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 기업이미지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새롬(Kim, Sae-Rom) 한국외식경영학회 2015 외식경영연구 Vol.18 No.6

        기존연구는 기업이미지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았다. 본연구에서는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기업이미지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성격특성과 고용형태에 따라 기업이미지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21부를 가설검증에 사용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 차이분석 등을 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 기업이미지는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 외향적.내향적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기업이미지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 정규직.비정규직인 고용형태에 따라 기업이미지가 긍정적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부정적 고객지향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호텔 기업이미지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밝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호텔 경영자들에게 개인의 성격과 고용형태에 따른 경영전략과 인적자원관리 운영방향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lots of studies of corporate image on customer.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the effect Corporate Image on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there will be a difference significant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Extraversion, Introversion) and the Type of Hotel Employment(Irregular Employee, Regular Employee). Total of 32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PSS 18.0,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For this purpose, investigated the personality trait of hotel employees using two personality characteristic factor.(Extroversion, Introversion) And then, tested the power of influence between employees' personality trai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corporate image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of hotel inter custom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Trinitrotoluene의 환원반응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모니터링을 이용한 2,6-diamino-4-nitrotoluene의 합성

        김형석,유재철,김호기,김새롬,최근배,정원복,서원준,김진석,Kim, Hyoung-Sug,Yu, Jae Chul,Kim, Ho Gi,Kim, Sae Rom,Choi, Keun Bae,Jung, Won Bok,Seo, Won Jun,Kim, Jin-Seuk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7 No.2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synthetic method of 2,6-DANT that can be used as a chain extender of urethane/urea and epoxy materials in a demilitarization method via chemical transformations considering environmental, economical aspects and stability of process. We was able to identify through GC monitoring that 2,4-DANT and 2,6-DANT were produced when we inject 'hydrazine monohydrate 3.3 eq. by TNT 1 eq.' with a fine metering pump for 30 minutes and then, reflux for an additional 2 hours. We was able to isolate only 2,6-DANT(99.3% purity and 45.0% yield) from mixture of 2,4-DANT and 2,6-DANT through the separating and refining methods using 2,6-DANT solubility in methanol and crystallinity of 2,6-DANT.

      • KCI등재

        구상나무와 주목의 침엽에서 분리된 국내 미기록 내생균

        박혁 ( Hyeok Park ),김동여 ( Dong-yeo Kim ),김새롬 ( Sae-rom Kim ),엄안흠 ( Ahn-heum Eom ) 한국균학회 2018 韓國菌學會誌 Vol.46 No.3

        We isolated endophytic fungi from the coniferous leaves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inhabiting Mt. Hallasan, Korea. The isolated fungal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large subunit region of ribosomal DNA,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region. Results confirmed four prevously unreported endophytic fungi in Korea: Lachnellula hyalina, Ochrocladosporium elatum, Phacidium lacerum, and Phyllosticta cussoniae.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fungi and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analysis.

      • 군병원에서 수술중 신경생리검사장비 운용의 경험 및 유용성에 대한 연구

        윤상훈 ( Sang Hoon Yoon ),함정식 ( Jeong-sik Ham ),박호영 ( Ho-young Park ),이건영 ( Gunyoung Lee ),정재환 ( Jaehwan Chung ),조현준 ( Hyun Jun Jo ),김현빈 ( Hyunbin Kim ),김새롬 ( Sae Rom Kim ),조병규 ( Byung-kyu Cho ) 국군의무사령부 2016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7 No.1

        Objectives; The authors aimed to introduce the clinical experience and efficacy using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 monitoring (IONM) system for neurological surgery from January 2015 to August 2016 in Armed Forces Capital Hospital. Method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performed. This system was used in 17 operations above the periods. Every operation and monitoring result were reviewed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ree patients with brain lesions (1 AVM, 2 brain tumor)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with IONM. Two brain tumor were a facial schwannoma and a frontal neuronal tumor. Fourteen spinal operations consisted with nine benign degenerative compressive lesions, two neurogenic tumor, a intramedullary cavernous hemangioma, two neurogenic tumors, a vertebral fracture and tumor. IONM was tailored to the single patient, and consisted in transcranial MEP monitoring, cortical MEP monitoring, SSEP monitoring and direct electrical stimulation. Results; None of patients suffered from permanent motor deficits; a patient had a transient peripheral type facial nerve palsy requiring rehabilitation. None of the patients had intraoperative seizures and postoperative IONM related complication. Seven cases (41.2%) met the criteria of neurophysiologic changes during operation. Of these, six cases were restored to normal during operation spontaneously or with surgical manipulation. An unrestored neurophysiologic cases showed new post-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s (peripheral type facial palsy; H-B grade 4). No patients showed neurological deficits without any changes in IONM. Conclusions; Proper application of IONM may be useful to detect intraoperative neurological injury during all neurosurgical operations and improve surgical outcomes especially in subgroup of invasive brain surgery. Larger series of patients are required to confirm this preliminary data. More expert clinical neurophysiologists and neurologists should be recruited to enlarge opportunity to perform surgery under IONM for patient’s safety and good surgical outcom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허혈성 심질환과 정상인의 운동부하 검사상 심박수 변화량 및 변화율의 차이

        주동욱,강현재,김선웅,노태묵,손혁수,강병준,김새롬,이봉렬,정병천,이종주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6

        목적 : 허혈성 심질환에서 운동부하 검사시 부교감신경계 재활성의 억제 정도가 반영되어 최고 운동 후 회복기 심박수의 변화량 및 변화율이 정상인보다 억제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심실성 빈맥의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부가적으로 허혈성 심질환에서 심근의 탈분극을 반영하는 R 파의 진폭의 변화가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운동부하 검사는 연령 및 성별로 보정한 최대 심박수의 85% 이상을 적정 목표 심박수로 하여 Marquette사 case 8000 모델(미국)을 이용해 modified Bruce protocol로 시행하였다. 혈압, 심박수 및 심전도의 측정은 운동부하 전 기립위와 앙와위에서 측정하였으며 운동부하시는 매 3분 간격으로 답차운동의 단계가 증가할 때와 최대 운동시에 측정하였고, 회복기에는 각 1분, 3분, 5분 및 필요시 연장하여 측정하였다. 심박수의 변화량은 각 단계별 심박수로 그 전단계의 심바수를 뺀 절대값으로 하였으며, 심박수의 변화율은 각 단계별 변화량을 그 전단계의 심박수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하였다. 또한 운동에 따른 부정맥의 발생 양상 및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안정시 심전도와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 및 회복기로 각각의 구간을 나누어 각 구간 중에 부정맥의 발생 유무와 종류, 빈도를 측정하였다. 안정시와 최대 운동시를 비교한 R 파 크기의 변화는 aVF 유도에서 대조군은 0.107±0.3403 mV였고, 양성군은 0.022±0.3771 mV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106), V5 유도에서도 대조군은 0.034±0.3439 mV였고, 양성군은 0.018±0.5061 mV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82). 결과 : 전체 253명 중 남자 106명, 여자 147명이었으며, 남녀를 포함하여 대조군 196명(남자 78명, 여자 118명)이였고, 양성군 57명(남자 28명, 여자 29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대조군 55±8.8세였고, 양성군 58±9.4세로 비슷하였다(p>0.05). 양군의 운동량은 양성군 8.1±2.5METs으로 대조군 10.5±2.3METs 보다 낮았다(p<0.001). 안정 심박수는 대조군 69±11회/분이였고, 양성군 70±13회/분으로 차이가 없었으나(p=0.630), 최대 운동부하시 심박수는 양성군 136±22회/분으로 대조군 155±18회/분보다 낮았다(p<0.001). 회복기 심박수는 양성군에서 회복기 1분에 105±23회/분, 3분에 86±15회/분, 5분에 85±15회/분으로 대조군의 회복기 1분에 116±16회/분, 3분에 93±13회/분, 5분에 89±12회/분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p=0.000, p=0.001, p=0.048). 심박수의 변화량은 양성군에서 최대 운동 후 1분일 Ep 31±14회/분, 3분일 때 19±12회/분, 5분일 때 2±4회/분으로 대조군의 최대 운동 후 1분일 때 39±10회/분, 3분일 때 23±9회/분, 5분일 때 6±7회/분에 비하여 낮았다(p<0.001, p=0.008, p=0.002). 심박수의 변화율은 양성군에서는 최대 운동 후 1분일 때 23±10%, 3분일 때 17±8%, 5분일 때 2±5%로 대조군의 최대 운동 후 1분일 때 25±6%, 3분일 때 20±7%, 5분일 때 5±6%에 비하여 낮았다(p=0.017, p=0.027, p=0.002). 심실성 부정맥 유무는 운동전후에 각각 비교시 양군간에 빈도의 차이가 없었고, 중증 심실조기수축의 빈도도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정시와 최대 운동시를 비교한 R 파 크기의 변화는 aVF 유도에서 대조군과 양성군은 각각 0.107±0.3403 mV와 0.022±0.3771 mV였고, V5 유도에서는 각각 0.034±0.3439 mV와 0.018±0.561 mV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06, p=0.782). 결론 : 운동 전후 심박수의 변화량과 변화율로 측정한 부교감신경의 활성정도는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군과 정상인 간에서 차이를 보이며,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군의 변화량과 변화률이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양군내 심실성 부정맥의 유무나 발생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he rate and the ratio of heart rate changes, which is well known to reflect the vagal reactivation, after peak exercise between ischemic heart disease and normal during treadmill exercise test. Additionally R-wave amplitude changes are evaluated to have the discriminal power between ischemic heart disease and normal. Methods : We have studied 253 human (196 control, 57 patients) who took the symptom-limited exercise test using Marquette case 8000 model. The 57 patients who showed the positive result by exercise test have confirmed by coronary angiography.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s was defined as the absolute difference of the heart rate subtracted by the just-previous stage heart rate. The ratio of heart rate changes was defined as the percentile of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s comparing to the just-previous stage heart rate. The changes of R-wave amplitude at lead V5 and aVF were obtained by the subtraction of R-wave amplitude at the peak exercise stage from that at the standing rest stage respectively. Additively heart rate recovery was deined as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 which was obtained at 1 minute later after peak exercise. Results : In patients and control, the resting heart rate were 70±13 bpm and 69±11 bpm (p>0.05), and the peak heart rate were 136±22 bpm and 155±18 bpm respectively (p<0.001). The rate of heart rate changes in patient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at 1 minute, 3 minute, and 5 minute respectively (p<0.001, p=0.008, p=0.002). The ratio of heart rate changes in patients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at 1 minute, 3 minute, and 5 minute respectively (p=0.017, p=0.027, p=0.002). With comparing both groups, the incidences of ventricular ectopy were not different during exercise and recovery stages, and the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R-wave amplitude at lead V5 and aVF were not observed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rate and ratio of heart rate changes are significantly lower in iscemic heart disease than in normal, and these are resulted from the depression of vagal reactivation. These findings are supplemental to make a diagnosis and a arrhythmic risk stratification of ischemic heart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