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치주인대세포 및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능에 대한 Epidermal growth factor의 영향

        김선우,이재목,서조영,Kim, Seon-Woo,Lee, Jae-Mok,Suh, Jo-Young 대한치주과학회 199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6 No.4

        Epidermal growth factor(EGF) is one of polypeptide growth factors. EGF has been reported as a biological mediator which regulates activities of wound healing process including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etabol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GF on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 cells that promote regeneration of periodntal tissue. The mitogenic effects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evaluated by determining the incorporation of 5-Bromo-2'-deoxy-uridine into DNA of the cel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prepared cells were the primary cultured gingival fibroblast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from humans, the fourth or sixth subpassag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Cells were seeded in DMEM containing 10% FBS. 1, 10, 50, 100, $200{\eta}g/ml$ and epidermal growth factor were added to the quiescent cells for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They were labeled with $10\{mu}l/200{\mu}l$ 5-Bromo-2'-deoxy-uridine for the last 6 hours of each culture. The results of the five determinants were presented as mean and S.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DNA synthetic activ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increased dose dependently by epidermal growth factor at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The mitogenic effects were similar at the 24 and 48 hours of epidermal growth factor, but the DNA synthetic activ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generally decreased at 72 hours. The DNA synthetic activ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increased dose dependently by epidermal growth factor at 24 hours but the DNA synthetic activity decreased at $200{\eta}g/ml$ of each hour. Generally the maximum mitogenic effects were observed at the 48 hours applic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The DNA synthetic activ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generally decreased lower at 24, 72 hours than at 48 hours the applic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the comparison of DNA synthetic activity between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ad slightly higher proliferation activity than human gingival fibroblasts for a longer time at the high dosage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In conclusion, epidermal growth factor have important roles in the stimulation of DNA synthesi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thus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s in periodontal regenerative procedures.

      • KCI등재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2형 당뇨병이 $PGE_2$, MMP-14 및 TIMP의 발현양상에 미치는 영향

        김선우,박진우,서조영,이재목,Kim, Seon-Woo,Park, Jin-Woo,Suh, Jo-Young,Lee, Jae-Mok 대한치주과학회 200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7 No.4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quantify the expression of $PGE_2$, MMP-14 and TIMP-1 in the gingival tissue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healthy adults of chronic periodontitis with alveolar bone resorption. Material and methods: Gingival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during periodontal surgery or tooth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 clinical criteria of gingiva, each gingival sample was de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n=8) is clinically healthy gingiva without bleeding and no evidence of bone resorption or periodontal pockets, obtained from systemically healthy 8 patients. Group 2 (n=8) is inflammed gingiva from patients of chronic periodontitis with alveolar bone resorption. Group 3(n=8) is inflammed gingiva from patients of chronic periodontitis with alveolar bone resorption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and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The quantification of $PGE_2$ MMP-14 and TIMP-1 were performed using a densitometer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 test. Results: The expressions of MMP-14 and TIMP-1 were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2 & 3 compared to group 1. The expressions of $PGE_2$, MMP-14 were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1 and group 2. According to MMP-14 levels were increasing, $PGE_2$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and although $PGE_2$, MMP-14 levels were increasing, TIMP-1 levels were similar expressed comparing to group 2.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4 and TIMP-1 had increasing tendency in inflammed tissue. It can be assumed that $PGE_2$ and MMP-14 may be partly involved in alveolar bone resorptive process and the progression of periodontal inflammation associated to type 2 DM.

      • KCI등재

        조직의 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우(Sun-Woo Kim),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을 포함하는 조직의 공정성이 업무몰입과 지식공유를 통하여 조직 내 종업원들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업무몰입과 지식공유가 조직의 공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절차적 공정성과 업무몰입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고 업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절차적 공정성과 업무몰입이었다. 절차적 공정성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는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분배적 공정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지식공유를 경유할 경우에만 간접효과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 다양한 경로의 간접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조직의 공정성은 업무몰입을 통해 혁신행동에 이를 때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자기기입방식으로 인해 표본 통제가 미흡하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남으며, 향후 다양한 산업 간 차이분석 등 조직의 특성에 따라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ganizational justice, including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ro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direc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Hayes (2018) PROCESS Macro was used.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procedural justice,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The constructs influencing work engagement were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knowledge sharing. Also, procedural justice and work engagement were constructs that affected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innov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t the indirect effect only in the path via knowledge sharing. 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that did not acquire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Macro analysis, we examined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of various paths between mediators.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justice can have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The weakness of respondents control by SNS survey is the major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such as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various industries.

      • 조직의 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우(Sun-Woo Kim),탁경운(Kyung-Woon Tak),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5

        본 연구는 분배공정과 절차공정을 포함하는 조직의 공정성이 업무몰입과 지식공유를 통하여 조직 내 종업원들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업무몰입과 지식공유가 조직의 공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 A. F.(201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절차공정과 업무몰입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고 업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절차공정과 분배공정 그리고 지식공유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절차공정과 업무몰입이었다. 절차공정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는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분배공정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는 지식공유만을 경유할 때에만 간접효과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 다양한 경로의 간접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조직의 공정성은 업무몰입을 통해 혁신행동에 이를 때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소기업과 중기업 그리고 대기업 군으로 나누어 조직 규모에 따른 비교분석과 영리와 비영리 조직 간의 다른 결과도 기업체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차이분석 등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가 예견되므로 이에 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ganizational justice, including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ro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direc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Hayes, A. F.(2018) PROCESS Macro was used.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procedural justice,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The constructs influencing work engagement were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knowledge sharing. Also, procedural justice and work engagement were constructs that affected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innovative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in all paths that did not acquire knowledge.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Macro analysis, we examined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of various paths between mediators.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justice can have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work engagement. In addition, small, medium and macro enterprises are divided into groups.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various other industries is expected, an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in the case of profit organization and nonprofit organization as different results are expe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은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가?

        탁경운(Kyung-Woon Tak),김선우(Sun-Woo Kim),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이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 및 조직 내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이 일과 삶의 균형(WLB)과 혁신 행동 간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일과 성장의 균형(WLB_G)과 대인 조화 그리고 창의적 노력으로 나타났고 대인 조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일과 가정의 균형(WLB_F)과 일과 성장의 균형(WLB_G)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과 성장의 균형(WLB_G)과 대인 조화였다. WLB의 세 개 하위 변수와 혁신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 역시 일부 확인 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의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WLB_F)이나 일과 성장의 균형(WLB_G)과 대인조화, 창의적 행동 및 혁신행동 간에는 시너지 관계가 존재하고, 일과 여가의 균형(WLB_L)과 대인조화, 창의적 노력 및 혁신행동 간에는 배타적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일과 삶의 균형(WLB)에 대한 연구와 일과 삶의 균형(WLB)과 혁신행동에 이르는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Hyperglycemic Nonketotic and Ketoacidotic Hyperosmolar Coma

        김기호 ( Ki Ho Kim ),민병석 ( Byong Sok Min ),김선우 ( Suh Woo Kim ),최두혁 ( Du Hyok Choi ) 대한내과학회 1973 대한내과학회지 Vol.16 No.8

        Hyperglycemic nonketotic hyperosmolar coma는 응급을 요하는 질환중의 하나로 ketosis 이나 산혈증(acidosis)없이 혈청의 심한 고삼투압(Hyperosmolarity), 탈수 및 고혈당을 특징으로 한다. 당뇨병의 기왕력이 없거나 경도의 성인형 당뇨환자에서 잘 생기며 연령은 50세에서 70세까지가 가장 많다. 아직까지 병인(病因)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생존율은 낮아서 40~60%밖에 되지 않는다. 도(都)등이 196

      • KCI등재후보

        갑상선기능 이상에 따른 혈중 CRP, apolipoprotein A-1, apolipoprotein B 및 Lp(a)농도의 양상

        서정열 ( Jung Yul Suh ),이원영 ( Won Young Lee ),박정식 ( Jeong Sik Park ),김선우 ( Sun Woo Kim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4 No.4

        목적 : 불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관찰되는 혈중 지질농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바, 혈중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의 증가와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를 보고한 연구가 있는 반면 총 콜레스테롤, LDL-C, HDL-C 및 중성지방 농도가 정상이라는 보고가 있다. Lp(a)는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서 대사과정 중 LDL-C 수용체를 경유하기 때문에 갑상선 기능 상태에 따른 혈중 Lp(a)의 농도 변화가 예상된다. CRP는 죽상경화증의 중요한 위험 Background : Alterations of lipid profiles are well known in thyroid dysfunction. Hypothyroidism is associated with premature atherosclerosis. This relation has been attributed to increas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