoto kagaku Co.Ltd)을 사용하여 64MDCT (Brilliance 64, Philips health care, Cleveland. OH, USA, 이하 scanner A)와 256MDCT (Brilliance iCT, Philips health care, Cleveland. OH, USA, 이하 scanner B)에서 A position과 B position을 각각 5회씩 abdomen CT protocol을 시행하였다. 실험한 phantom의 영상평가는 liver와 kidney의 noise를 측정하였고 선량 평가는 장비에서 제시한 CTDIvol을 분석하였다. 임상평가는 2012년 4월부터 7월까지 본원 응급실을 방문한 남성 환자 중 BMI가 normal group (18.50~24.99)이며 standard position 불가능한 A position 22명, B position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평가는 정성적 분석으로 복부판독의 2명이 5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정량적 분석으로 복부 장기의 noise, SNR, CNR을 측정하였다. 선량평가는 phantom검사와 같이 장비에서 제시한 CTDIvol을 측정하였다. 결과 : Scanner A와 scanner B에서 검사한 phantom의 영상에서 측정한 A position과 B position의 noise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면서 CTDIvol은 scanner A에서 A position이 9.67, B position이 7.50으로 22%감소하였고 scanner B에서 A position이 12.0, B position이 8.75로 27%의 선량 감소를 보였다. 임상평가의 영상 평가의 정성적 분석에서 B position(3.84)이 A position(2.84)보다 전반적인 장기별 점수가 높게 측정되고(p<0.01) 정량적 분석에서는 두 position의 noise(p>0.05), SNR(p>0.05), CNR(p>0.05)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면서 CTDIvol은 scanner A에서 A position이 12.78, B position이 8.81로 31%감소하였고 scanner B에서 A position이 13.27, B position이 10.28로 22%의 선량 감소를 보였다. 결론 : Unconscious patient Abdomen CT 검사 시 standard position이 불가능한 경우에A position보다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 B position이 image quality를 향상시키고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arm position on image quality and effective radiation dose in automatic exposure controlled(AEC) multi-detector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CT) protocol in unconscious patient. Materials and Methods : There is no doubt that reference mAs(or noise level) and Image quality are changed by arm positioning in unconscious patient. In phantom study, whole body phantom(KUPBU-50 Kyoto Kagaku Co. Ltd) and pig bones are used for arm positioning. Abdomen CT protocol is performed five times at each position (A and B) by 64MDCT (Brilliance 64, Philips health care, Cleveland. OH, USA. Scanner A.) and 256MDCT (Brilliance iCT, Philips health care, Cleveland. OH, USA. Scanner B.). Noise level of Kidney and Liver are measured for image quality evaluation and CTDIvol is used for dose evaluation. In clinical study, fourty four patients are involved (22 patients with position A, 22 patients with position B), who are undergone Abdomen CT protocol at SNUBH from april, 2012 to july, 2012. Two radiologists assessed with five-point scale-1(excellent), 2(good), 3(fair), 4(marginal), 5(poor). Abdominal organs’ noise, SNR, CNR is measured for quantitative analysis. Dose evaluation method is samely performed as the phantom study. Results : In phantom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noise difference between position A and position B. Position A’s CTDIvol is 9.67mGy and position B’s CTDIvol is 7.50mGy (22% decreased) with scanner A. Position A’s CTDIvol is 12mGy and position B’s CTDIvol is 8.75mGy (27% decreased) with scanner B. In clinical study,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hasn’t show larger difference in noise (p>0.05), SNR (p>0.05), CNR (p>0.05). In qualitative analysis result, position A gets 2.84 and position B gets 3.84. Generally, position B gets higher score than position A. Position A’s CTDIvol is 12.78mGy and position B’s CTDIvol is 8.81mGy (31% decreased) with scanner A. Position A’s CTDIvol is 13.27mGy and position B’s CTDIvol is 10.28mGy (27% decreased) with scanner B. Conclusions : Selection of position B with the device can help to increase image quality and reduce CTDIvol in unconscious patient’s Abdomen CT

      • SCOPUSKCI등재

        Air Lift Fermentor에서 Sisomicin 발효시에 발효유사액을 이용한 산소전달속도 측정

        김성룡,신철수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6

        Air lift fermentor를 이용한 sisomicin 발효중에 발효액의 물성과 비슷한 발효유사액을 이용하여 산소 전달속도 및 gas hold-up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기공급속도 1.0, 1.5, 2.0 vvm 및 80 mM MgSO_4의 첨가유무의 조건에서, sisomicin 생성 초기인 배양 40시간 및 균체증식속도가 최대인 배양 60시간대의 발효액인 12가지 각각의 물성을 Power’s Law 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gSO_4 첨가유무의 두 경우 비슷하게 발효시간의 경과와 공기공급속도의 증가에 따라 n 값이 감소하고 K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발효액과 유사한 물성을 지닌 발효유사액을 0.7∼2.1% CMC 용액으로 제조하였으며, 이들 용액을 이용하여 superficial air velocity에 따른 gas hold-up과 산소전달속도상수(K_La)를 측정하였으며, ε=αU^β_(Gr), k_La=γU^δ_(Gr)의 일반적인 상관관계가 얻어져 실제 발효액에 대한 ε 및 k_La을 공기공급속도에 따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predict gas hold-up and oxygen transfer rate during sisomicin fermentation employing air lift fermentor, simulated media similar to fermentation broths in rheological properties were prepared and used. Rhe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ation broths from 40 hours and 60 hours of cultiv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to Power’s Law equation. Regardless of addition and no addition of MgSO_4, the tendencies, that n value was decreased and K value was increased as aeration rate was increased, were shown. Simulated media of twelve different fermentation broths were formulated in a range of 0.7 to 2.1% CMC, and the values of gas hold-up and k_La depending on superficial air velocity were measured using these simulated media. And the relationships, ε=αU^β_(Gr), k_La=γU^δ_(Gr), were obtained, and these equations are thought to be used to predict the values of gas hold-up and K_La during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