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행귀의 <普賢十願頌> 연구 -<보현십원가>와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김기종 ( Ki Jo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이 글은 선행연구의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기존 논의와는 다른 측면에서 <보현십원가> 漢譯의 양상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현십원송>은 기본적으로 <보현십원가>의 구성과 내용을 따르면서도, 구체적인 내용 및 표현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부처만을 노래하고 있는 향가와 달리 ``보살``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覺帝·醫王`` ``聖·賢`` 등과 같이 부처와 보살을 위계적인 관계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丹衷``·``至心`` 등의 시어를 통해 고해에서 벗어날 것을 지향하고 있는 동시에, 고해를 벗어나는 것이 그만큼 어려운 일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분별 초월의 역설적 표현 및 ``부처의 일``과 관련된 노랫말들을 모두 삭제한 뒤, "한결같은 마음으로 쉼없이 외운다면/ 보현보살의 자비심을 따라 배울 수 있으리"라는 시행으로 작품 전체를 끝맺고 있다. 그 결과, <보현십원송>은 내용 및 표현뿐만 아니라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보현십원가>와 차이를 보인다. <보현십원가>가 청자들이 모두 부처가 될 수 있고 되어야 함을 노래하고 있다면, <보현십원송>은 독자들이 보살의 길을 지향해야 하고 이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정성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보현십원송>은 <보현십원가>와 다른 별개의 작품인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nslation of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existing discussion, while considering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The discourse up to no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follow the construct and contents of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basically, detailed contents and expressions are different. Especially, the former emphasizes ‘Bosal’ unlike Hyangga which praises Buddha only,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Buddha and Bosal as hierarchical relationship such as ‘Gakje and Euiwang (覺帝·醫王)’ ‘Seong and Hyeon (聖·賢).’ Additionally, through poetic language such as ‘Danchung(丹衷)’ and ‘Jisim(至心),’ the speaker orients to the escape from the bitter human world and it also shows at the same time that escaping from the bitter world is very difficult. Deleting all verses related to ‘works of Buddha’ and paradoxical expressions of discernment and transcendence, it closes the work with the verse such as “If you memorize it without pause with unchanging mind, you may be able to learn the mercy of Bohyeon-bosal.” Consequently,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is different from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not only in contents and expression but also in thematic consciousness. While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ells audience that everybody can and should be Buddha,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emphasizes that everybody goes toward the way of Bosal and continuous efforts and sincerity are needed for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me,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is a separate work totally different from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 KCI등재

        조선후기 가사(歌辭)에 나타난 지옥의 양상과 시대적 의미

        김기종 ( Kim Ki Jo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8

        이 글은 조선후기 가사에 나타난 지옥의 형상화 양상과 그 시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옥을 노래하고 있는 조선후기 불교가사는 지옥 관련 화소의 유무 여부와 내용적 경향성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유형은 지옥 관련 화소가 없고 ‘지옥’의 시어만이 등장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은 ‘지옥’의 시어를 통해 세상사에 탐착하고 貪·瞋·癡의 三毒에 빠져 있는 청자들을 경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청자들이 참선 또는 염불에 힘쓸 것을 권하고 있다. 둘째 유형은 ‘징벌’의 양상과 그 이유를 노래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 유형의 가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지옥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의 모습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징벌의 이유로는 살생·妄語·음주·邪見 등의 5惡 내지 10惡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유형은 ‘저승길의 여정’·‘시왕의 심판’·‘지옥의 징벌’ 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작품들이 해당한다. 이 유형에 속하는 <회심곡>류 불교가사는 시왕의 심판을 받는 죄인을 남자와 여자로 구분한 뒤, 남자죄인에게는 선행의 덕목을, 여자죄인에게는 악행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의 덕목과 악행의 항목들에는, ‘보시행’ 및 ‘妄語·兩舌·惡口·綺語’ 등의 불교적 윤리 규범과, ‘삼강오륜’을 포함한 유교적 윤리 규범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적 특징은 당시 불교계의 사상적 동향이 투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체제를 위협하는 사상적·사회적 혼란, 그 중에서도 천주교의 교세 확장에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결국, <회심곡>류 불교가사의 지옥 형상화는 유교사회의 상식을 반영하여 유교와의 공존을 추구한 불교의 시대적 변용이자, 당시 널리 확산되고 있던 천주교의 지옥설에 대한 종교적·문학적 대응의 성격을 갖는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d the phase of figuration process of hell appearing in Buddhist Gas a and its meaning of the times. According to hell related motifs and content propensity, Buddhist Gasa singing about hell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In the first type there was no hell related motif, there are works in which only poetry words of ‘hell’ appear, and the earliest Buddhist Gasa, Gwisangok in the 17th century and Seowangga and Hoeshimga, etc. come under this type. These works warn hearers who only adhere to mundane affairs and indulged in absorption of tam-jin-chi through poetic words such as Palhan-Palyeol-Dosan-Geomsujiok, etc. The second type contains works of describing reasons of ‘punishment’ and phases. Those Gasa under this type introduce various kinds of hells, and describe painful figures in different hells in detail. Works containing all of motives of ‘a journey to the other world,’ ‘judges of ten kings of hell’ and ‘punishment of hell’ come under the third type. Among these types of work s, ‘Hoeshimgok’ style Buddhist Gasa distinguish male and female from convicts receiving Siwang’s judge in a work. Virtues of good deeds and items of evil deeds appearing in these works come under usual ethical principles that should be kept and deterred in Confucian society. It can be said that notable reduction of punishment motifs of hell in ““Hoeshimgok”” style Buddhist Gasa was due to the fact that these Gasa’s directivity and/or Interest lied on these ‘reasons of going to hell.’ Content characteristics above are related with Buddhist world’s realities of groping at the time to survive in Confucian society. The reason that ‘Hoeshimgok’style Gasa in the 19th century emphasizes not ten evils for reasons of going to hell as mainly presen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previous Buddhist Gasa, but usual ethical principles that should be kept in Confucian society is not different from a case of transition of the times by reflecting common sense of Neo-Confucian society and pursuing a way of coexiste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불교 문헌설화의 양상과 성격

        김기종(Kim, Ki Jong)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이 글은 한국 불교설화의 시대적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 문헌의 불교설화는 제재 및 중심 내용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승려의 신이한 행적’ 유형은 치병․용궁강설․신이한 죽음의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모티프는 ‘고승’을 드러내는 징표로 기능한다. ‘불․보살상과 경전의 영험’ 유형은 불․보살에게 기도하거나 경전을 독송․서사한 결과로 인해 일어난 신이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영험의 주체로 설정되어 있는 관음보살은 승려의 모습으로 화현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 있다. ‘불연국토와 불․보살의 상주’의 경우는, 신라의 국토를 부처와 인연이 깊고, 불․보살이 항상 머무르면서 그 모습을 나타내는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현신성불’의 유형에서는 처자가 있었던 노힐부득․달달박박과 여자 종 욱면이 현재의 살아있는 몸 그대로 부처가 되고 있다. ‘부처의 나라’를 형상화하고 있는 불연국토와 불․보살 상주의 유형에 이어, 이러한 형상화의 귀결로서 ‘신라의 부처’가 탄생하고 있는 것이다. ‘부처의 나라’와 ‘신라의 부처’는 조선시대 문헌의 사찰연기설화와 고승설화에서도 단절 없이 나타나고 있다. 곧 범어사․관음사․보덕굴의 연기설화에서 금정산․성덕산․금강산은 불․보살이 머무르고 있는 성지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리고 홍장․성덕과 진묵은 불․보살의 현신으로, 보덕은 살아있는 부처로 묘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고려와 조선시대 문헌의 불교설화 모두 불․보살의 현신과 이 땅의 부처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물들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은 부처와 보살이 평범한 군중의 모습으로 우리가 있는 ‘이 곳’에서 우리와 함께 숨 쉬고 있음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한국의 불교 문헌설화는 ‘부처의 나라’와 ‘이 곳의 부처’를 형상화하고 있는 내용적 경향성을 보인다고 하겠다. 이러한 특징은 설화의 본질이 꾸며낸 이야기라는 점을 상기할 때, 설화 전승의 주체인 승려와 불교신자, 더 나아가 민중들의 ‘불국’과 ‘성불’에 대한 지향 내지 염원이 투영된 것에 다름 아닌 것이다. 곧 한국 불교설화의 형성․전파․향유 주체들의 관심과 지향이 현실의 ‘이 곳’과 ‘성불’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As an effort to explor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folktale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tories in the literature of the Koryo and Joseon Dynasties. For this purpose, the themes and key contents of Buddhist folktales in Koryo literature were grouped into ‘monks" mystic lives,’ ‘miraculous efficacies of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and scriptures,’ ‘Buddha"s land and the presence of Buddha and Bodhisattvas,’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n incarnated Buddha.’ Buddhist folktales from Joseon literature were examined mainly focusing on scripture‐related folktales, temple‐related ones, and monk‐related o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Korean Buddhist written folktales showed the tendency of configuring ‘Buddha"s State’ and ‘Buddha in this land.’ Considering that folktales were made‐up stories by nature, these stories reflect the pursuit of or yearning for ‘the Buddha"s Land’ and ‘becoming a Buddha’ among those who created, transmitted, and enjoyed Korean Buddhist folktales.

      • SCIEKCI등재

        수확시기별 벼의 도정 및 이화학특성

        김기종(Ki Jong Kim),선림(Sun Lim Kim),송진(Jin Song),손종록(Jong Rok Son),황흥구(Hung Goo Hwang),신진철(Jin Chul Shin),최해춘(Hae Choon Choi),최영근(Young Keun Choi),민용규(Young Koo Mi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4 No.3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rvesting times on physicochemical and milling properties of rice, milling tests were performed applying laboratory milling systems. Milling and head rice yields were highest in rice harvested at the 45 days after heading at 76.49 and 94.43%, respectively. Milled rice grain harvested 45 days after heading showed the highest minimum viscosity, as shown in the amylogram curves, as well as the lowest consistency viscosity.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were highest in rice harvested at 35 days after heading, whereas the instrumental taste score was highest 45 days after heading.

      • KCI등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텍스트 문제

        김기종 ( Kim Ki-jong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6 No.-

        월인천강지곡은 세종 당대에 간행된 단행본과, 월인석보에 수록된 노래 모두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에는 단행본과 월인석보 수록 노래 모두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문학적 연구 중, 몇몇 논의에서는 내용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월인석보 소재 월인천강지곡을 텍스트에서 제외하고 있다. 또한 월인석보의 마지막 권차인 권25가 1998년 학계에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권25의 마지막 노래인 其583에 대한 언급은 기존 연구에서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나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도외시할 수 없다. 텍스트의 범위에 따라 월인천강지곡의 성격은 달리 파악될 것이고, 작품의 구조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결사의 확정 문제가 무엇보다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월인천강지곡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텍스트의 범위와 결사의 확정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단행본과 월인석보 수록 노래들의 비교를 통해, 노랫말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두 곡의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경과 내용이 대응되는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비교를 통해서는 곡차의 차이 및 그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그리하여 곡차의 차이는 단행본 중권 또는 하권에 있던 노래가 곡차만 바뀌어 권5나 권6에 옮겨진 결과로 보았다. 또한 월인석보의 변개는 월인천강지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더 나아가 월인천강지곡으로 인해 월인석보의 내용이 새로 첨가된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결사의 문제에 있어서는 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본 뒤, 其583의 내용과 주석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이 노래가 其582와 함께 其3~581의 내용을 마무리하는 월인천강지곡의 결사임을 확정하였다. 끝으로, 결사의 확정에 대한 이러한 논의와, 단행본과 월인석보에 수록된 노래들을 같은 맥락에서 다룰 수 있다는 앞의 논의를 통해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를 확정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문제에 대한 본고의 논의는, 월인천강지곡의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의 의의뿐만 아니라, 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석보상절의 비교 고찰을 통해 연구의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Worincheongangjigok includesboth the monograph published in the days of King Sejong, and the songs included in Worinseokbo. Thus, both the monograph and songs in Worinseokbo are included in the texts of Worincheongangjigok. However, some of the existing literary studies exclude the songs in Worinseokbo from the texts because they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continuance in contents. Furthermore, though the last volume of Worinseokbo, i.e. Vol. 25 was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in 1995, few of the existing studies mention No. 583, the last song of Vol. 25. However, we should not put these problems aside in order to characterize Worincheongangjigok`s narrative structure and epic properties. This is because the range of the texts has influence on the characterization of Worincheongangjigok, and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ast phrase should be resolved in order to discuss its structure. Thus,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ange of the texts and the last phrase as part of discussion for the characterization of Worincheongangjigok`s narrative structure and epic properties. First of all, we have found out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monograph and the songs in Worinseokbo that the two kinds of songs have no big differences in contents but show some differences in words. On the other hand, we can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order of songsand the reasons of them by comparing Seokbosangjeol and Worinseokbo, which correspond to each other in based scripture and contents. Thus, we hav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order of songs are resulted from the movement of songs in thesecond and third volumes of the monograph into Vol. 5 and 6 with the order of songs changed. Furthermore, we have confirmed that the modification of Worinseokbo did not have influence on Woringcheongangjigok, and moreover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ntents of Worinseokbo were newly added due to Worincheongangjigok. As for the problem of the last phrase, after examining the existing works and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glosses of No. 583, we have confirmed that this song is the last phrase of Woringchoengangjigok, which finishes the contents of No. 3-581 with No. 582. Lastly, we have established the texts of Worincheongangjigok based on this conclu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last phrase, and the previous conclusion that it is possible to dealt with the monograph and the songs in Worinseokbo in the same vei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not only hasthe significance as preliminary work for characterization of Worincheongangjigok`s narrative structure and epic properties, but also is important in that it extends the horizon of research through comparison between Worincheongangjigok, Worinseokbo, and Seokbosangjeol.

      • KCI등재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불교적 성격과 그 의미

        김기종(Ki Jong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삼국유사』 소재 향가는 그 제재 및 내용에 따라 ‘인물과의 관계’?‘내세 및 정토왕생의 희구’?‘문제 상황의 해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인물의 행위나인물에 대한 감정을 노래한 첫째 유형을 제외하면, 『삼국유사』 수록 노래들은 모두불교와 관련이 있다. ‘내세 및 정토왕생의 희구’에 해당하는 작품들 중, <풍요>는 현세를 ‘서러움이 많은 곳’이자 ‘공덕을 닦아’ 벗어날 곳으로 표현하고 있고, <우적가>는 ‘좋은 새 날’?‘尙宅’의 시어로써 내세에 대한 바람을 노래하고 있다. <원왕생가>?<제망매가>의경우는 각각 “이 몸 남겨두고/ 四十八大願 이루실까”와 “미타찰에서 만날 나는/ 도를닦으며 기다리련다”라는 확신에 찬 노랫말을 통해, 화자의 정토왕생을 희구하고 있다. 다음으로, <혜성가>?<도솔가>?<맹아득안가> 등의 향가는 관련 기술물에 문제*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61-A00008).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불교적 성격과 그 의미*244 佛敎學報 第67輯- 244 -상황과 그 해결이 함께 서술되어 있는 공통점을 보인다. <혜성가>는 혜성의 출현과일본병의 칩입이라는 문제 상황에 대해, 현상의 본질을 직시하는 ‘正見’에 의한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도솔가>와 <맹아득안가>는 각각 미륵보살을 모시는‘곧은 마음’과 관음보살의 자비심에 대한 믿음으로, ‘二日?現’?‘忽盲’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작품의 이와 같은 면모는 ‘인물과의 관계’를 노래하고 있는 향가와 동시대의부전가요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현전 史書에 소개되어 있는 삼국~신라시대의부전가요는 공공성의 지향이라는 내용적 경향을 띠고 있으며, 개인의 서정을 노래한경우는 부부?형제 사이의 이별이나 재회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의전래?확산 이전의 시가작품들은 대체로 태평성세의 찬양, 인물에 대한 흠모, 남녀간의 사랑 또는 이별 등을 노래하고 있다. 결국, 『삼국유사』 소재 불교 관련 향가는 불교적 사유 내지 세계관에 기반하여, 내세?정토?불보살을 향한 간절한 희구와, 이 마음이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작품은 노래의 소재 및 제재뿐만 아니라, ‘사유’의범위와 ‘서정’의 영역을 확대?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시가사적 의의가 크다고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Buddhism related Hyang-gain Samkukyusa as a way of forming a part of discourses as to effects ofBuddhism transmission and spread upon Hyang-ga. Following have been thecontents of discourses summarized so far. Hyang-ga in Samkukyusa is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relation withpersons,’ ‘aspiration for the future life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settlementof problematic situation’ according to materials and contents. Firstly, all the songsin Samkukyusa are related with Buddhismexclusive of the first type wherepersonal behaviors and/or emotions towards persons. Secondly, the recognition ofthe future world and the concept of the other world in the second type areappearing for the first time due to Buddhism transmission and spread in terms ofthe development of Korean poetry text. Thirdly, there is a common point inHyang-ga in the third type of divisions in this paper where problematic situationsand their solutions are described together in related descriptive materials. Theseworks present faiths in Jeonggyeon (right view; 正見), Jiksim (upright mind; 直心) and Buddhist bosal as solutions of problems. These aspects of Buddhismrelated Hyang-ga in Samkukyusa are not found in Hyanga-ga that sings therelations with persons and in contemporary untransmitted songs. Untransmittedsongs. in eras of Samkuk ~ Shilla introduced in present history books has atendency of intending the publicity, and in cases of songs singing for personalemotions, there are limits of issues regarding farewells and/or reunions of couplesand brothers and sisters. In fact, Buddhism related hyang-ga including Bohyeonsipwon-ga in early Koryo based on views of Buddhist thoughts and/or worlds, shows eageraspiration towards the future world, the pure land and bulbosal, the concept thatthis aspiration can finally change the world, and a characteristics singing thateverybody can become a Buddha. And it can be said that these characteristics notonly with resources and materials of songs but also in extending and expandingpoet’s thought domain and the area of ‘emotion’ expressed by the poet have agreat significance of songs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 KCI등재

        <普賢十願歌(보현십원가)>의 구조와 주제의식

        김기종 ( Ki Jong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이 글은 <보현십원가>의 문학적 성격을 究明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일관된 시상 전개를 보이는 하나의 텍스트라는 관점에서, <보현십원가>의 구 조와 주제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품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제의식 의 이유 내지 의미를, 창작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경제불가>~<광수공양가>의 서사는 ‘나’와 ‘우리’를 둘러싼 모든 곳에 부처가 존재하고 있음을 청자(독자)들에게 알리고, 또한 이 사실을 청자들이 믿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佛身의 遍在’에 이어, <참회업장가>~ <상수불학가>의 본사는 나와 우리의 깨달음을 향한 길, 즉 부처가 되는 방법을 노래하고 있다. 결사인 <항순중생가>~<총결무진가>는 모두 ‘부처의 일’ 을 노래하고 있는 공통점을 보인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보현십원가>는 ‘佛身의 遍在→ 성불의 방법→ 我卽佛의 선언’이라는 내용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들 단락의 주제는 佛身의 遍在라는 ‘부처가 하는 일’, 보리 향한 길의 ‘부처가 되는 일’ 그리고 내가 ‘부처인 것을 아는 일’을 거쳐, ‘부처의 일’로 귀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보현십원가> 전체의 주제의식은 ‘부처의 일’ 또는 ‘성불’로 집약된다. 이러한 내용적 특징 및 주제의식은 불교행사의 빈번한 개설과 기복불교의 풍조라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이 있다. <보현십원가>의 서사ㆍ본사에 서 강조한 ‘觀行’과 ‘마음’은 재물의 낭비가 심한 당시의 불사를 경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대규모의 불사로 인해 육체적ㆍ경제적 고통을 당하면서도 정 작 자신들은 재물이 없어 불사에서 소외된 백성들을 위해, <보현십원가>는 내 몸과 마음만으로도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음을 노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보현십원가>는 형식화되고 기복화된 당시의 불교계에 대한 균여의 문학적 대응으로, 불교 본연의 목적이 ‘성불’에 있음을 청자(독자)들에게 알리고, 또한 청자들도 모두 부처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 희망의 노래인 것이다. This article, in a way of clarify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Bo-Hyeon-Sip-Won-Ga, examines the structure and thematic cons ciousness of Bo-Hyeon-Sip-Won-Ga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a single text that shows consistent poetic unfolding. For this pu rpose, this article reviews its relation with the precedent text Bo-H yeon-Haeng-Won-Pum, and then proceeds to carry out the discuss ion by dividing the eleven songs into three parts, the prologue, the main body, and the epilogue based on their poetic sentiments and contexts of the unfolding of contents. The discussion so fa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ologue from “Ye-Gyeong-Je-Bul-Ga" to "Gwang-Su-Gong- Yang-Ga"informs the audience (the reader) that Buddha exists in a ll the places that surround ‘I’ and ‘we,’and emphasizes that the a udience should believe in this fact. Following such ‘omnipresence of Buddha,’ the main body from "Cham-Hoe-Eop-Jang-Ga" to "Sang- Su-Bul-Hak-Ga" sings the way to my and our enlightenment, i.e., the way to be Buddha. Such poetic phrases as ‘road to Bori,’ ‘Bori`s fruits,’ ‘Buddhism-oriented mind’etc. in those songs are totally abse nt in the preceding texts, which reveal the writer Gyun-yeo`s inten tion as such. Finally, the epilogue songs including "Hang-Sun-Jung -Saeng-Ga" and "Chong-Gyeol-Mu-Jin-Ga" with others are simila r in that all of them sing ‘Buddha`s work.’ From this, we can tell that Bo-Hyeon-Sip-Won-Ga consists of t he content structure of ‘Buddha`s omnipresence → the way of being Buddha → the declaration of "I am Buddha"’ and the themes of the prologue, the main body, and the epilogue converge on ‘Buddha`s w ork’ through ‘work for Buddha,’ ‘being Buddha,’ and ‘knowing Budd ha.’ After all, the whole thematic consciousness of Bo-Hyeon-Sip- Won-Ga can be said to converge on ‘Buddha`s work’ or ‘being Bud dha.’

      • KCI우수등재

        18세기 『염불보권문』의 편간과 불교사적 의미

        김기종(Kim, Ki-Jo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이 글은 『염불보권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염불보권문』의 성격과 시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염불보권문』은 수록된 글들의 출전 및 내용에 따라 , 제 1부 경전에서 뽑은 글, 제 2부 예념미타도량참법 소재 왕생담 , 제 3부 염불의식문, 제 4부 보유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유편을 제외한, 『염불보권문』은 ‘ 염불 ’의 측면에서 본다면, ‘ 염불의 이유 (제 1부) → 염 불의 이익(제 2 부) → 염불의 실천 (제 3부)’ 이라는 비교적 논리적인 전개 양상을 보인다. 제 1 · 2 부는 각각 ‘ 부처님의 말씀 ’ · ‘ 왕생의 실례 ’를 근거로 , 왕생과 성불을 염불의 이유· 이익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제 3 부는 의식의 절차라는 행위를 통해 왕생·성불에 대 한 희구 및 다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각 부분의 끝에는 왕생· 성불과 이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는 글들을 반복 배치함으로써 『염불보권문』 전체의 주제의식을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염불보권문』은 염불을 해야 하는 이유가 ‘ 왕생 ’ 과 ‘ 성불 ’ 에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 ‘ 왕생 ’과 ‘ 성불 ’ 을 위해 염불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 특히, 『염불보권문』의 ‘ 염불 ’이 ‘ 칭명염불 ’ 만을 가리키고 있는 점과, 성불에 보다 강조점을 두고 있는 점은 이 책의 특징적인 국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 유심정토 ’와 ‘ 관념염불 ’ 을 강조하는 기존의 ‘ 염불선 ’적 경향에 대한 대안이자 , 일종의 ‘ 염불운동 ’ 을 지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새로운 움직임은 19 세기 염불결사의 성행과 왕생류 불교가사의 유행을 통해, 당시 불교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음을 알 수 있는데, 『염불보권문』이 18 세기의 한 세기 동안 7차례나 판각 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염불보권문 은 17 세기 전반 삼문수업의 정립 이후, 기존의 염불선적 경향에 대한 대안으로 전개되었던 새로운 염불운동을 제창 내지 선도한 시대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is composed of four parts; collected texts from Buddhist scriptures, stories about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that are selected from Yenyommitatoryangchambop( 禮念彌陀道場懺法 ), ritual procedure of chanting Amitabha’s name, and lastly, supplementary parts. As the arrange suggests, this book shows relatively logical development of contents from the reason of chanting Amitabha’s name, to the profit of the chanting practice, and to the practice manual of chanting Amitabha’s name. except for the supplement. The first part based on the words of the Buddha gives the reason for calling Amitabha’s name. The second part that provides the examples of those who went to the Pure Land shows the profit of the practice, that is,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The third part reveals the actual procedure to attain the goal of the chanting practice. At the end of each section, I repeat the articles emphasizing the faith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so that the subject of the entire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is clearly highlighted.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emphasizes the need to chant Amitabha’s name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while showing the reasons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becoming a Buddha is a notable characteristic of this book.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can be said to have meanings of the times. It led and advocated a new religious movement that had been developed since the 17th century, emphasizing chanting Amitabha’s name and becoming a Buddha. It also pointed out that becoming a Buddha reminds us of the essence of the faith of Pure Land and the purpose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