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기와 활성탄 병용에 의한 용액 중 고농도 3가 비소의 산화-침전 거동 연구
김리나,김가희,김관호,유광석,Kim, Rina,Kim, Gahee,Kim, Kwanho,You, Kwang-su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1 資源 리싸이클링 Vol.30 No.4
Arsenic (As) oxidation followed by precipitation from a high-As(III)-containing leaching solution derived from a sulfidic or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remove aqueous As from the solution using activated carbon (AC) with air injection as an oxidant. To obtain the initial leaching solution, a domestic sulfidic ore was leached in a sulfuric acid solution at pH 1 and 50℃ for 95 h, and approximately 7 g/L of Fe and 3 g/L of As were leach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oxidative reaction utilizing AC with air injection, the leaching solution was tested under the following five oxidative conditions at an initial pH of 1 and 90℃ for 72 h: air-only injection; air injection with 1, 5, and 10 w/v% of AC addition; and H<sub>2</sub>O<sub>2</sub> addition. The tests in the presence of both air and AC revealed that the oxidation kinetics and As removal were improv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metallic species and the surface group formed on the AC surface. In addition, the greater the amount of AC added, the better was the reaction efficiency, removing 93-94% of As with more than 5 w/v% of AC addition. Finally, X-ray diffrac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cipitate formed from the oxidative reaction was scorodite (FeAsO<sub>4</sub>·2H<sub>2</sub>O).
화학적 분해법을 이용한 난용성 자원으로부터 희토류 회수 특성 연구
김리나,조희찬,정진안,김지혜,이수경,Kim, Rina,Cho, Heechan,Jeong, Jinan,Kim, Jihye,Lee, Sugyeo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0 資源 리싸이클링 Vol.29 No.1
In this study, rare earth elements (REE) leaching from a refractory REE ore containing goethite as a major gangue mineral was conducted, introducing a two-stage method of chemical decomposition-acid leaching. At the chemical decomposition step, using one of alkaline agent, NaOH, the ore was decomposed, changing NaOH concentration from 20 to 50 wt% at 10% (w/w) of pulp density and the maximum temperature achieved without boiling at each NaOH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NaOH concentration, light REE (Ce, La and Nd) and iron were concentrated in the solid phase which is the decomposed product, while aluminum (Al) and phosphorus (P) were removed to the liquid phase, and their concentrations in the solid phase were down to 0.96 and 0.17%, respectively. In addition, through XRD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rystallinity of goethite was considerably decreased. At the acid leaching step, the product decomposed by 50 wt% NaOH was leached at 3.0 M HCl and 80 ℃ for 3 hr, then the REE leaching efficiency was above 94% (Ce 80%), and the leaching efficiencies of Al and P were decreased to 12 and 0%, respectively. Therefore, in terms of both REE leaching efficiency and impurity removal, those decomposition and leaching conditions were chosen as optimum processing methods of the investigated material. In terms of REE leaching mechanism, because REE and iron leaching efficiencie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so it can be concluded that decreasing crystallinity of goethite affect the improvement of REE leaching.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김리나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初等 數學敎育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관계를 통합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256명의 설문 조사의 통계적 분석 결과 두 요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 .630, p <.05). 두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수학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경력과 학위, 수학교수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직경력, 학위, 교사 자격증으로 조사되었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초등학교 교사와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불안이 반드시 수학교수불안을 야기하는 유일한 원인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양적·질적 분석 결과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은 동일한 몇 가지 요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요인 사이의 유사성이 발견되지만, 별개의 요인에 각각의 정서적 상태의 변화가 확인되는 점을 바탕으로 수학불안과 수학교수 불인이 동일한 정서적 상태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학불안만으로 수학교수불안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가정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서적 상태의 치료가 우선시된다기 보다 각각의 정서 상태에 맞는 방법들이 고안되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er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integrated metho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of 256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r = .630, p <.05). The analysis show that teaching experience and degree may affect mathematics anxiety and teaching experience, degree, and teacher qualification may affect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Subsequently I conduct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interviews with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confirm that even if the mathematics anxiety is low,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may occur due to the teach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might be regarded as separate factors.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 suggest that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ach emotional state might be considered as independent emotional statu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dependent methods might be developed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김리나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1
수학불안은 수학에 대한 정서적·신체적 거부감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학생들의 수학불안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수학 학업 성취도 향상 뿐 아니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수학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수학불안은 대부분 초등학교시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후속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학불안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불안 변화 패턴을 제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249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을 4학년에서 6학년까지 3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수학불안 양상의 다섯 가지 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 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도이며, 부모의 관심은 수학불안을 경감시키고, 사교육에 대한 부담감은 수학불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athematics anxiety is a term for emotional and physical resistance to mathematics. Understanding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is important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 nurturing mathematics manpower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In particular, mathematics anxiety is most likely to occur in elementary school,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subsequent lear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I presented the patterns of changes in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over time and statistically verified them. As a result of a follow-up survey of 249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for 3 years from 4th to 6th grade,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having a special pattern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ath anxiety, it may increase and decrease and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confirmed. Later, in this study, five patterns of Mathematics anxiety patterns were ident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I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bout teachers’ mathematics lessons was consistently influencing the change in mathematics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mathematics anxiety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mathematics anxiety in the future and subsequent research.
김리나(Rin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불안 상태를 확인하고, 수학 불안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원인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수학 불안의 발생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수학 불안에 관한 종단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학 불안 검사지를 활용하여 총 3회에 걸쳐 학생들의 수학 불안 정도를 조사하고 후속 면담을 통해 수학 불안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대부분은 수학 불안이 없거나 낮았으나, 수학 불안이 높은 소수의 학생도 존재하였다. 특히 1학년 입학 초기 수학 불안이 가장 높았다. 학생들은 두려움 원인으로 수학 학습에서 실패할 것 같다는 걱정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결론 수학 불안이 1학년 초에 가장 높다는 결과는 학생들이 새로운 수학 학습 상황에 적응하기 전 스스로 어렵다고 생각하는 수학 과제를 마주했을 때 더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수학 불안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수학 불안 예방을 위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o investigate the state of math-anxiety in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causes. Methods I conducted a longitudinal study on math-anxiety on 380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arch 2022 to February 2024. Students' level of math-anxiety was investigated three times using the math-anxiety survey items, and the cause of math-anxiety was confirmed through follow-up interviews. Results Most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no or low math-anxiety, but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students with high math-anxiety. In particular, math-anxiety was highest at the beginning of first grade. Students most frequently cited concerns about failing in mathematics learning as a cause of fear. Conclusions The finding that math-anxiety is highest at the beginning of first grade suggests that students feel more anxious when faced with math tasks they find difficult before they have adapted to new mathematics learning sit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math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eaching methods to prevent math-anxiety in students.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김리나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初等 數學敎育 Vol.23 No.2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수학 자기 효능감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검사 도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후 개발된 문항을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에게 적용하여 설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해 설문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수학 자기 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수학 불안 상태를 별도로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는 향후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 자기 효능감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thematics self-efficacy test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b-factors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derived from current studies. In this study, I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by statistically evaluating the results of applying the test tool to the 3rd-6th grade students. In this stud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ool for measuring the self efficacy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validity test, the mathematics anxiety status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The mathematics anxiety who were known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athematical self efficacy. The mathematics self efficacy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16 items with three subcategories: master experience, social persuasions, and emotional and physiological state. The mathematical self efficacy tes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s for diagnosing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oking for ways to improve it.
김리나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2
본 문헌연구에서는 수학불안을 주제로 국내외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여 수학블안의 특징, 측정 방법, 발생원인, 치료방법 등 수학불안과 관련한 기존 연구 결과의 종합적인 고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수학불안과 관련한 문헌 분석을 토대로 학생들의 수학불안 예방 및 치료 과정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교사, 수학 교육 연구자들, 수학불안과 관련한 교육 정책 입안가들에게 초등학생의 수학불안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들을 주제어를 중심으로 (1)수학불안이 초등학생의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 (2) 수학불안 측정 도구 (3) 수학불안 형성 원인 (4) 수학불안 감소 방안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범주별로 관련 연구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연구의 결과,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에 대한 종합적인 해석을 제공한다. This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the history of research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s th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tools, causes and the treatments of mathematics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alytical views of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o teachers,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I categorize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key words of literatures: (1)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students’ behavior (2) measurements of mathematics anxiety (3) the causes of mathematics anxiety and (4) the treatment of mathematics anxiety.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지식과 수학 불안감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김리나 ( Rina Kim ),신항균 ( Hanggyun Si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과 수학불안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MKT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학불안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학에 대한 이미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지식과 수학불안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응표본 t-검정과 단순회귀분석의 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교사의 지식과 수학불안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의 양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한국초등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의 증가는 그들의 수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감소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지식과 그들의 수학불안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교사 연수 개설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and their mathematics anxiety. A paired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that may influence their mathematics anxiet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their positive insights toward mathematics.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increasement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on reducing their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help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their mathematics anxiety, 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김리나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을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 도구는 수학 사교육 여부와 상관없이 수학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와 수학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 총 2종으로 개발되었다. 문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수학시험, 수학 수업, 수학 교사, 수학 수업과 관련한 부모님의 태도, 수학 상황에 대한 걱정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사교육 수학 시험, 사교육 수학 수업, 사교육 교사라는 세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두 측정 도구에 대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에게 수학 불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적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도·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개의 수학 불안 측정도구 문항과 7개의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 developed two types of survey items measuring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eachers or students may use survey measurements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ents’ participants in mathematics private institutions. In order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rvey items, I conducted surveys with elementary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300 elementary student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28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mathematics anxiety of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item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age factors.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와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를 활용한 고농도 비소 함유 광석 내 중금속 용출 거동 연구
김가희,김리나,김관호,유광석,Kim, Gahee,Kim, Rina,Kim, Kwanho,You, Kwang-su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1 資源 리싸이클링 Vol.30 No.2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leaching of heavy metals by bacteria from ores stacked on actual mining sites, leaching tests of a complex metallic ore (Pb-Zn-As ore) were conducted over 60 days using acidophile bacteria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 and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under initial acidic conditions. Initially, a small amount of heavy metals was leached due to the initial acidic conditions. After 20 days, when A. thiooxidans in the reactor was adapted to the ore, the amount of leached heavy metals rapid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leached arsenic, iron, and zinc reached a maximum of 2800, 3700, and 2500 mg/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ce of A. ferrooxidans or in the control test without bacteria, heavy metals, except zinc, were barely detected in leach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 bacteria could leach heavy metals at mining sites under acidic conditions and (ii) 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a high arsenic-containing ore by A. thiooxidan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by A. ferrooxid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