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시간 진행된 뇌혈관수술에서 발생한 주술기 압박 손상

        김미현 ( Mihyeon Kim ),최정현 ( Jeong-hyun Choi )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2021 慶熙醫學 Vol.36 No.1

        Incidence of intraoperative pressure injury is higher than incidence of pressure ulcer in patients who don’t have surgery.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incidence of pressure injury as the number of prolonged operations increases and various surgical positions are applied. In this report, intraoperative pressure blister formation occurred to a 49-year old man who had 30 hours long neurovascular surgery. The causes of pressure induced blister in this case are expected to prolonged surgery time, low Hb concentration, park bench position, low albumin concentration below 3.0g/dL and hypertension.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or not the patients are vulnerable to pressure injury and to perform early correction of risk factors before surgery. If the risk of pressure injury is high, more active prevention, for example, padding and protection tools such as gel pad or air mattress should be used.

      • ProbAttnGuard: Reinforcing Transformers with Robust Stochastic Attention

        김서린(Seorin Kim),김미현(Mihyeon Kim),김영빈(Youngbi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Recent advances in Transformer-based models have shown remarkable performance in text classification tasks. However, these models can be vulnerable to out-of-distribution (OOD) and adversarial attack scenario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Transformer model that leverages stochastic attention to improve its resilience against such challenges. By sampling attention weights from probability distributions during training, our model achieves better test accuracy on both in-distribution and OOD datasets, as well as adversarial attack datasets, compared to deterministic vanilla models. We conduct experiments using various text classification tasks, including sentiment analysis and news article classifica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odel exhibits improved performance and reduced performance gap between in-distribution and OOD or adversarial attack datasets. In future work, we ai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ual priors and develop more advanced models for enhanced robustness.

      • KCI등재

        기술지원 정책이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에 미치는 영향: 산학연 협력의 매개효과

        강기찬(Kichan Kang),김미현(Mihyeon Kim),윤우진(Woojin Yoon) 한국전략경영학회 2020 전략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정부의 기술지원 정책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중소기업이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기술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구성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중소 제조기업 기술지원사업인 ‘경기도 기술닥터사업’에 참여한 기업 236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역량 향상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지원 단계별로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에의 참여 정도를 높여주는지, 그리고 정부지원이 이러한 협력 네트워크 참여를 매개로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을 향상 시키는지 검증해보았다. 분석결과 정부 기술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중소 제조기업의 산학연 협력의 정도가 더욱 높아졌으며, 기업이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해당 기업의 기술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학연협력의 정도는 정부의 기술지원 수준이 기업의 기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SMEs’ technology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echnology support policy of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n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cooperation.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technology support policy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cooperation, and these technological collaboration linkages also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companys’ technological output. Also we find that the collaboration with the external linkage has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support policy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 KCI등재

        한국 장애인 미충족 의료 현황

        최경화 ( Choi Kyung-hwa ),김미현 ( Kim Mihyeon ),최용준 ( Choi Yong-jun ),조용민 ( Cho Yong Min ),김미소 ( Kim Mi So ),정은혜 ( Jeong Eunhye ),김정애 ( Kim Jung 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율을 파악하여 비장애인과 비교하고, 장애인이 필요로 할 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비장애인과 어떻게 다른지 검토하는 것이다. 전국단위로 실시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1998, 2005, 2007~2018), 지역사회건강조사(2008~2019), 장애인실태조사(2000, 2005, 2008, 2011, 2014, 2017), 노인실태조사(2008, 2011, 2014, 2017), 한국의료패널(2008~2017)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또는 활동제한 여부, 장애인의 장애 유형 및 등급에 따라 연도별 미충족 의료율을 산출하였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이유를 연도별로 산출하였다. 미충족 의료율은 감소하고 있으나,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중증장애인은 경증장애인보다, 외부신체기능 장애인이 다른 장애인보다, 치과 이용에 대한 미충족 의료율은 병의원보다 높았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율의 격차는 감소하지 않았으며, 치과 이용에서 병의원보다 그 격차가 더 컸다. 미충족 의료의 가장 큰 이유는 장애인은 경제적인 부담, 비장애인은 시간적 제약이었다. 향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율의 격차가 감소하지 않는 이유와 격차 해소를 위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roportion and factors of unmet health care needs (UHCNs) in the disabled and to compare UHC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individuals. We conducted the annual proportion and cause of UHCNs by disabled or limited activity, type and grade of disabl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2005, 2007~2018), Community Health Survey (2008~2019), Disabled Health and Welfare Survey (2000, 2005, 2008, 2011, 2014, 2017), Korean Elderly Health and Welfare Survey (2008, 2011, 2014, 2017), Korea Health Panel Study (2008~2017). The proportion of UHCNs has been on the decrease overall, but it was higher in the disabled than in the non-disabled, higher in the severely disabled than in the moderately disabled, higher in those with external impairments than in people with other disability, and higher in dental care than in other health services. The difference in proportion of UHCNs did not decrease i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individuals and was larger in dental care than in other health services. The main cause of UHCNs was “financial” for disabled persons and “not enough time” for non-disabled pers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constant gap in the rate of unmet care needs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and to find ways to bridge the gap.

      • KCI등재후보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심리적 증상과 치료

        황성혜(Sunghye Hwang),김미현(Mihyeon Kim),신미연(Miyeon Shin),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된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관련 연구를 개괄하였다.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CRPS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학제간 협력이 필요하며 많은 연구자가 CRPS 환자에 대한 치료에서 심리학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CRPS의 심리학적 원인과 치료기법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CRPS의 정의와 진단 기준, 증상, 원인, 치료를 다루었고 특히 심리학적 측면에서 원인과 앞으로 CRPS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심리적 접근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findings of researches related to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CRPS, multidisciplinary work was required and most researchers agreed that psychological approach is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CRPS patients. However, there was lack of the systematic researches that explored psychological factors and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rapy in CRPS. This study reviewed definition, diagnostic criteria, symptoms, causes, and therapy of CRPS. It was particularly focused on causes in psychological aspects and psychological approach could be helpful in future therapy of CRPS.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further direc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조직 내부의 사회적 자본 :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지식확산 결정 요인

        원준희(Jun-Hee Won),김미현(Mihyeon Kim),윤우진(Wooji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이 다국적기업 내부로의 지식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국적기업 내부 지식의 확산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의 모형을 해외자회사와 본사, 해외자회사와 동료자회사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식창출 수준이 높은 해외자회사가 본사 또는 동료자회사와 더 많은 지식을 공유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또한, 지식의 공유 과정에서 해외자회사가 본사 및 동료자회사와 구축한 사회적 자본이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과 지식확산 수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추가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2013년 기준, 국내에 본사를 두고 해외에서 영업활동을 수행중인 한국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CEO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7개국 143개 해외자회사 CEO의 설문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국적기업 내 지식의 확산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자회사와 본사와의 지식공유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이 다국적기업 내 지식확산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의 관계에서 해외자회사가 구축한 사회적 자본의 세가지 요소, 즉 사회적 유대관계, 신뢰, 비전의 공유가 조절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동료자회사와 구축한 신뢰수준이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과 동료자회사와의 지식공유 수준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해외자회사가 동료자회사와 본사와의 사회적 유대관계, 신뢰, 비전의 공유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자회사와 본사로의 지식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다국적기업 네트워크 내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해 조직 간 사회적 유대관계와 신뢰의 형성, 비전의 공유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ether the level of knowledge creation of overseas subsidiaries fosters knowledge diffusion to headquarters and fellow subsidiaries. In addition,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defined here as social interaction, trust, and shared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to headquarters and fellow subsidiaries. To do this, the current study was separated into STUDY 1 and STUDY 2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rect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to headquarters (STUDY 1) and to fellow subsidiaries (STUDY 2). We employed multiple OLS regression analysis to test our hypotheses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CEOs of 143 overseas subsidiaries of Korean firms operating in 37 countries. We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knowledge cre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diffusion both to headquarters and to fellow subsidiaries. In addition, statistical results suggest that trust built with fellow subsidiaries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to fellow subsidiaries. Even though this research did not find a greate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t shows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diffusion to both headquarters and to fellow subsidiaries.

      • KCI등재후보

        흡인간호용품 세트의 개발과 적용효과

        이연우(Lee, Yeonwoo),김미현(Kim, Mihyeon),박시현(Park, Sihyeon),이희주(Lee, Huiju),진소연(Jin, Soyeon),정혜원(Jeong, Hyewon),문선희(Moon, Sun-Hee)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ction set to provide rapid suction care in emergencies and assess its efficiency. Methods: Five ward nurses were recruited to interview users regarding their requests for suction sets. A supply list for suction set development was selected based on the participants opinions. A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satisfaction with the suction set, and five experts verified its content validity. We obtained data regarding satisfaction with the suction set from 76 nurses between June and July 2021. Data regarding the suction preparation duration before and after using the suction set were obtained from 31 nurses. Results: The suction set consisted of suction catheters (6 Fr., 14 Fr.), poly-gloves, straight connector, polyvinylchloride line, and saline. The average suction set satisfaction score was 61.05±11.81, a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ho performed suction care over ten times per mont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F=5.78, p =.005). The average suction preparation duration in a general condition and while using the developed set were 58.50±22.92 sec and 13.82±6.46 sec, respectively. Thus, using the developed suction set significantly reduced the suction preparation duration (t=11.35, p <.001). Conclusion: Shortening the suction preparation duration using a suction set is necessary for providing rapid and efficient nursing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