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경(內經)에 나타난 뇌(腦)의 개념(槪念) 및 생리적(生理的) 기능(機能)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기록,홍석,강화정,Kim, Ki-Rok,Hong, Seok,Kang, Hwa-Jeong 대한한방내과학회 1999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0 No.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Brain in Nei-j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idney energy becomes the marrow by warm caring function of Meong-mun(命門) and the marrow becomes brain by ascending and gathering between a hole Back-hoi(百會) and a hole pung-ji(風池) 2. Brain is a sea of the marrow that five vital organs are eraporated togather. 3. In Nei-jing(內經), there is a explanation the connectin between brain and mind, thanking by drawing in a concept of head. 4. Brain regulrates physical excercise. 5. There i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brain and biosis. 6. Brain achieves function of sense, relating with the five sensory organs. 7. Brain controls a change of emotion. 8. Brain has immunological function.

      • KCI등재

        Laryngograph와 EGG를 이용한 음향특성(音響特性)과 사상체질간(四象體質間)의 상관성(相關性) 연구(硏究)

        선형,신미란,달래,기록,Kim, Sun-hyung,Shin, Mi-ran,Kim, Dal-rae,Kwon, Ki-rok 사상체질의학회 2000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2 No.1

        1. 연구목적 한의학에서 음성을 듣고 환자의 상태를 알아내는 것은 문진에 해당되며 이는 내경시대부터 응용되어 왔다. "동의수세보원"에서도 말하는 기운이 각 체질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각 체질별 장국의 차이에 의해서 호산지기(呼散之氣) 흡취지기(吸聚之氣) 납적지기(納積之氣) 출방지기(出放之氣)등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또한 음성과 성대진동의 기본이 되는 공기의 흐름과도 연관이 있다. 한의학에서 성음을 통하여 사람에 관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는데, 여기서 논하는 성음의 개념은 매우 추상적이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기도 어렵고, 또한 임상연구에 응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음성을 수치, 그래프, 스펙트럼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기록, 재생,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여기서는 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 중의하나인 성대의 진동이 사상체질 진단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들을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와 사상의학 전문가가 체질을 분류한다. (2) 체질별로 CSL(Cmputerized Speech Lab)과 Laryngograph, Micrphone을 사용하여 음성과 성대진동양상을 녹취한다. (3) EEG processing option으로 녹취한 파형을 분석한다. (4) 분석한 항목을 통계 처리하여 항목별로 유의성을 살펴본다. 3. 연구결과 성대진동을 보여주는 EGG Waveform의 분석결과와 체질간의 상관성은 아래와 같다. 1. 남자/a/(0.5초)에서는 태음인보다 소양인의 Open Std Deviation, Contact Std Deviation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a/(2.5초)에서는 소음인과 태음인보다 소양인의 Pitch range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여자/e/(0.5초)에서는 소음인보다 태음인의 Pitch range가 더 높은 것으로, 소양인보다 태음인의 Pitch Maximum이 더 높은 것으로, 소음인 소양인보다 태음인의 Pitch Std Deviation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자/a/(2.5초)에서는 소음인보다 태음인의 Contact Maximum이 더 높은 것으로, 태음인 보다 소음인의 Open mean, Open Miximum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남자/e/(0.5초), 남자/e/(2.5초), 여자/a/(0.5초), 여자/e/(2.5초)에서는 체질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CART Algolism에서는 전체적으로 소음인과 태음인의 정판별력이 높았고, 소양인은 비교적 오차율이 높게 나타났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lassifying Sasang Constitution through correlation with Larynx waveform. This study was done it under the suppose that Sasang Constitution would be correlation with Larynx waveform.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about correlation between Erectroglottograph waveform and Sasang Constitution by analysis EGG program. 1. Taeumin was lower than Soyangin in Open Std Deviation, Contact Std Deviation of male/a/(0.5sec) 2. Soeyangin was high compared with the others in Pitch range of maie/a/(2.5sec) 3. Taeumin was higher than Soeumin in Pitch range, Soeyangin in pitch Maximum, and the others in Pitch Std Deviation of female/e/(0.5sec) 4. Taeumin was higher than Soeumin in Contact Maximum and lower than Soeumin in Contact Maximum of female/a/(2.5sec) 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male/e/(0.5sec), male/e/(2.5sce), female/a/(0.5sec), female/e/(2.5sec) 6. The percent of correctly classified in Soeoumin and Taeumin was high in CART Algolism. The risk estimate of Soyangin was relatively high. The study may be use on of the method to make objective diagnosis in Sasang constitution.

      • KCI등재후보

        Bee Venom과 Sweet Bee Venom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민기,이시형,신조영,강산,조남근,임태진,기록,Kim, Min-Ki,Lee, Si-Hyeong,Shin, Jo-Young,Kim, Kang-San,Cho, Nam-Guen,Rhim, Tae-Jin,Kwon, Ki-Rok 대한약침학회 2007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10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to the primary cultured preadipocyte, adipocytes, and localized fat tissue. Methods Decreased preadipocyte proliferation and decreased lipogenesis are mechanisms to reduce obesity. So,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were performed on cell cultures using Sprague-Dawley Rats and treated with 0.01-1mg/ml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And porcine skin including fat tissue after treated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according to the dosage dependent variation are investigated the histologic changes after injection of these Pharmacopuncture. Resul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readipocyte proliferation and lipolysis of adipocyte and histologic investigation of fat tissue. 1.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showed the effect of decreased preadipocyte proliferation depend on concentration. 2.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showed the effect of decreased the activity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GPDH) significantly. 3. Bee Venom was not showed the effect of lipolysis, but Sweet Bee Venom was increased in low dosage and decreased in high dosage. 4. Investigated the histologic changes in porcine fat tissue after treated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we knew that these Pharmacopuncture was activated nonspecific lysis of cell membranes depend on concent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efficiently induces decreased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 and lipolysis in adipose tissue.

      • KCI등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기록,이규재,Kim, Dong-Heui,Deung, Young-Kun,Chang, Byung-Soo,Jung, Han-Suk,Jin, Dan,Kwon, Ki-Rok,Lee, Kyu-Jae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6 Applied microscopy Vol.36 No.3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hreadlike structures of fascia were examined by tight and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distinguish its tissue organization, we used staining methods including hematoxylin-eosin, Masson's trichrome, Van Gieson's collagen fiber stain and Kluver-Barrera's luxol fast blue for nerve stain. Under the light microscope, the threadlike structures were composed of many collagen fibers and nerve. In higher magnification, they looked like as the bundle of tubular structures. Many myoid cell-spindle nuclei were observed in the tissue, which were taken from the fascia. It was identical with Bonghan duct known as one of meridian network theory. In the early 1960's the North Korean Bong-Han Kim showed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acupuncture points, and explained the meridian system as the concrete duct network system. According to Bonghan theory the Bonghan ducts spread throughout the body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duct could have the role of signal pathway, the theory was reinvestigated in these days. All of the threadlike structures isolated from fascia shows the abundance of collagen fibers. The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TEM) could confirm the well arranged collagen fiber and nerve. This investigation reveals that superficial Bohghan duct are nerve fiber parallel running with collagen fibers. We conjectured that the intermingled structure of collagen fiber, blood vessel and nerve fiber might have the role of meridian system. And the more, regardless of histological research, the study on collagen fiber as response transmitter in acupuncture treatment are in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