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전기 일본어 학습서의 일본어 한글 표기 연구

        김명주(Kim, Myeong-ju) 한국어문학회 2015 語文學 Vol.0 No.128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Hangul notation of Japanese shown in Japanese Learning Read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make a deep analysis of the method of notation closest to the actual Japanese pronunciation. We examined Hangul notation of Japanese vowel columns specifically choosing エ(e) column and ウ(u) column. We noticed the vast difference in Hangul notation of エ(e) column that ‘ㅕ, ㅖ’ were frequently shown before the 20th century while ‘p’ was more frequently no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ス, ズ, ツ, ヅin Hangul notation of ウ(u) column was marked as ‘ㅡ’ before the 20th century while marked as ‘ㅜ’ in the early 20th century along with ‘ㅡ’. Hangul notation of consonants is discussed primarily concerning voiceless sounds, voiced sounds and p-sounds. When it comes to voiceless sounds, チ (?i), ツ(ts?) were fully examined. チwas marked as ‘지, 찌’ before the 20th century while marked as ‘지’ or ‘디’ in the early 20th century. ツwas marked ‘즈, 쯔, ?’ in the literature before the 20th century. The difference between prior to the 20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is that Japanese Learning Readers in noting ツas ‘쓰’ was marked only in the early 20th century. Hangul notation of voiced sounds in literature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with some differences in detail (the category 1: 가, the category 2: ?, the category 3: ㅇ가, the category 4: 가?, the category 5: ?). The reason for the category 2 above is that consonants which can be differentiated in Korean can not be differentiated in Japanese such as tense sounds, and the opposite is true in case of voice consonants such as Japanese カ[ka], ガ[ga] which cannot be differentiated in Korean since they are noted with the same syllable 가[ka] and 가[ga]. The category 5 varies in different literature 『日話朝雋(Ilhwajojeon)』 and 『日本語學音·語編(Ilboneohak Eumeopyeon)』marked[+nasal] feature and『無先生增補速修國語讀本(Museonsaeng Jeungbo Soksu Kukeodokbon』 noted [+voice] feature. Hangul notation of p-sounds in literature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 category 1: 바, the category 2: 파, the category 3: ?, the category 4: ㅇ파, the category 5: ?). Most literature uses the category 2 in their notation.『日本語學音·語編』and 『日語大學(Ileodaehak)』 mark the notation of the voiced sound(the category 5) and p-sound(the category 3) very close to the actual pronunciation.

      • KCI등재

        주민의 도시브랜드 인식이 지역애착에 미치는 영향연구 - 빛가람혁신도시를 사례로 -

        김명주 ( Myeong-ju¸ Kim ),이세규 ( Se-kyu¸ Lee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신도시 주민을 대상으로 도시브랜드 형성과 지역애착 간의 영향관계를 밝혀 빛가람혁신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와 지역애착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설문문항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분석자료를 통해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는 도시브랜드 인식·태도·행위 차원은 지역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때 주거 이미지와 관광이미지는 지역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반면에, 투자이미지는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는 지역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런데, 브랜드 충성도를 매개로 할 때 영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지방정부는 도시브랜드에 필요한 마케팅·홍보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지역애착까지 높일 수 있는 중장기적 계획과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도시브랜드를 지속적으로 형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지방정부는 지역애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주민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o boost the population and business inflow of Bitgaram Innovation City by revealing the impact of urban brand formation on regional attachment.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survey questions and research models by conside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rban brand and regional attachment. Through this, the statistical data that designed and surveyed the questionnair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The area to be studied is Bitgaram Innovation City built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 of urban brands ha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attachment. In particularly, tourism images and residential images had great influence on regional attachment. On the other hand, the investment image was found to have the least influence. Brand attitudes and brand loyalty we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attachment. However, when brand loyalty is used as a medium, its influence grow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mid- to long-term plans and strategies to enhance local residents' regional attachment as well as build the image needed for urban brands. In addition, professionals should be trained to continuously form and manage urban brands. First of all,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residents with various projects and programs to improve regional attachment.

      • SCOPUSKCI등재

        Analysis of Excluded Volume Effect in Theta Solvent Systems of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styrene by Means of a Modified Scaled Temperature Parameter

        김명주,박일현,Kim, Myeong Ju,Park, Il Hyeon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11

        The expansion of two different kinds of hydrodynamic size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Mw: 1.56- 2.04 ${\times}$ 106 g/mol) has been measur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and viscometry above the Flory $\theta$ temperature of the variou s solvents such as n-butyl chloride, 3-heptanone, and 4-heptanone. The expansion of PMMA chains was analyzed in terms of universal temperature parameters and also compared with previous results of polystyrene (PS) system. First it was found that simple $\tau/{\tau}c$ parameter no longer had its universality for the expansion behavior of hydrodynamic size in the chemically different linear polymer chains. However after modifying ${\tau}/{\tau}c$ parameter into $(Mw/Ro2)3}2(\tau/\tauc)$, we observed a much better universality for both PMMA and PS systems. Here Mw, Ro, $\tau[=(T-{\theta}$)/${\theta}$]$, and ${\tau}c[=({\theta}-Tc)/Tc]$ are defined a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he unperturbed end-to-end distance, the reduced temperature and the reduced critical temperature, respectively.

      • KCI등재

        ‘頑民不事二君’ 석촌 윤용구의 금석문 연구 :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명주(Kim Myeong-ju)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조선 말기 왕실가의 정치가이면서, 당대 석학이자 서화가로 덕망이 높았던 석촌(石村) 윤용구(尹用求)(1853~1939)가 서사한 금석문(金石文)에 관한 글이다. 윤용구는 경술국치(庚戌國恥)를 당하여 ‘완민불사이군(頑民不事二君)’ 즉, 두 임금을 섬길 수 없음을 강의(剛毅)·충의(忠義)로서 표하여 조선의 자존심을 지켜낸 의기(毅氣)의 인물이다. 석촌의 금석문에서 드러나는 서체는 개성적이며 역동적인 미감의 다양한 필획을 묘합(妙合)하여, 선진(先秦)시기부터 당대(唐代)를 거쳐 청대(淸代)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넘나드는 석촌만의 自己化된 예술성으로 표출되었다. 이것이 바로 굳세고 속되지 않은 창경발속(蒼勁拔俗)한 석촌의 예술경계이다. 석촌의 예술경계에서는 다양한 심미의취(審美意趣)를 드러내고 있다. 즉 강경하고 구부러지지 않는 존엄과 엄숙함의 경외심(敬畏心), 또한 적학저보(積學儲寶)와 온고지신(溫故知新)에 그 기저를 두고 사무사(思無邪)의 바름으로 정제·절제되어 전아(典雅)한 심미의취, 나아가 불공지공(不工之工)한 경지의 법도를 초월한 노경(老境)의 묘득천취(妙得天趣)적 심미의취(審美意趣)가 투영되어 있다. 석촌 윤용구의 서예는 비액(碑額)과 비음(碑陰)을 조화시키는 예술성을 갖추고 있다. 즉, 석촌은 비신(碑身)의 비음과 비액의 서체를 보편성과 개성의 겸비로서 이를 조화시켜, 하나의 완성된 석비로서의 가치를 드러내는 안목과 예술성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윤용구 금석문의 예술적 가치라 하겠다. 또한 이러한 안목의 예술적 가치가 녹아있는 석촌의 금석문은 그 시대의 시대적 상황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다분히 크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기(士氣)적 풍격(風格)을 지닌 석촌의 금석문은 그 예술성과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금석문으로서 손색이 없다. This thesis is about ariticle called KeumSeokMoon(金石文) metals and rocks writings) which is written by great scholar Yoon Yong Koo(1853~1939)a.k.a Seok-Chon who was famous for hi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e was also standing for the pride of the Chosun dynasty against Kyungsoolkukchi(庚戌國恥) which is being taken away the sovereignty. Seok-Chon’s a style of handwriting was characteristic and dynamic which was symbol of long term from Ancient China(SeonJin; 先秦時代) through Tang Dynasty(唐代) and in Qing Dynasty(淸代) it was also strong and stylish. Seok-Chon’s style shows various beauty. Seok-Chon’s calligraphy style is balanced by tomb’s writing which are universal and characteristic. And it could prove tomb writing’s artistic value which is Seok-Chon’s artistic value. Also, his KeumSeokMoon(金石文;metals and rocks writings) which is based on Seok-Chon’s artistic value has big value on its period which includes historic and cultural value. So, it has high value on its artistic value.

      • 버스 공영차고지 복합화를 통한 커뮤니티 시설 확충에 관한 연구

        김명주(Kim, Myeong-Ju),맹필수(Maing, Pil-Soo)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2

        Bus-garages were loacated in the edge of the city, but now located in the center of city as the boundaries of the city widen. With advances in technology, future coming bus-garages are expected to be free from safety and environmental problems. As a result, needs for public bus-garage complexation in the city will increase significantly. Contrary to the previously complexed large bus garages, mos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bus-garages are located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which will require adequate utilization measures. Accordingly, I hope to revitalize underused public bus-garage spac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quality by combining community spaces and public bus garages in the city.

      • KCI등재

        ‘頑民不事二君’ 석촌 윤용구의 금석문 연구 : 전라도·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명주(Kim, Myeong-ju)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이 논문은 조선조 말 왕실가의 정치가이면서 당대 석학이자 서화가로 덕망이 높았던 석촌(石村) 윤용구(尹用求, 1853~1939)가 서사한 금석문(金石文)을 서예학·철학적 관점에서 그 예술성과 인문학적 가치를 유기적으로 규명하는 글이다. 다만, 그의 필적 금석문이 소재한 지역은 전라도·경상도로 제한한다. 석촌 필적의 금석서예는 각각의 필의에 적합하는 선현(先賢)의 필흔을 찾아 비교·분석·확인하였다. 그 결과 윤용구 필흔의 금석문은 자출기의(自出己意)하여 창신(創新)의 필획을 표출하였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석촌 필적(筆跡)의 금석문에서 드러나는 비액(碑額) 서체의 특징은 두전(頭篆)의 서체와 전면(前面) 비액(碑額)의 서체(書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두전 서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른 석비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대전(大篆)을 취하여 고박(古朴)한 맛을 살렸고, 이사·등완백·왕주·이양빙·조지겸·황사릉 등의 필의(筆意)가 엿보이는 소전(小篆)의 자형을 선택한 글씨 또한 일반적인 한 서가(書家)의 자형(字形)을 취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많은 부분이 자전(字典)에 없는 서체이거나, 아니면 자전에 있는 서체라 하더라도 완전히 같은 글자라고는 볼 수 없는 서체이다. 아울러 석촌은 그 특유의 강골찬 해서(楷書) 즉, 구체(歐體)의 필의(筆意)가 있는 두액(頭額)을 썼는데, 이 해서 두액은 일반적인 비신(碑身) 글씨의 구성형태가 아님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그 당시 조선 말기의 시대에는 전서(篆書)만 두액(頭額)으로 쓰인 서체가 아니라, 해서 또한 두액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라 하겠다. 그리고 전면(前面) 비액(碑額)의 서체는 단아하면서도 강의(剛毅)한 구양순(歐陽詢) 해서를 비롯하여, 해서에 행서(行書) 기운(氣韻)을 가미(加味)한 필체(筆體)를 드러내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역동적이며 생생한 행서로서 비주(碑主)의 의기(義氣)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또한 석촌의 전면 비액의 서체에서 드러나는 특이점은 바로 비수(肥瘦)의 획이라 하겠다. 석촌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가늘고 굵은 획(劃)의 강력한 대비(對比)를 통하여, 다이내믹한 힘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중국의 서예에서도 찾기가 쉽지 않다. 다만 조선의 경우에는 추사(秋史)의 필획에서 그 독특한 필의가 보인다. 따라서 석촌의 이러한 비수(肥瘦)가 대비되는 획들의 묘합(妙合)은 오히려 역동적이고 생생하게 살아있는 활발발(活潑潑)한 생명성을 표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존고(尊古)적 서예미를 함의(含意)한 예서(隸書) 필적은 그의 서예에서 보기 드문 필의인데, 이 필흔은 그리 노련하고 세련된 행필로 보이지는 않지만, 그 시대에 통용되던 금석서예의 서체와 예서·해서의 그 변천적 원류를 살펴볼 수 있는 필의라 하겠다. 그리고 비음(碑陰)의 대표적 서체는 해서로서 드러났는데, 석촌은 여러 서체에 능하였으나 그의 강골찬 해서는 더욱 빼어나다. 이 해서는 구체(歐體)가 그 바탕을 이루고, 북위(北魏) 해서가 가미되어 험절(險絶)하고 금석기(金石氣)가 강하게 드러나는 서체이다. 이 가운데에서도 석촌 최고의 역작으로 평가되는 <조경단비(肇慶壇碑)>는 금석기가 강한 해서로서, 장중하면서도 강인한 파책과 날카롭고 예리한 능각 아래, 험준하고 강건하면서도 자유로운 북위서(北魏書)의 신채(神采)가 조화를 이루어, 정서(正書)의 바른 풍격(風格)이라 할 수 있는 자신만의 해서 글씨를 표출하고 있다. 아울러 개성적이고 혼후하면서도 굳세고 웅강한 특징을 갖고 있는 안체(顔體)적 필의, 또한 석촌 특유의 세련된 서체와는 다르게 어리숙해 보이고 서툴러 보이는 해서에 예서풍을 가미한 비음의 서체는 담담하며 예스럽고 고박(古朴)한 기상(氣像)이다. 그러므로 이를 종합해본다면, 석촌 윤용구의 서예는 그야말로 주대(周代)로부터 시작하여 진한과 위진남북조를 거쳐 당(唐)과 청대(淸代) 서예를 아우르고 있다. 따라서 석촌 서예의 서체는 시대를 넘나드는 필의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기운과 행필(行筆)에 대한 자기 철학적 의식으로 자기화(自己化)된 필획을 구사하였다고 하겠다. This thesis is about ariticle called KeumSeokMoon(金石文 ; metals and rocks writings) which is written by great scholar Yoon Yong Koo(1853~1939)a.k.a Seok-Chon who was famous for hi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e was also standing for the pride of the Chosun dynasty against Kyungsoolkukchi(庚戌國恥) which is being taken away the sovereignty. But, regional limitation in Jeonla, Kyungsang Province. Yoon Yong Koo s[尹用求] caligraphy demonstrated creative style since it was ‘jachoolkiyi[自出己意)]’. Through these various kind of creative style, he expreseed ‘biju s[碑主]’ story. so SeokChon s[石村] calighraphy is based on his clean and strong ‘yiki[意氣]’ and it just made his style alive and warm. Also, that kind of caligraphy includes beauty based on vivid and dynamic soul. It could be said that it shows Seokchon s storng mind is showed on his Keumseokmoon[金石文]. Like above, Seokchon s[石村] Keumseokmoon[金石文] is made up of various kinds of caligraphy suchaa[書體;style of handwritings] ‘jun·ye·he·heng[篆·隷·楷·行書]’ and mind beauty and eventually completed stone which has artistic value. This kind of Seokchon s artistically valuable Keumseokmoon has even higher value i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long with its social atmostphere. so, the stone which is completed with artistical, historical, cultural value is perfect for its cultulral and artistic beauty value.

      • KCI등재

        운미 민영익 문인화의 발분저화 (發憤著畵)적 심미의식(審美意識) 고찰

        김명주 ( Myeong-ju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美學·藝術學硏究 Vol.53 No.-

        이 글은 조선조 말 당대의 정치가이자 서화예술가로 명성이 높았던, 운미 민영익 문인화의 창작에 깃든 심미의식 중 일부인 발분저화적 측면의 심미를 조명한 것이다. 대한제국 사가(四家)의 한 사람인 운미는 조선말기 난세와 국망을 당하여 그 나름대로 국내외에서 구국을 실천하는 선비의 삶을 살았다. 결국 어쩔 수 없이 망명을 선택하였지만, 조선의 죽동궁을 향한 그의 절의정신은 생을 다하는 그날까지 자존과 신념의 저항의식으로 자신의 서화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작가는 작가의 전신(傳神)의 결과물로 드러나는 신운(神韻)을 통하여 자신의 풍격을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체현하고자한다. 이러한 신운의 풍격은 운미의 서화에서는 노근란(露根蘭)과 단절죽(斷節竹)을 통하여 드러났는데, 그 기저에는 발분저화적 경계가 함께한다. 운미의 진심이 득의경계로서 드러난 그의 서화는, 인의(仁義)의 자존과 신념이 그 기저가 된 자아의 확신이다. 운미의 문인화는 화폭에서 간이한 획으로 표출되었으나, 그 발분의 기상은 늘 푸른 생기이다. 이러한 운미의 생기는 망국의 비통함 즉, 조선선비 내면의 자존과 신념의 의기(毅氣)로서 현색의 먹빛 신운으로 발분ㆍ표출되었다. 조선의 한 선비의 침통하고 분한 격정은, 마른뿌리를 허공에 둔 노근란과, 바람 앞에 풍전등화인 댓잎과 뭉툭 잘려나간 대나무 마디 즉 단절죽에, 언젠가는 반드시 소생할 조선민족 자존의 그 항상성을 어린 대나무가지에 실어 표출하였는데, 이는 운미의 자화상이라 하겠다. 즉 이러한 ‘노근란’과 ‘단절죽’은 운미의 인의와 충절의 늘 푸른 기상이라 할 수 있다. 인생의 질곡과 어지러운 시대의 고통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길은, 결국은 자기 마음과 자기철학에서 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 자유의 락(樂)은 심재의 주체자인 나의 ‘득도(得道, 즉 [得意])’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운미는 서화를 통해, 운미 자신의 자존과 신념이 충만하고 강의(剛毅)한 기운을, 진실하고 생동감 있게, 자신의 진심과 소신을 담은 발분으로 붓끝에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축분(蓄憤)을 담아 표출된 운미의 ‘노근란’과 ‘단절죽’은, 청정(淸淨)ㆍ호활(豪活)한 기운과 득의(得意)한 필세(筆勢)가 활발발한 생기(生氣)적 심미(審美)의 발분(發憤)으로 체현되었다고 하겠다. An artist embodies the style of his or her own through specific artworks by expressing his or her spirit of elegance in the works. Such style of elegance is expressed in Unmi's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form of orchid and bamboo. Underneath his works lies his awareness that his works are stirred by his emotions and sorrows. The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of Unmi specifically embodied such awareness as the aesthetics of sincere vitality. His art works reflect his awareness of fidelity and the real pride towards Jeodonggung Princess of Joseon Dynasty, which is his awareness of resistance with strong dignity and belief. Underneath his dignity and belief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lies his conviction and victory towards himself. The simple brushstroke expressed in Unmi's paintings holds his mind and spirit of everlasting vitality. Unmi's emotion of grief followed by national ruins, namely the spirit of pride of scholars in the age of Joseon, were elegantly expressed in black ink. The feeling of deep agony and sorrow of a scholar in the turbulent age of Joseon was consistently expressed in the form of Nogeunran(露根蘭: orchids with exposed roots), vulnerable bamboo leaves and bluntly cut bamboo, which can also be regarded as his self-portrait. In other words, the images of Nogeunran and cut bamboo are embodiments of Unmi's spirit of righteousness and allegiance. Such awareness of Unmi reflects his spirit of Cheonsangmyodeuk(遷想妙得: acquiring the artistic idea through the full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